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현지시간) 국제유가가 상승했다. 미국 원유 재고 감소와 이라크 쿠르드 지역의 수출 중단 사태가 이어지며 공급 우려가 커진 영향이라는 해석이다.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5월물은 전장 대비 1.4달러(1.91%) 상승한 배럴당 74.3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일 소폭 조정됐으나 이날 다시 상승했다. 지난 17일 기록한 최근 1년 간 최저치(배럴당 66.74달러) 대비 11.4% 올랐다.이날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브렌트유 6월물도 전장 대비 1.01달러(1.30%) 오른 배럴당 78.6달러에 마감했다. 이라크 쿠르드 자치정부의 원유 수출 중단은 장기적인 원유 공급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쿠르드 자치정부는 지난 25일부터 하루 약 45만배럴 규모의 원유 수출을 중단했다. 이는 전 세계 하루 원유 공급량의 약 0.5% 수준이다. 그간 쿠르드 자치정부는 이라크의 승인을 받지 않고 튀르키예에 원유를 대규모로 수출해왔으나 최근 이라크 정부가 이에 국제 소송을 걸었고, 국제 중재재판소가 이라크의 손을 들어줬기 때문이다.로이터는 “생산자들이 (쿠르드 자치정부의) 송유관 운영 중단 이후 회사 성명서 등을 통해 쿠르드 지역의 여러 유전이 생산을 중단하거나 줄였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더욱 심한 원유 공급난이 다가오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긍정적인 전망도 나온다. 시티그룹의 애널리스트들은 “이라크 국내에서 정치적인 해결이 이뤄진다면 송유관을 통한 원유 공급이 하루 20만배럴씩 증가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지난주 미국 원유재고가 최근 2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소식도 유가를 뒷받침했다.
이스라엘 시민들의 강력한 저항 끝에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사법부 권한을 축소하는 내용의 입법 절차를 오는 5월로 연기하기로 했다.네타냐후 총리는 27일(현지시간) 대국민 연설에서 “국민 분열을 막고 폭넓은 합의를 이뤄내기 위해 (야권과) 대화의 시간을 갖기로 했다”며 “사법 정비를 위한 입법 절차를 5월 초에 열리는 크네세트(이스라엘 의회) 다음 회기까지 연기하겠다”고 했다. 관련 법은 크네세트 본회의 표결만을 앞둔 상태였는데 이번 발언으로 한 달가량 미뤄지게 됐다.네타냐후 총리가 추진하고 있는 입법안은 사법부 권한 축소를 골자로 한다. 야당과 법조계, 시민단체 등이 이를 ‘사법 쿠데타’로 규정하고 12주 연속 대규모 반대 시위를 이어왔다.정치권에선 입법 절차가 연기된 것은 다행이지만 불씨는 남아 있다는 입장이다. 야당인 국가통합당을 이끄는 베니 간츠 전 국방부 장관은 “안 하는 것보다 늦은 게 낫다”고 말했다.사법 정비 입법 절차가 중단된 것이 아니라 연기됐을 뿐이라는 점 때문에 민심을 달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같은 날 예루살렘포스트는 사법개혁에 반발하는 시위 주최 측이 다음달 1일 대규모 시위를 계획하는 등 항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시민들은 개편안이 완전히 철회될 때까지 시위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박주연 기자
국제유가가 27일(현지시간) 급등했다. 이라크 쿠르드 자치정부의 원유 수출이 중단되며 공급 우려가 불거진 여파다. 최근 발생한 미국과 유럽의 은행 위기가 진정되고 있다는 안도감도 투자 심리를 끌어올렸다.27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5월물 가격은 전장보다 배럴당 3.55달러(5.12%) 오른 배럴당 72.81달러에 마감했다. 2거래일 만에 배럴당 70달러선을 다시 돌파했다. 하루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일(5.2%) 이후 약 6개월 만의 최고치다.이날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브렌트유 6월물도 전장 대비 3.17달러(4.25%) 오른 배럴당 77.76달러에 장을 마쳤다. 역시 6개월 만의 최대폭으로 상승했다.이라크 쿠르드 자치정부가 원유 수출을 중단했다는 소식이 영향을 미쳤다. 이날 CNBC 등은 쿠르드 자치정부가 지난 25일부터 하루 약 45만배럴 규모의 원유 수출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전 세계 하루 원유 공급량의 약 0.5% 수준이다.그간 쿠르드 자치정부는 이라크의 승인을 받지 않고 튀르키예에 원유를 대규모로 수출해왔다.그러나 이라크가 이에 제동을 걸었다. 이라크는 쿠르드 자치정부의 원유 수출이 1973년 이라크와 튀르키예 간 맺은 송유관 합의 위반이라고 주장하는 국제 소송을 걸었고, 국제 중재재판소가 이라크의 손을 들어줬다.앞으로 쿠르드 정부가 튀르키예에 원유를 수출하려면 이라크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다. 로이터는 이번 소송 결과가 쿠르드 정부의 원유 감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미국과 유럽의 은행 불안이 다소 잦아든 점도 위험 자산 투자 심리를 회복시켰다. 미국에서는 퍼스트시티즌스은행이 지난 10일 영업정지돼 은행 위기를 촉발한 실리콘밸리은행(SVB)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