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무디스 신용등급 7계단 강등, 2주새 주가 10분의 1토막SVB·시그니처은행 이어 퍼스트리퍼블릭 파산시 손실 확대 우려 '위기설'에 휩싸인 미국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 주가가 연일 폭락하는 가운데 한국 국민연금과 국부펀드 한국투자공사(KIC)가 이 은행 지분을 상당 수준 보유한 것으로 21일 확인됐다. 만일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이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에 이어 '파산 도미노'에 휩쓸린다면 한국의 국부 손실도 확대될 수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 자료를 종합하면 국민연금은 작년 12월 31일 기준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 주식을 25만2천427주(공시 시점 기준 평가액 약 3천76만8천달러·이날 환율 기준 401억7천만원 상당) 보유한 것으로 신고했다. 같은해 9월 30일에는 23만704주(3천61만달러·399억9천만원)를 신고했는데, 주가가 소폭 떨어질 때 2만여주가량 추가 매수하는 이른바 '물타기'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SEC 공시에는 국민연금 직접투자분만 반영되며 위탁운용분은 포함되지 않는다. KIC는 작년말 13만7천853주(1천680만3천달러·219억6천만원)를 신고했다. 3개월 전 26만6천983주(3천485만5천달러·455억3천만원)에서 보유 지분을 절반가량 처분해 차익 실현을 한 것으로 보인다.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은 인근 실리콘밸리 기반의 SVB 붕괴의 여파로 유동성 문제가 불거지며 위기설이 제기됐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종전 'A-'였던 신용등급을 최근 두차례에 걸쳐 7단계 아래인 투기등급 'B+'로 끌어내렸고, 무디스도 'Baa1'에서 투자주의등급 'B2'로 7단계 강등했다. 이에 지난 19일 뉴욕 증
해외 반체제 인사 송환 관여 의혹도 중국이 올해 해외로 도피한 부패 사범을 체포, 송환하는 '톈왕(天網) 2023' 행동을 재개했다고 중국신문망 등 현지 매체가 2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반부패 협조 소조가 전날 회의를 열어 해외 도피 부패 사범을 추적, 체포하고 부패 사범의 해외 탈출을 방지하는 한편 자금을 회수하는 톈왕의 올해 업무를 개시했다. 톈왕에는 사정 기관인 국가감찰위원회와 공안부,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최고인민법원과 최고인민검찰원 등이 참여해 공조 체제를 가동한다. 국가감찰위는 직무 범죄 후 해외로 탈출한 부패 사범과 자금을 추적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공안부는 해외 거주 범죄 도피자를 본국으로 송환하는 '여우사냥'에 돌입하기로 했다. 인민은행은 공안부와 함께 역외 회사나 불법 루트를 이용한 부패 자금의 해외 반출 방지에 나선다. 당국은 "국가 안보와 국가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반부패 투쟁 강도를 높이고, 국제 협력을 강화해 부패 사범의 해외 도피, 불법 자금의 역외 유출을 방지하는 한편 해외 소재 부패 사범을 체포, 송환해 반부패 공방전과 장기전에서 승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 집권 이후 부패 근절을 위한 반부패 투쟁에 나서면서 부패 해외 도피 사범을 체포, 송환하는 톈왕과 여우 사냥을 지속해 펼쳐왔다. 중국 관영 신문 차이나데일리는 2021년까지 중국이 톈왕과 여우사냥을 통해 해외 도피범 1천273명을 송환하고, 27억달러(약 3조5천300억원) 상당의 불법 자금을 환수했다고 작년 4월 보도했다. 그러나 미국 등 서방은 톈왕과 여우사냥이 해외 반체제 인사 송환에도 관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한국 등 해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