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보안 자문회사 '불칸', 내부 고발로 실체 드러나인터넷 정보 통제·가짜 SNS 계정으로 허위정보 유포 러시아군의 사이버 전쟁을 지원하는 해킹 조직의 정체가 내부 문건 유출로 드러났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디언은 러시아 모스크바 북동부 교외에 위치한 사이버보안 자문회사 '불칸'이 실제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사이버 전쟁에 동원되는 해커 부대임을 보여주는 비밀문서가 유출됐다고 전했다. 2016∼2021년 불칸의 비밀스러운 행적이 기재된 수 천장짜리 문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분개한" 익명의 내부 고발자에 의해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이 내부 고발자는 지난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독일 일간 쥐트도이체차이퉁에 접근, "불칸의 배후에 러시아 연방보안국(FSB)과 러시아군 정보기관 총정찰국(GRU)이 있다"고 폭로했다. 내부 고발자는 이와 관련한 자료와 추가 정보를 독일의 조사 전문 스타트업 '페이퍼 트레일 미디어'와 공유했다. 페이퍼 트레일 미디어는 영국 가디언, 미국 워싱턴포스트, 프랑스 르몽드를 비롯한 11개 언론사 기자와 함께 수 달 동안 문서들을 조사했다. 비밀문서에 따르면 불칸은 러시아군과 정보기관의 해킹 작전과 국가기반시설 공격 훈련을 지원했다. 불칸이 러시아군의 악명 높은 해킹 조직 '샌드웜'과 관련 있다는 내용도 문건에 포함돼 있다. 불칸은 또 인터넷 정보를 통제하고 허위 정보를 유포하는 역할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정부는 샌드웜이 우크라이나에서 정전을 일으키고 한국에서 개최된 평창 동계올림픽을 방해하는 등의 사이버 공격을 자행했다고 밝힌 바 있다. 불칸은 일명 '아메짓'으로
WP "실험 결과 추천피드 통해 히틀러 발언·인종차별주의 게시물 떠" 트위터가 일론 머스크에게 인수된 뒤 내놓은 '추천'(For You) 피드에서 혐오·극단주의 내용을 제대로 걸러내지 않고 이용자에게 추천해 오히려 확산을 돕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30일(현지시간) 트위터 계정에 극단주의 관련 사용자를 팔로우하자, 팔로우하지 않은 다른 극단주의자들의 게시물도 추천 피드에 뜨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트위터는 지난 1월 디자인 개편을 통해 추천 피드를 내놓고 팔로우 대상이나 게시물의 인기도, 주변인들의 관심도 등 다양한 신호들을 활용해 게시물을 추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폭력적이거나 스팸성 콘텐츠는 추천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WP는 지난 6∼14일 트위터 신규 계정 4개를 만들어 계정별로 혐오범죄 감시 인권단체인 남부빈곤법률센터(SPLC)에 등록된 극단주의 관련 계정들 가운데 27∼39개씩 임의로 팔로우한 뒤 추천 피드에 뜬 게시물 350∼770개를 살펴봤다. 확인 결과 29∼55%는 팔로우하지 않은 계정의 게시물이었는데, 이들 중 독일 나치 지도자 아돌프 히틀러의 초상화·발언이나 이민 반대 단체, 반유대주의, 인종차별주의 관련 내용이 보였다는 게 WP 설명이다. 또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전 규정 위반으로 차단상태였다가 머스크 인수 이후 풀려난 계정도 다수였다는 것이다. 머스크는 지난해 트위터 인수 후 차단 계정을 풀어주며 "새로운 정책은 표현의 자유이지 (타인에 대한 게시물) 도달의 자유가 아니다"라면서 부정적·혐오적 게시물은 줄이겠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특별히 찾으려 하지 않는 한 그러한 게시물을 보지 못할 것"이라
수의 입은 머그샷 합성 사진·귀네스 팰트로와 비교 트윗 등 게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역대 전·현직 미 대통령 가운데 처음으로 형사 기소되는 불명예를 안은 가운데 이를 유머 소재로 삼은 밈이 소셜미디어에 쏟아지고 있다고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한 트위터 사용자는 트위터에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잔디를 깎고 있는 소년을 향해 소리 치는 것처럼 보이는 사진과 함께 "나는 리타 헤이워스의 포스터가 필요해!"라는 글을 올렸다. 1940년대 할리우드 스타 리타 헤이워스의 포스터는 영화 '쇼생크 탈출'에서 교도소에 수감된 주인공이 탈옥을 위해 벽에 파고 있던 구멍을 가리기 위한 도구로 사용해 더욱 유명해졌다. 넷플릭스 드라마 '오렌지 이스 더 뉴 블랙'(Orange is the New Black)을 패러디해 만든 밈도 떠돈다. 이 이미지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마치 '머그샷'(범인 식별용 사진)을 찍은 것처럼 수의(囚衣)처럼 보이는 오렌지색 옷을 입고 '오렌지 이스 더 뉴 인메이트'(Orange is the New Inmate, 오렌지는 새 수감자)라고 쓰인 팻말을 들고 있다. 같은 날 스키 충돌 사건과 관련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이긴 배우 귀네스 팰트로와 엇갈린 희비를 비교하는 듯한 글도 다수 올라왔다. 한 사용자는 팰트로가 법정에 들어서는 사진과 함께 "법을 축하하고 배우기 위해 트럼프의 재판에 들어가고 있는 나"라는 글을 올렸다. 영화 사이트인 '디스커싱 필름'은 "'나홀로 집에 2 - 뉴욕을 헤매다'의 스타 도널드 트럼프가 형사 기소됐다"면서 트럼프가 주인공 케빈(매컬린 컬킨)에게 길을 알려주는 영화 속 한 장면을 올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1992년작인 이 영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