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와 시리아를 강타한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7일(현지시간) 5000명을 넘어섰다. 이어지는 여진과 궂은 날씨, 추가 붕괴 등으로 지금보다 사망자가 8배 이상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이날 AP, AFP,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튀르키예 정부는 이날 지진 피해를 본 10개 주에서 3419명이 숨지고 2만534명이 다친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시리아 지역 사망자만 1600여명으로 집계돼 전체 사망자가 5000명을 넘어섰다. 부상자는 튀르키예와 시리아까지 합쳐 2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5.3 지진 또 발생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는 이날 오전 6시13분께 중부에서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7.8 지진이 강타한 다음 날에도 강진이 이어진 것이다. 진앙은 아디야만에서 서쪽으로 43㎞ 지점이다. 진원의 깊이는 10㎞로 추정됐다. EMSC는 당초 이날 지진 규모를 5.6으로 측정했다가 5.3으로 수정했다.
전날인 6일 오전 4시17분 남부 가지안테프에서 약 33㎞ 떨어진 내륙, 지하 17.9㎞에서 규모 7.8의 지진이 발생했다. 약 7시간이 지난 뒤인 오후 1시24분 카흐라만마라슈 북동쪽 59㎞ 지점에서 규모 7.5의 지진이 뒤따랐다.
튀르키예와 시리아 정부 등은 거센 추위와 여진으로 사망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구조 환경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어서다. 붕괴에서 살아남았다고 하더라도 건물과 흙더미 속에 묻혀 며칠간 추위를 이겨내기가 쉽지 않다. 저체온증으로 구조를 받기 전에 사망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캐서린 스몰우드 WHO 유럽지부 선임비상계획관은 AFP에 “추가 붕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사망자가 초기 통계보다 8배까지 증가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튀르키예는 영하의 날씨며, 가지안테프 기온은 영하 6도까지 떨어질 것으로 관측됐다.
WHO는 또한 “여진 영향을 고려하면 (인적·물적 피해를 아울러) 2300만 명이 피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날 BBC는 “앞으로 24시간이 사실상 골든타임으로 생존자를 발견할 마지막 기회”라며 “48시간이 지나면 사망자가 속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각국 지원 이어져
튀르키예 재난관리국(AFAD)은 최소 건물 6000여채가 무너져 현재까지 잔해 속에서 총 8000명 이상 구조됐다고 전했다. 튀르키예 당국에 따르면 총 10개 지역에 구조대원 1만여 명이 파견돼 작업을 하고 있다. 일부 지역은 구조 작업이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이날 강진 피해를 본 10개 주에 석 달간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세계 각국은 지원 의사를 밝히고 구호물품을 전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튀르키예에 필요한 모든 것을 지원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1차로 4000만위안(약 74억원) 상당의 긴급 원조를 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경찰 관계자 20여 명과 구조견으로 구성된 구조대 제1진을 파견했다.
