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조 대기업의 약 30%가 지난해 연간 순이익이 작년 말 예상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글로벌 경기가 빠르게 식으면서 불과 2개월 만에 순익이 7000억엔(약 6조6768억원) 증발할 것으로 내다봤다.
5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지난 3일까지 도쿄증시 프라임시장 상장 제조업체 222곳 가운데 27%가 2022회계연도(2022년 4월~2023년 3월) 순이익을 하향 조정했다. 작년 말 제시한 예상치보다 순익이 7000억엔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2월 시점에서 순익을 낮춰 잡은 상장 제조업체 비율이 20%를 넘은 것은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 2011년 후 처음이다. 글로벌 경기둔화의 영향으로 해외 사업 비중이 높은 기업의 순익이 예상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중국 의존도가 높은 전자와 자동차, 주택 관련 기업의 타격이 컸다.
스미토모화학은 2022회계연도 순익을 ‘제로(0)’로 예상했다. 작년 말까지만 해도 1050억엔 순익을 낼 것으로 전망했지만 2개월 만에 적자를 겨우 면할 것으로 예상을 바꿨다. 스미토모화학은 “중국을 중심으로 주력 제품인 자동차용 합성수지 판매가 저조했다”고 설명했다.
적층세라픽커패시터(MLCC) 세계 1위 무라타제작소는 2022년 예상 순익을 2260억엔으로 작년 말보다 710억엔 낮춰 잡았다. 무라타 쓰네오 무라타제작소 회장은 “중국 등의 지역에서 최고급 스마트폰 수요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2년 가까이 이어지는 부품 부족도 제조업체의 발목을 잡았다. 일본 최대 자동차 부품회사인 덴소는 순익 예상치를 3220억엔으로 560억엔 낮췄다. 반도체와 부품 부족으로 완성차 업체들의 감산 규모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일본전산도 순익 예상치를 600억엔으로 1050억엔 내려 잡았다. 아베 겐지 다이와증권 수석전략가는 “미국과 유럽의 금융긴축과 각종 비용 상승 여파로 순익을 하향 조정하는 기업이 잇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는 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SNS) 업체 트위터가 파산 위기에서 벗어나 수익이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다.머스크는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트위터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다"면서도 "지금 트위터는 손익분기점을 향해 가고 있다"고 말했다.이어 "지난 3개월은 정말 힘들었다"며 "꼭 필요한 테슬라와 스페이스X 일도 하면서 파산으로부터 트위터를 구해야 했다"고 설명했다.머스크는 "누구도 그런 (파산의) 고통을 원치 않을 것"이라며 "많은 이들이 지지해 준 데 대해 감사드린다"고 썼다.그는 그러나 트위터의 수익이 개선되고 있다는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밝히지 않았다.지난해 10월 트위터를 인수한 머스크는 이후 전체 직원의 약 80%를 해고했다. 이에 한때 7천500명에 달했던 트위터 정규직 직원은 1천300명으로 대폭 줄어들었다.또 친(親)공화당 행보를 보인 그의 정치적 성향 등의 영향으로 트위터 인수한 뒤 500곳이 넘는 광고주가 이탈했고 하루 광고 매출은 1년 전과 비교해 40%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지난해 11월 그는 임직원들과의 전화회의에서 트위터의 현금흐름이 좋지 않다며 파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언급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실제 트위터는 샌프란시스코 본사 사무실 임대료를 미납해 건물주로부터 소송을 당하는가 하면, 회사 운영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인력 구조조정 후 필요가 없어진 사무실 비품을 온라인 경매에 내놓기도 했다.