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묻지마식 인해전술로 사상자 20만명에 다가섰다는 분석이 나왔다.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 고위 관리들은 러시아군이 격전지에서 하루 수백명씩 죽는다며 추산치를 제시했다. 러시아의 축소·은폐 속에 사상자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지만 서방 전문가들의 추산치는 20만명 정도다.미국 군사정보 당국은 위성사진, 통신감청, 소셜미디어, 현장 언론보도, 공식자료 등을 토대로 전사자 규모를 산출했다. 작년 11월 미군 1인자인 마크 밀리 합참의장은 전쟁이 시작된 작년 2월 이후 러시아군 사상자가 10만명이 넘는다고 밝혔다. 당시 미국 국방관리들은 그 규모가 더 정확하게는 12만명 정도라고 부연했는데, 이에 따르면 최근 2개월 사이에만 러시아군 사상자가 최소 8만명 정도 늘어났다는 얘기다.NYT는 사상자 20만명은 아프가니스탄에서 20년 동안 나온 미군 사상자보다 8배 많다고 지적했다.러시아군 사상자의 급증 원인으로는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 격전지에서 구사하는 인해전술이 지목된다. 우크라이나군이 광산을 자연 요새로 삼는 동부 바흐무트, 솔레다르 주변에서 러시아군은 병력을 무작정 진격시키는 전술을 쓰고 있다.러시아 병력은 기관총이 쉴 새 없이 연사되고 포탄이 비처럼 쏟아지는 우크라이나군 진지 앞에 계속 밀어닥치는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이들은 신병이나 교도소에서 용병으로 자원한 죄수 등으로, 훈련도 받지 못한 채 우크라이나 정규군을 상대하고 있다.콜린 칼 미 국방부 차관은 "러시아군이 대포도 떨어지고 대치할 탄약도 떨어져 대신 죄수들로 인해전술을 편다"고 설명했다.하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급증하는 자국군 사상자 규모에 개의치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일반적이다. 자국에서 정치적 반대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우크라이나전을 2차 세계대전에 겪었던 '고난'과 비슷하게 여겨지도록 틀을 짜고 있다는 것이다.미국 관리들은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전 사상자 증가로 정치적 지지가 약해지더라도 수십만명까지는 버텨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삼 차관도 "러시아에서 군인의 생명은 똥값이지만 어떻게 죽든 간에 죽은 군인은 영웅"이라며 "죽은 군인의 공백은 다른 군인으로 메울 수 있고 전사자 숫자는 전쟁에 대한 여론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사진=연합뉴스)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작년 중국의 재정 적자가 1,600조원에 달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3일 제일재경 등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작년 중국의 재정 적자는 8조9천600억 위안(약 1천635조 원)으로, 적자 폭이 역대 최고였다. 재정 수입은 28조1,600억 위안(약 5,139조5,억 원)으로, 전년 대비 6.3% 감소한 반면 재정 지출은 37조1,200억 위안(약 6,774조8,억 원)에 달해 전년보다 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재정 수입(공공예산 수입과 정부 기금 예산 수입) 가운데 공공예산 수입은 전년보다 0.6% 소폭 증가했다. 특히 공공예산 수입 중 조세 수입은 작년 16조6,600억 위안(약 3,41조 원)으로 전년보다 3.5% 줄어 1969년 이래 가장 낮았다.중앙과 지방 정부 기금 예산 수입은 7조7,900억 위안(약 1,421조8,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6% 감소했다. 지방정부 기금 수입에 속하는 국유토지 판매 수입은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으로 6조6,900억 위안에 그쳐 전년보다 23.3% 줄었다. 지출 가운데 위생건강 부문이 2조2,542억 위안에 달해 전년보다 17.8% 급증했고, 사회보장 및 취업 지원 지출도 3조6,603억 위안으로 8.1% 늘었다.중국 인민대는 작년 12월 발표한 지방재정 발전 보고서에서 "지난 2년간 재정 수입은 부진했던 반면 필수적인 지출이 늘어 지방정부들의 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채무 상환 부담이 가중됐다"고 진단했다. '제로 코로나'에 따른 유전자증폭(PCR) 검사 및 방역 비용과 경기 부양을 위해 작년 실시한 대규모 세금 환급 등이 필수적인 지출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사진=북경일보 캡처/연합뉴스)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이달 9일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 유지 여부 논의 세계보건기구(WHO)는 M두창(옛 명칭 원숭이두창) 신규 감염 사례가 지난달 716건 추가됐으며 사망자도 9명 늘었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WHO가 이날 발간한 M두창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30일 사이에 세계 110개 국가에서 총 716건의 M두창 신규 감염 사례가 확인됐고, 사망자 9명이 새로 보고됐다. 신규 사망자는 모두 미주 지역에서 나왔다. 미국 5명과 페루 3명, 브라질 1명 등이다. 중서부 아프리카의 풍토병이었던 M두창은 작년 5월부터 세계 각국으로 확산했다. 이 병에 걸리면 수포성 발진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급성 발열이나 두통, 근육통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지난달 기준으로 전 세계 확진 사례는 8만5천449건이며 누적 사망자 수는 89건이다. M두창은 동성 남성 간 성적 접촉 과정에서 매개되는 감염 사례가 대다수라는 특징 때문에 질병 자체의 위험성뿐만 아니라 감염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차별, 그에 따른 질병 대응력 저하 등의 문제를 함께 안고 있다. 이런 특수성 등을 고려해 WHO는 지난해 7월 M두창에 대해 최고 수준의 방역 경계태세인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언했다. 현재 PHEIC가 내려진 질병은 코로나19와 M두창, 소아마비 등 3가지다. 지난해 4분기부터는 백신 보급과 환자에 대한 인식 개선 활동을 포함한 각국의 방역 노력 등으로 신규 발병 사례가 줄고 확산세가 주춤해졌지만, 지난달 사망자가 9명이나 새로 확인되면서 PHEIC를 해제할지 여부를 장담하기 어려워졌다. WHO는 이달 9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국제 보건규약 긴급위원회를 열어 M두창의 PHEIC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