시리아와 적대 관계인 이스라엘도 인도적 지원을 결정해 눈길을 끌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6일 “시리아의 지원 요청이 들어와 지원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치앙마이 공기 질 세계 최악…3개 마을 재난지역 선포 최악의 미세먼지로 몸살을 겪고 있는 태국이 미얀마 등 주변국에 대기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대응을 촉구했다. 2일 방콕포스트와 타이PBS 등에 따르면 태국 외교부는 대기오염을 억제하기 위한 지역적 노력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전날 밝혔다. 돈 쁘라뭇위나이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은 미얀마 등 주변국과 회담을 열고 대기 오염의 주범 중 하나로 꼽히는 논밭 태우기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 쁘라윳 짠오차 총리와 돈 부총리는 태국을 방문한 까으 끔 후은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사무총장에게도 대기 오염 문제에 대한 협력 강화를 당부했다. 미얀마에서는 주미얀마 대사를 통해 더 심도 있는 논의를 하도록 했으며, 천연자원환경부도 캄보디아,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등에 서한을 보내 협조를 요청했다고 깐짜나 파타라촉 외교부 대변인은 전했다. 태국은 최근 치앙마이 등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미세먼지가 세계 최악 수준으로 악화했다. 건기에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한 데다 농민들의 논밭 태우기도 공기 질 악화의 원인이 됐다. 태국뿐 아니라 미얀마 등 주변국에서 넘어온 미세먼지로 상황은 더 나빠졌다. 치앙마이 일부 지역에서는 전날 초미세먼지(PM 2.5) 농도가 340㎍/㎥ 이상으로 치솟기도 했다. PM2.5는 먼지 입자 크기가 2.5㎛ 이하인 대기오염 물질로 폐암, 심장질환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PM2.5 농도 안전 기준은 연평균 5㎍/㎥ 이하다. 대기질 분석업체인 아이큐에어(IQAir)가 산출한 치앙마이의 공기질 지수(AQI)는 전날 오후 216으로 세계 주요 도시 중 가장 공기 오염이 심했다. 치앙마이주
우상화 정책 일환…전 대통령 기리는 도시 건설에도 6조원 투자 부자(父子)가 대를 이어 통치하는 중앙아시아 권위주의 국가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전임 대통령 우상화 정책 일환으로 그의 호칭을 딴 TV 채널이 개설된다. 2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오는 9월부터 대통령령에 따라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함메도프(65) 전임 대통령을 지칭하는 '아르카다그'(영웅 수호자)라는 이름의 TV 채널이 운영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현지 국영방송은 "중립적이고 독립적인 투르크메니스탄의 위대한 행위와 업적을 능숙하게 알리고 홍보하는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야권과 언론 통제, 우상화 정책으로 '중앙아시아의 북한'으로 불리는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지난해 3월 15년간 장기 집권해온 베르디무함메도프 전 대통령의 조기 사임에 따른 대선이 치러졌다. 또 당시 선거로 그의 아들인 세르다르 베르디무함메도프(41)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됐다. 하지만 베르디무함메도프 전 대통령은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지도자로서의 공식 지위를 누리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지난달 투르크메니스탄 정부는 전임 지도자를 기리기 위해 아르카다그라고 명명한 도시를 세우는데 자국 국내총생산(GDP)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50억달러(6조6천억원)을 지출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투르크메니스탄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고립된 국가 가운데 한 곳이며, 국경없는기자회에 따르면 언론 자유는 전 세계 180개국 가운데 177위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르크메니스탄보다 언론 자유가 낮은 곳은 이란, 에리트레아, 북한 등 3곳뿐이다. 자원 부국인 투르크메니스탄은 경제
중국군이 현대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면서 이에 시급히 필요한 첨단기술 전문가들에 대한 입대 신체 기준을 완화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일 전했다. 중국 관영 중국중앙TV(CCTV)와 인민해방군보는 최근 새로운 인민해방군 의료 선발 기준을 공개하면서 "전쟁 준비를 위해 시급히 필요하거나 고위급 비전투 요원, 특수 전문 인재로 간주하는 이들에 대해서는 키, 몸무게, 시력 등 신체 요건이 완화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비전투 요원, 장교 지원자 등 모든 지원자는 피를 보는 것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못박았다. 중국 국방부는 "새로운 전투 병력을 추가하고 전문 기술 인력의 채용을 추진하면서 군은 신체적, 정신적 자격 요건을 최적화해야 했다"고 밝혔다. 새로운 선발 기준을 작업한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의 관리는 "사실적 자료에 기반해 과학적 방식으로 자격을 갖춘 인민해방군 인력을 모집하기 위해" 신체 선발 기준을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과거에는 탈락 기준이었던 담석 제거 같은 국소 외과수술 이력이 있는 후보도 군에 지원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해당 관리는 "첨단 무기와 장비,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조건들이 이제는 군 작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SCMP는 중국군이 2035년까지 국방과 군대의 현대화를 실현하고, 2049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군대를 양성하겠다는 목표를 밀어붙이는 가운데 이러한 새로운 신체 선발 기준을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인민해방군은 세계 최대인 약 200만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군 현대화'를 가속화하면서 장교와 기술 전문가를 중심으로 더 나은 교육을 받은 인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