그러는 사이 지난해 말 테슬라 주가가 급락하면서 머스크는 투자자들로부터 테슬라 경영을 도외시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사진=연합뉴스)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글로벌시장 지표 / 2월 6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시장 금주 체크포인트]이번 주(6일~10일)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발언과 기업들의 실적에 주목하며 방향성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지난주 상승세를 이어가던 시장은 3일(현지시간) 1월 고용이 예상보다 크게 증가하고, 기술 기업들의 실적 악화 등에 하락했다.3일 이전까지 시장은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 인상 폭을 0.25%포인트로 낮춘 데다 인플레이션 둔화를 언급하면서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기대가 컸다.그러나 1월 고용이 51만7천 명 증가하며 시장의 예상치인 18만7천 명 증가를 크게 웃돌고, 실업률도 3.4%로 1969년 5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하락하면서 연준이 조기에 금리 인상을 중단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렸다.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번 주 워싱턴D.C. 이코노믹클럽 행사에서 토론에 나설 예정이다. 여기에서 파월 의장이 최근 고용 지표와 관련해 어떤 발언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파월이 연내 금리 인하 기대에 찬물을 끼얹는 강한 발언을 내놓는다면 시장의 랠리에 제동이 걸릴 수도 있다.파월 의장은 지난주 “인플레이션 통제에 있어 승리를 선언하기에는 이르다”며 “일이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기업들의 분기 실적도 이어진다. 듀폰, 치폴레, 이번주에는 월트디즈니, 펩시코, 페이팔 등의 실적이 예정돼 있다.한편 지난주 다우지수는 0.15% 하락했다. S&P500지수는 1.62%, 나스닥지수는 3.31% 상승했다.[금주 주요 일정] △ 6일1월 고용추세지수액티비전 블리자드, 테이크-투 인터랙티브, 핀터레스트, 스피릿 항공, 타이슨 푸즈, ON 세미컨턱터, 램버스,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실적△ 7일12월 무역수지제롬 파월 연준 의장 워싱턴D.C. 이코노믹클럽 행사서 토론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 연설12월 소비자신용듀폰, 치폴레, BP, 허츠, 로열캐러비언, 인페이즈 에너지△ 8일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 연설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12월 도매재고CVS 헬스, 월트디즈니, 언더아머, 우버, 얌 브랜즈, 어펌 홀딩스, 로빈후드 실적△ 9일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펩시코, 페이팔, 리프트, 랄프로렌, 듀크 에너지△ 10일2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뉴욕증시 마감시황]뉴욕증시는 3일(현지시간)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7.93포인트(0.38%) 하락한 3만3,926.01에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도 전장보다 43.28포인트(1.04%) 내린 4,136.4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93.86포인트(1.59%) 하락한 1만2,006.95에 장을 마감했다.[유럽증시 마감시황]유럽 주요국 증시는 3일(현지시간) 독일 증시를 제외하고 대부분 상승 마감했다.범유럽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7포인트(0.34%) 상승한 460.77에 마감했고,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지수는 32.76포인트(0.21%) 하락한 1만5476.43을 기록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지수는 67.67포인트(0.94%) 뛴 7233.94, 영국 런던 증시의 FTSE100지수는 81.64포인트(1.04%) 상승한 7901.80으로 집계됐다.[중국증시 마감시황]중국증시는 3일(현지시간) 하락했다.