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중국 견제 위해 합의…"북쪽과 남쪽, 팔라완 주변에 있어"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이 미국이 추가로 사용하게 된 필리핀 군기지 4개가 여러 곳에 위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22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르코스 대통령은 이날 열린 육군 창건 기념일 행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마르코스는 해당 군기지의 위치와 관련해 "북쪽과 남쪽을 비롯해 팔라완섬 주변에 있다"면서 "조만간 공식적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2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필리핀에서 칼리토 갈베즈 국방장관과 만나 방위협력확대협정(EDCA)에 따라 필리핀 군기지 4곳의 사용권을 추가로 확보하는 데 합의했다. 이와 관련, 워싱턴포스트(WP)는 양국이 필리핀 본섬인 루손섬 북부에 위치한 군기지 2곳과 다른 기지들에 대한 사용 합의를 마쳤다고 보도한 바 있다. 대만과 근접한 루손섬은 중국 견제를 위한 군사 전략적 요충지로 꼽힌다.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군 기지를 구축한 남중국해의 스프래틀리(중국명 난사·베트남명 쯔엉사·필리핀명 칼라얀) 군도에 인접한 팔라완의 군 기지도 사용 대상에 포함됐을 거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전직 필리핀 군 고위 관계자는 루손섬의 이사벨라, 잠발레스, 카가얀을 비롯해 팔라완을 대상지로 거론하기도 했다. 미국과 필리핀은 1951년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해 동맹을 맺었다. 지난 2014년에는 인도주의적 목적이나 해상안보를 위해 미군 항공기와 군함을 필리핀 내 기지 5곳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EDCA를 체결했다. 기존 EDCA에 따라 미군이 사용할 수 있는 군 기지는 팔라완의 안토니오 바우티스타, 팜팡가주의 바사, 세부의 베니토
영국이 우크라이나에 열화우라늄탄을 보낸다고 하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푸틴 대통령은 “핵무기를 쓰면 상응하는 대응에 나설 것”이라며 발끈했다. 미국도 러시아를 전방위로 압박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댄 폴란드에 첫 번째 영구주둔지를 설치했다. 국제사회의 고강도 경제 제재가 장기화하면서 러시아의 중국에 대한 경제·외교적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푸틴 “핵 포함 무기 쓴다”며 발끈21일(현지시간)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애너벨 골디 영국 국방부 장관은 전날 의회에 제출한 답변에서 “영국이 우크라이나에 보내는 챌린저2 전차의 탄약 중 일부는 열화우라늄탄”이라고 밝혔다.열화우라늄은 우라늄에서 핵무기나 핵연료에 쓰일 핵분열물질을 추출한 후 남은 물질로 납보다 밀도가 높다. 이 물질을 탄두로 쓴 열화우라늄탄은 관통력이 뛰어나 전차와 탱크를 공격하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물질이라는 비판도 있다.푸틴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후 발언에서 이에 대해 “서방이 핵 부품을 장착한 무기를 사용한다면 러시아도 상응하는 대응을 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구체적인 대응 방식은 밝히지 않았다.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도 “러시아와 서방의 ‘핵 충돌’이 머지않았다”고 말했다.영국은 러시아가 악의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고 있다고 맞대응했다. 영국 국방부는 “열화우라늄은 핵무기와 관계가 없으며 러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 군이 사용하는 표준 부품”이라며 “러시아도 이 사실을 알
63년 역사 사립초등학교 폐교 수순 홍콩에서 이민 붐과 출생률 감속 속에서 처음으로 문을 닫는 학교가 나왔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2일 보도했다. 홍콩 카오룽통 지역의 택응아 사립초등학교는 지난 21일 학부모와 동문들에게 서한을 보내 2023-2024학년도 신입생을 받지 않는 것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폐교 절차를 밟아 2028년에 공식적으로 문을 닫는다는 계획을 알렸다. 이 학교는 "2018년부터 홍콩의 출생률 감소로 학생 수가 줄었고 최근 몇년간은 이민 붐 속에서 이 문제가 더욱 심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원하지 않지만 다른 선택지가 없어 결국 60년 넘는 세월을 뒤로 하고 주민들에게 작별을 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1960년에 설립된 이 학교는 연간 등록금이 4만2천 홍콩달러(약 700만원)다. 2000년대만 해도 학년당 5반씩 30개 학급에, 학급당 30∼40명의 학생이 있었으나 현재는 1학년 2개 학급을 포함해 14개 학급만 남았다. 홍콩에는 511개의 초등학교가 있으며 그중 34곳이 등록금만으로 운영되는 사립학교다. SCMP는 "택응아 사립초등학교는 최근의 이민 붐과 출생률 감소를 이유로 문을 닫는 첫 번째 학교가 됐다"고 설명했다. 홍콩에서는 2020년 6월 국가보안법 시행 후 많은 이들이 이민을 떠났다. 이에 2021-2022학년도 현지 유치원 학생은 약 5천명이 줄었고 초등학생과 중고등학교에서는 각각 1만명, 1만5천명의 학생이 그만뒀다. 지난달 홍콩 정부 발표에 따르면 홍콩은 지난해 주민 6만명의 순유출을 기록하며 3년 연속 인구가 감소했다. 지난해 말 기준 홍콩 인구는 733만3천200명으로 전년 대비 6만9천900명(0.9%) 감소했다. 홍콩의 인구는 2019년 750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