"일본 여권, 5월부터 방위장비 수출 규제 완화 논의" 일본 정부가 태평양 섬나라를 대상으로 자위대의 안보 분야 지원 확대와 협력 강화를 추진한다고 산케이신문이 2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르면 올해부터 군대를 보유하지 않은 태평양 섬나라를 대상으로 자위대 지원 활동에 착수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자위대는 그동안 군대를 보유한 파푸아뉴기니, 피지에서는 인도적 지원, 위생 등과 관련된 지원 활동을 했다. 하지만 솔로몬제도, 팔라우, 키리바시 등 경비대만 있는 10여 개국에서는 지원 활동을 하지 않았다. 자위대는 동남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16개국에서 함정 엔진 정비, 사이버 방어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 활동을 펼쳐 왔다. 일본은 해양 진출을 강화하며 태평양 섬나라에 접근하고 있는 중국에 대항하기 위해 자위대 활동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고 산케이는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도 최근 솔로몬제도, 쿡제도 등 태평양 섬나라를 방문해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 목적인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실현을 논의했다. 일본 정부는 태평양 섬나라들과 미국, 호주 등이 참가하는 국방장관 회의도 열 계획이다. 산케이는 "태평양 섬나라는 수산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해양 감시, 지구온난화에 따른 재해 대응이 필요하다"며 "자위대가 활동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집권 자민당과 연립 연당인 공명당은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5월께부터 방위장비의 수출에 관한 조건을 담은 '방위장비 이전 3원칙'을 재검토할 것으로 보인다고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현재는 재난 구제, 수송, 경계, 감시, 소해(掃海·바다의 위험물을 없앰) 등과 관련된
온두라스 외무부 "'하나의 중국' 인정, 대만에 단교 결정 통지"대만 외교부 "이미 대사관 폐쇄·대사 복귀…온두라스가 거액 요구" 중국과 수교를 추진하는 중미 국가 온두라스가 25일(현지시간) 대만과 외교 관계를 공식 단절했다. 1941년 관계 수립 이후 82년 만으로, 대만 수교국은 13개국으로 줄게 됐다. 온두라스 외무부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성명에서 "온두라스 정부는 '하나의 중국' 존재를 인정한다"며 "중국 정부는 중국 전체를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다"라고 밝혔다. '하나의 중국'은 대만을 공식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중국의 원칙이다. 앞서 시오마라 카스트로 온두라스 대통령은 지난 14일 트위터를 통해 중국과의 공식 관계 수립 추진을 발표한 지 11일 만으로, 온두라스는 사실상 대만과 단교 수순을 밟아 왔다. 온두라스 외무부는 이날 성명에서 "대만은 분리할 수 없는 중국 영토의 일부"라며 "오늘자로 온두라스 정부는 대만에 외교 관계 단절을 통보했고, 대만과 더 이상 공식적인 관계나 접촉이 없을 것임을 약속한다"고도 밝혔다. 에두아르도 엔리케 레이나 온두라스 외무장관은 지난 23일 카스트로 대통령의 지시로 중국을 방문했다. 대만 정부도 26일 즉시 온두라스와 단교를 발표하며 중국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로이터와 AFP 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우자오셰 대만 외교부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온두라스와 단교하며 현지 대사관을 폐쇄한다"고 발표했다. 우 부장은 "온두라스가 대규모 자금을 요구했다. 그들이 원한 것은 돈"이라며 "온두라스 주재 우리 대사는 이미 전날 떠나 귀국했다"고 공개했다. 그는 "온두라스의 단교 발표와 차이잉원 총통의 다음 주
"지금 유럽은 해밀턴(미국 건국의 아버지들 중 한 명인 알렉산더 해밀턴을 지칭)의 순간을 맞이했다."한 유럽의회 의원의 표현입니다. 해밀턴은 미국 초대 재무부 장관으로서 미국 금융·경제체계의 기틀을 마련하고 강력한 연방정부를 창설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입니다. 현재 미국 10달러짜리 지폐의 모델이기도 하죠. 지금의 유럽의 상황을 설명하는 데 난데없이 미국 건국의 아버지라뇨? 한국경제신문의 글로벌 핫이슈, 오늘은 유럽의 에너지 정책이 처한 첩첩산중의 형국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러시아 의존도 줄였더니...이번엔 '中 천지'이 의원이 '해밀턴 순간'을 언급한 이유는 간단합니다. 유럽이 지금 에너지 전환을 서두르는 과도기에 있기 때문인데요. 지난해 국제뉴스를 뜨겁게 달궜던 유럽의 에너지 대란 소식 기억하시나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에 말이죠. 유럽 국가들은 그동안 러시아산 원유와 천연가스를 값싸게 이용해 왔습니다.하지만 이웃인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러시아의 죄를 묻기 위해선 러시아산 에너지 자원에 대해 '손절'해야 했죠. 갑작스러운 변화에 에너지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았습니다. 독일이 그간 사들인 러시아산 천연가스만 해도 전체 에너지원 가운데 40%를 훌쩍 넘는 상황이었거든요. 러시아산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이들이 선택한 한 가지 방법은 '다변화'였습니다. 미국이나 카타르 등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 같은 대체 자원의 수입을 늘리는 거죠. 또 다른 방안은 바로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서두르자는 것입니다. 그동안 구호만 앞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