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까지 美 기관과 규제 협의하고 뉴욕 마약중독재활센터 방문대마 합법화 질문에 "입문용 마약…폐해 클 수 있어 아직은 부정적" 미국을 방문한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20일(현지시간) 최근 국내에서도 급증한 마약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미국, 일본처럼 마약 중독자의 재활프로그램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오 처장은 이날 워싱턴DC의 한 식당에서 개최한 특파원 간담회에서 과거에는 한국이 '마약 청정국'으로 불릴 정도로 마약이 없어 재활에 신경 쓰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마약 중독이 10대와 20대를 중심으로 급격히 늘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마약 범죄 재범률이 37%나 될 정도로 중독을 끊기 어려워 재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면서 "현재 우리나라는 마약 재활이나 교육 프로그램이 많지 않아 우리도 청소년 맞춤형 한국형 마약 중독 재활 모델을 만들려고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만 해도 재활센터 50여곳을 운영하고 있지만 한국에는 서울과 부산에만 한 곳씩 있다며 서울과 부산 중간 지점에 세 번째 재활센터를 만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오 청장이 미국을 방문한 이유 중 하나도 뉴욕에 있는 미국 마약류 중독재활센터(Samaritan Daytop Village)를 방문해 국내에 도입하면 좋을 만한 프로그램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오 처장은 미국에 오는 23일까지 머물며 미국식품의약국(FDA), 규제과학혁신우수센터(CERSI) 등 식품의약 정책 기관과 규제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 보스턴에서 미국에 진출한 국내 식품·제약·바이오·의료기기 업계와 간담회를 하고 수출 활성화와 세계 기준에 맞는 규제 시스템 구축, 기술 규제 장벽 해소를 위해 논의한다. 오 처장은 "우리와 미국
뉴욕유가는 은행권의 위기가 다소 진정되며 상승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90센트(1.35%) 오른 배럴당 67.6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유가는 지난 3거래일 중에 이틀간 상승했다. 유럽 은행권의 위기가 UBS의 크레디스위스(CS) 인수로 다소 진정되면서 위험선호 심리가 되살아났다. WTI 가격은 지난주에만 13% 하락해 저가 매수세도 유입됐다. 다만 경기에 대한 우려가 여전해 유가 반등은 크지 않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로비 프레이저 매니저는 마켓워치에 "금융 부문에 대한 공포가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를 낮추기 시작하면서 원유 시장은 전반적인 경제 약세에 여전히 집중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은행권의 우려가 확산하면서 경기가 예상보다 더 빠르게 둔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프레이저 매니저는 "원유 수요는 전체 성장률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으며, 경제 흐름에 계속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연초에 나타난 재고 동향에서 알 수 있듯이 원유 시장이 공급 과잉 쪽으로 치우친 점도 유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주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둔 점도 투자자들의 포지션을 제한했다. 연준은 이번 회의에서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6일 유럽중앙은행(ECB)이 금융 불안에도 0.50%포인트 금리 인상에 나섰다는 점에서 연준도 추가 금리 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 억제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중앙은행들의 계속된 금리 인상은 경기에 추가적인 압박이 될 것으로 보인다. ING의 원자재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에서 "금융시장에 광범위한
북아일랜드 민주연합당(DUP) 윈저 프레임워크 반대 입장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승부수로 띄운 브렉시트 새 협약이 내부 반대에 부딪혔다. 영국 북아일랜드의 친영국 정당인 민주연합당(DUP)은 20일(현지시간) 영국과 EU가 합의한 윈저 프레임워크에 반대한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윈저 프레임워크는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의 일환인 북아일랜드 협약을 수정한 것으로, 지난달 27일 수낵 총리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영국 윈저에서 만나 사인했다. 이는 영국 본토에서 북아일랜드로 건너가는 물품은 검역·통관을 면제하고, EU 법이 북아일랜드에 적용될 때 북아일랜드 의회가 브레이크를 걸 수 있도록 하는 내용 등이 주요 골자다. 이에 관해 연방주의 정당인 DUP의 제프리 도날드슨 대표는 북아일랜드에 이미 EU 법이 적용되고 있는 문제는 풀리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영국 하원은 22일 윈저 프레임워크를 두고 첫 표결을 할 예정이다. 이미 노동당이 찬성 당론을 밝혔기 때문에 하원 내 DUP 의원 8명 만으로는 결과를 바꾸기 어렵다. 다만 문제는 보수당 내 브렉시트 강경 지지 세력이 자극받아 동조할 경우다. 또, 윈저 프레임워크가 통과된다고 해도 DUP가 이에 동의하지 않으면 북아일랜드 내각 붕괴 사태가 해결되지 않는다. 북아일랜드에선 작년 2월부터 DUP 등 연방주의자들이 브렉시트에 반발하며 연정을 거부해서 정부 구성이 안 되고 있다. 벨파스트 평화협정에 따르면 북아일랜드 정부는 반드시 연정을 통해 구성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다음 달 벨파스트 평화협정 25주년 기념식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참석할 때도 정부 구성이 안 돼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