이날 중국 증시는 그동안 꾸준한 순매세를 이어오던 외국인 자금이 대규모 매도세에 나서며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Wind지수에 따르면 상하이종합지수는 0.68% 하락한 3263.41, 선전성분지수는 0.63% 내린 12054.30, 창업판지수는 0.85% 떨어진 2580.11로 장을 마쳤다.종목별 등락 상황을 보면 기술, 반도체, 미디어, 제조업 등이 상승한 반면 자동차, 2차전지, 인프라, 소비재, 신에너지 등 업종은 하락 마감했다.[베트남증시 마감시황]베트남증시는 3일(현지시간) 혼조 마감했다. 벤치마크 VN지수는 전 거래일에 비해 0.44(0.04%) 소폭 하락한 1,077.15를 기록했고, 162개 종목이 상승, 161개 종목이 하락했다.베트남증시 시가총액 상위30대 종목으로 구성된 VN30지수도 7.78(0.71%) 떨어진 1,085.70로 마감했고 14개 종목이 상승, 16개 종목이 하락했다.중소형주 위주의 하노이거래소 HNX지수도 0.02(0.01%) 소폭 내린 215.28를 기록했고 79개 종목 상승, 82개 종목이 하락했다. 비상장기업 UPCoM거래소는 0.66(0.88%) 상승한 75.54를 기록했는데 156개 종목이 상승을, 그리고 147개 종목이 하락했다.이날 거래대금은 전거래일에 비해 약 2.4% 감소한 10조7900억동(미화 약 4억6,000만달러)을 기록했다.외국인 투자자들은 5,300억동 순매수를 기록하며 이날 장을 모두 마쳤다.[국제유가]국제유가는 미국의 고용 지표가 강하게 나왔다는 소식에 긴축 우려가 강화되며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2.49달러(3.28%) 하락한 배럴당 73.39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종가는 지난 1월 4일 이후 최저치다.[금]안전 자산인 금 가격은 하락 마감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전 거래일보다 온스당 54.20달러(2.8%) 하락한 1876.6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더 많은 글로벌투자 뉴스는 [한경 KVINA]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연재 몰아보기https://www.wowtv.co.kr/Opinion/SerialColumn/DetailList?subMenu=opinion&Class=S&menuSeq=721&seq=894김나영기자 nana@wowtv.co.kr
해외에서도 행동주의 투자자들이 경영에 간섭하는 사례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경기 침체 우려로 부풀려진 비용 등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는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하면서 행동주의 투자자들이 활발히 활동할 수 있는 토양이 만들어졌다”고 분석했다.4일(현지시간) WSJ에 따르면 지난해 행동주의 펀드 한 곳 이상의 표적이 된 미국 기업은 모두 17곳이었다. 2020년 7곳, 2021년 9곳에 비해 크게 늘었다. 행동주의 펀드가 주주제안 등을 통해 캠페인을 벌인 사례는 지난해 511건으로 집계됐다. 전년(462건) 대비 10%가량 증가했다.최근 행동주의 표적이 된 대표적인 기업은 인도 아다니그룹이다. 힌덴버그는 아다니토털가스, 아다니그린에너지 등 아다니그룹의 주요 상장사가 조세회피처에 페이퍼컴퍼니를 세워 탈세와 분식회계 등을 일삼는다는 보고서를 지난달 발표했다. 이후 아시아 최고 부자로 꼽혔던 고탐 아다니 회장이 이끄는 아다니그룹 계열사들은 주가가 급락했다. 아다니의 10개 계열사 전체 시가총액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1080억달러(약 135조원) 증발했다.월트디즈니도 행동주의 투자자인 넬슨 펠츠의 타깃이 됐다. 펠츠는 2019년 영화 스튜디오인 21세기 폭스를 무리하게 인수해 디즈니 주주 가치가 훼손됐다고 주장하며 디즈니 이사 자리를 요구하고 있다. 디즈니플러스 등 스트리밍 사업 투자액이 과도하다고도 지적했다. 펠츠는 자신이 창업한 행동주의 투자펀드 트라이언펀드를 통해 최근 수개월간 10억달러 상당의 디즈니 주식을 사들여 지분 0.5%(940만 주)를 확보했다.세계 최대 기업용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세일즈포스에는 다수의 행동주의 펀드가 들어왔다. 미국의 대표적인 행동주의 헤지펀드 운용사 엘리엇매니지먼트가 세일즈포스에 수십억달러를 투자했다. 이외 스타보드밸류와 밸류액트캐피털도 지분을 사들였다. WSJ는 “최근 주가 하락으로 행동주의 펀드들이 디즈니나 세일즈포스 같은 대기업 지분을 확보하기가 쉬워졌다”고 분석했다.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