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의 오류로 무고한 남성이 절도범으로 간주돼 체포되는 일이 발생했다.31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조지아주(州) 주민 랜들 리드(29)는 지난해 11월 애틀랜타에 있는 부모님 집으로 차를 몰고 가던 중 고속도로 한복판에서 경찰에 체포됐다.리드의 차를 멈춰 세우고 수갑을 채운 경찰은 그가 지난 여름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한 상점에서 훔친 신용카드로 1만3000천달러(약 1703만원) 상당의 명품 지갑과 가방을 구입했다는 혐의를 제시했다.경찰은 상점 내 감시카메라에 찍힌 범인의 얼굴을 안면인식 기술로 분석한 결과 리드를 유력한 용의자로 특정한 상황이었다. 안면인식 알고리즘이 페이스북, 링크드인 등에 올려진 리드의 사진과 감시카메라 속 범인의 모습이 유사하다고 판단했다.구치소에 갇힌 채 루이지애나 경찰에 인도되길 기다리는 상황이 된 리드는 변호사를 통해 절도 피해를 봤다는 가게의 폐쇄회로(CC) TV 영상을 직접 확인하고서야 누명을 벗을 수 있었다.영상에 찍힌 용의자는 리드와 얼굴형이 비슷했으나 몸집이 크고 팔이 훨씬 더 굵어 동일인으로 보기 힘들었다.경찰은 리드 측 변호사가 관련 자료를 제출한 지 불과 한시간여만에 그를 석방하겠다고 밝혔다.6일 만에 풀려난 리드는 "전혀 알지도 못하는 일로 갇혀 있었다"면서 황당함을 감추지 못했다.그는 자신이 부당하게 체포된 데 대해 경찰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다.이번 사건은 정확한 범죄자 추적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된 여러 기술이 오히려 잘못된 사람을 체포케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NYT는 전했다.미국 안면인식 기술 업체 클리어뷰 AI 대표 호안 톤 댓은 얼
분쟁과 관계없는 분야로 한정…필리핀에 레이더 제공 추진 일본 정부가 민주주의와 법의 지배 등 가치관을 공유하는 나라의 군대에 기자재를 무상으로 지원하는 새로운 국제협력 제도를 만든다고 교도통신이 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달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정부 안전보장 능력강화 지원'(OSA)이라는 명칭의 제도 신설을 결정한다. OSA는 비군사 분야에 국한된 공적 개발 원조(ODA)와는 달리 가치 공유국의 국방 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본 정부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 군사 활동을 활발히 하며 해양 진출을 강화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OSA를 신설한다고 교도통신은 짚었다. 동남아시아 등지의 개발도상국 군대를 직접 지원해 중국에 대한 억지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도 있어 일본의 구상이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OSA 지원 대상은 국제 분쟁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은 분야로 한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영해와 영공 경계를 비롯해 테러 등에 대응한 안전 확보 능력 향상, 재해 대처와 수색 구조,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강화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지원하는 기자재는 재난 구제, 수송, 경계 등과 관련된 장비만 수출할 수 있도록 한 '방위장비 이전 3원칙'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다만 일본 여권은 5월께부터 살상 능력이 있는 장비도 외국에 양도할 수 있도록 방위장비 이전 3원칙을 개정하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어서 향후 지원 품목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일본 정부는 OSA 제도가 정비되면 여름쯤 필리핀 군대에 해양을 감시할 수 있는 레이더를 제공할
1일 오후 6시 41분(한국시간) 일본 니가타현(혼슈) 니가타 북북서쪽 46km 해역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기상청이 외국 관측 기관 등을 인용해 전했다. 진앙은 북위 38.30도, 동경 138.90도이며 지진 발생 깊이는 10km다. weather_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