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수사자료 제출 요구에 부당성 지적한 두 번째 서한 발송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기소 다음날인 31일(현지시간) 맨해튼지방검찰청이 '트럼프 지키기'에 나선 공화당 유력 의원들에 반격을 가했다. 앨빈 브래그 검사장이 이끄는 맨해튼지검은 트럼프 전 대통령 수사에 관한 문건과 증언 등 자료 제출을 요구한 공화당 소속 하원 상임위원장 3명에게 이날 두 번째 답장을 보냈다고 뉴욕타임스(NYT) 등이 전했다. 짐 조던(오하이오) 법사위원장, 제임스 코머(켄터키) 감독위원장, 브라이언 스테일(위스콘신) 행정위원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검찰은 "선동적인 비난 자제와 수사정보 제출 요구의 철회를 촉구한다"며 "불법적인 정치 개입 없이 형사 사법 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해달라"고 밝혔다. 레슬리 듀벡 지검 법률고문 명의의 이번 서한은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에서 자신이 기소되면 '죽음과 파괴'를 경고했다는 점을 거론하면서 공화당 위원장들에게 "여러분의 지위를 이용해 이런 공격을 비난하고 사법시스템의 공정성을 존중하라고 촉구할 수도 있었다"며 아쉬워했다. 그러면서 "그 대신 여러분은 선출직 주(州) 검사와 판사들의 진실성을 비난하고 폄하하려는 트럼프의 노력에 협력하기로 한 것"이라며 "우리 수사가 정치적 동기에 따른 것이라는 근거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트럼프는 다른 피고인들과 마찬가지로 법정에서 혐의를 반박할 권리가 있다"면서 "트럼프도 의회도 뉴욕주의 정상적인 절차를 방해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던 의원을 비롯한 공화당 소속 하원 상임위원장 3명은 지난 20일 브래그 지검장에게 수사 자료 등을 요구하는 1
미국 동부의 뉴저지주(州) 하원에서 음력설을 기념일로 제정하자는 내용의 결의안이 채택됐다. 엘렌 박 뉴저지주 하원 의원은 31일(현지시간) 뉴저지 하원 본회의에서 전날 이 같은 내용의 결의안이 반대 없이 찬성 73표로 가결됐다고 밝혔다. 한국계인 박 의원이 제출한 이 결의안은 설날을 '중국설'(Chinese New Year)이 아닌 '음력설'(Lunar New Year)로 표기했다. 이 결의안이 향후 뉴저지 상원까지 통과하면 필 머피 뉴저지 주지사는 음력설을 기념일로 선언하게 된다. 뉴저지 의회는 지난 2021년 미국 50개 주 중에서 최초로 '한복의 날' 기념 결의문을 통과시키는 등 한인 사회에 대해 우호적이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상원에서도 큰 어려움 없이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뉴저지주 하원은 한인들이 많이 종사하는 네일샵 운영에 필요한 면허시험을 영어 이외에 한국어로도 응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도 처리했다. /연합뉴스
인권최고대표, 조사결과 공개…"파악된 피해자 규모는 빙산의 일각" 폴커 투르크 유엔 인권최고대표가 31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벌어진 '끔찍한 인권침해'가 지속해서 전 세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투르크 최고대표는 이날 유엔 인권이사회 제52차 회기 51번째 회의에 참석해 "파괴적인 전쟁은 인류의 생존을 보장할 해법을 찾는 목표에서 점점 우리를 멀어지게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투르크 최고대표에 따르면 작년 2월 우크라이나전 개전 후 민간인 사망자가 8천400명, 부상자는 1만4천명 이상을 기록했다. 쿠르크 최고대표는 "이런 수치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것"이라며 "러시아군이 주거 지역에 광범위한 폭발성 무기를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이날 투르크 최고대표는 작년부터 우크라이나 인권 실태를 현지 조사한 유엔 독립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소개하기도 했다. 러시아군에 의한 강제실종 및 자의적 구금 사건은 621건 빚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구금시설 등지에서 러시아 당국이 저지른 성폭력 사건도 109건 파악됐고, 14세 정도의 여자 어린이 5명이 강제실종된 경우도 있었다. 강제실종 피해 아동들은 고문을 당하거나 부당 대우를 받기도 했다고 투르크 최고대표는 전했다. 그는 "구금에서 풀려난 민간인 89명과 조사위원들이 인터뷰한 결과 인터뷰 대상자의 91%가 다양한 형태의 성폭력과 고문, 부당 대우 등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러시아 점령지나 러시아 영토로 강제이송된 우크라이나 아동은 지난달 현재 1만6천여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이 밖에도 부당한 즉결 처형과 살해, 성폭행 등 전쟁범죄에 해당하는 다수의 인권침해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