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단 이끌고 상하이 도착…임박한 차이잉원 現총통 방미와 대조 마잉주(73) 전 대만 총통이 27일 국공내전 종료 이후 74년 만에 대만 전·현직 최고 지도자로서는 처음 중국을 방문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마 전 총통이 일행을 이끌고 이날 오후 항공편으로 상하이에 도착했으며, 난징으로 향했다고 전했다. 중국 공산당 중앙 대만판공실과 상하이시 당 위원회 책임자들이 공항 영접을 나왔다. 마 전 총통은 이번 중국 방문 기간 난징, 우한, 창사, 충칭, 상하이 등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신화는 소개했다. 이로써 마 전 총통은 장제스(蔣介石·1887∼1975)가 이끌던 국민당이 1949년 국공내전에서 패해 대만으로 들어간 후 중국을 방문한 첫 대만 전직 최고지도자가 됐다. 현직 대만 총통이 중국을 방문한 사례는 아직 없다. 대만 언론들은 마 전 총통이 상하이에서 출발해 난징, 우한을 거쳐 후난성 샹탄의 종가를 방문해 조상에게 제를 올린 뒤 충칭을 거쳐 상하이로 돌아온다고 전했다. 난징은 과거 국민당 정권의 수도, 충칭은 임시 수도였다. 또 우한은 청조를 붕괴시킨 신해혁명의 시발점이 된 1911년 '우창 봉기'가 일어난 곳이다. 마 전 총통은 대만으로 돌아가기 전 상하이에서 장제스 전 총통 부부가 약혼식을 한 상하이 허핑 호텔과 전통 정원인 예원(豫園·위위안)을 찾을 것이라고 대만 매체들은 전했다. 현 야당인 국민당 출신 마 전 총통의 방중은 민진당 차이잉원 총통의 임박한 미국 방문과 대비를 이룬다. 차이 총통은 29일부터 9박10일 일정으로 중미 수교국 과테말라, 벨리즈를 방문하면서 가고 오는 길에 미국 뉴욕과 로스앤젤레스를 각각 경유한다. 경유 계기에 차이 총통은 캘리포니아주에
시민단체 발의…찬성 우세지만 '주민 25% 찬성' 요건 못채워 독일의 수도 베를린시의 기후 중립 달성 목표시기를 기존 2045년에서 2030년으로 앞당기려던 시도가 무산됐다. 27일(현지시간) 베를린시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전날 기후중립 달성 시기를 기존 2045년에서 2030년으로 앞당길지를 묻는 주민투표에서 찬성이 50.9%로 반대(47.7%)보다 우세했지만, 찬성 투표자수가 가결조건(투표권자의 25%)에 미달했다. 이로써 주민투표는 찬성이 우세한데도 투표율이 35.8%로 낮아 부결됐다. 시민운동단체 '기후새시작(클리마노이슈타르트)'이 발의한 이번 주민투표는 주민 다수가 찬성하되 그 찬성자수가 투표권자 중 25%, 60만8천명이 넘어야 가결될 수 있었다. 예사미네 다비스 기후새시작 활동가는 "베를린시민 전체를 위해 안타까운 일"이라며 "우리는 계속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투표가 가결됐다면 베를린 기후보호 에너지전환 관련 법률에 기후중립 달성 목표 시기가 현행 2045년에서 2030년으로 개정돼야 했다. 법적으로 목표 시기를 앞당기게 되는 셈이다. '탄소 중립'이라고도 불리는 기후중립은 온난화를 유발하는 탄소 배출량을 신재생 에너지 발전 등 탄소 감축·흡수 활동을 통해 상쇄해 실질적인 순 배출 총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프란치스카 기파이 베를린시장은 "베를린 기후보호와 에너지전환 관련 법률 개정을 위한 주민투표는 성공적이지 못했지만, 기후변화는 우리의 핵심적 정치적 과제"라면서 "우리는 기후변화 대응이 절박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베를린시 현 적·적·녹(사회민주당·적, 좌파당·적, 녹색당·녹) 연립정부는 주민투표를 통한 법안개정에 반
체코 하원의장 150명 방문단 이끌고 대만 찾아…"엄청난 압박에도 와" 차이잉원 대만 총통은 27일 대만을 방문한 체코 대표단에 "엄청난 압박에도 왔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로이터는 차이 총통이 이날 자신의 집무실을 찾은 마르케타 페카로바 아다모바 체코 하원의장에게 이같이 말했으며, 이는 그의 대만 방문을 비판한 중국을 은밀히 언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차이 총통은 이어 "대만과 체코는 둘 다 권위적인 통치를 겪었고 민주주의가 쉽게 오지 않는다는 것을 깊이 이해한다"며 "그렇기에 우리는 민주주의와 자유를 수호하는 길에서 서로에게 든든한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페카로바 아다모바 의장은 체코와 대만이 강력한 파트너라고 화답했다. 그는 "우리는 같은 가치와 원칙을 믿고 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 보호이다"라며 "누구도 우리가 이들 권리를 고수하는 것을 위협할 수 없다"고 밝혔다. 페카로바 아다모바 의장을 단장으로 하는 약 150명의 체코 방문단은 닷새 일정으로 지난 25일 대만에 도착했다. 역대 두 번째 규모 체코 방문단으로, 이들의 방문은 중미 온두라스가 80여년 수교를 뒤로 하고 전날 대만과 단교를 발표한 상황에서 주목받는다. 로이터는 "중국의 압박 속에서 서방 민주주의 국가들과 긴밀한 관계를 추구하는 차이 총통이 체코 방문단을 환영했다"며 "이들의 방문은 한때 충성스러운 동맹이었던 온두라스가 중국으로 갈아탄 직후 대만에 힘이 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비록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대만과 공식 외교 관계를 수립한 국가의 수가 전날 온두라스의 단교로 13개국으로 줄었지만, 체코 같은 미국의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