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서방국가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비판하며 강력한 대응책을 내놓을 거라고 경고했다. 유럽연합(EU)은 아랑곳하지 않고 우크라이나에 6700억원 규모의 군사 지원안을 발표했다.2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볼고그라드(옛 스탈린그라드)의 스탈린그라전투 박물관에서 열린 전승 80주년 기념식에서 “독일제 레오파르트 전차가 다시 우리를 위협하는 것은 믿을 수 없는 일이다”라며 “러시아의 대응은 전차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전차 이상을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푸틴 대통령은 80년 전 독일군을 패퇴시킨 스탈린그라드 전투와 지금 상황을 엮어 애국심을 강조했다. 우크라이나와 서방, 주력 전차를 지원한 독일을 현대판 나치에 빗대 비난하기도 했다.푸틴 대통령은 “나치즘이 현대화해 우리나라를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고 (우리는) 다시 한번 서방의 침략을 격퇴해야 한다”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서 80년 전처럼 승리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이날 푸틴 대통령은 구체적인 병력 증원 방안은 밝히지 않았다. 다만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대통령실) 대변인은 "서방이 새 무기를 지원함에 따라 러시아도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해 대응할 것”이라고 논평했다.앞서 미국과 독일 등 서방국가는 지난달 25일 우크라이나의 각국의 주력 전차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미국은 에이브럼스 전차 31대를, 독일은 레오파르트2 14대를 제공한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도 총 80여대의 탱크를 우크라이나에 보낼 계획이다. 러시아군은 이튿날 서방의 지원에 반발하며 우크라이나 전역을 무차별 폭격했다. 러시아의 반발에도 EU는 우크라이나에 추가 군사 지원 방침을 밝혔다. EU 이사회는 이날 유럽평화기금(EPF)을 통해 총 5억유로(약 6700억원) 규모의 추가 군사 지원 방안을 확정했다.EU 회원국이 우크라이나군에 제공하는 ‘군사훈련 미션(EUMAM)’에도 4500만유로(약 607억원)를 추가 편성하기로 결정했다. EUMAM을 통해 훈련받는 우크라이나 군은 1만 5000명에서 3만명으로 증원된다. 독일제 레오파르트2 전차의 투입을 최대한 앞당길 수 있도록 기술 교육과 특별 훈련도 제공한다. EU 외교안보 고위대표인 호세프 보렐은 “우크라이나 국민을 위협하는 지뢰를 제거하기 위해 EU가 2천500만 유로(약 336억 원)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러시아군이 침공한 뒤 우크라이나에는 세계 최대 규모인 25만㎢ 넓이에 지뢰가 흩뿌려진 것으로 추산된다.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언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공동기자회견에서 “주요 7개국(G7)과 함께 러시아산 석유 제품에 대한 가격상한제를 도입할 것”이라며 “전쟁 1주년이 되는 2월24일까지 10번째 대(代)러시아 제재 패키지를 시행하는 게 목표다”라고 말했다.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또 “네덜란드 헤이그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범죄를 기소하기 위한 국제 센터를 설립할 것”이라며 “센터는 증거 수집을 조율할 예정으로, 유럽 형사사법 협력 기구(Eurojust)가 지원하는 공동 조사팀이 구성될 것”이라고 밝혔다.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유럽이 우크라이나 전쟁 1년을 맞아 10차 대러 제재를 추진한다.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2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기자회견을 하고 “전쟁 1년이 되는 2월 24일까지 10번째 제재 패키지를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우리는 주요 7개국(G7)과 함께 러시아산 석유 제품에 대한 추가 가격상한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우크라이나에 EU 공동 가스 조달 시스템에 참여할 것도 제안했다.젤렌스키 대통령은 “폰데어라이엔 위원장과 러시아 추가 제재에 대해 논의했다”며 “현재 EU의 제재가 다소 둔화했으며 더 강화돼야 한다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지원도 거듭 요청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병력을 재집결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유럽과 자유세계에 복수하기 위한 것”이라고 경고했다.앞서 미국, EU 등 27개국은 러시아의 전비 충당을 차단하고 유가를 안정화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5일 러시아산 원유 가격상한제를 도입했다. 오는 5일부터는 원유뿐만 아니라 석유 제품에도 가격상한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기존의 제재가 러시아 경제를 침식하고, 한 세대 전으로 되돌리고 있다”며 ”원유 가격상한제만으로 러시아가 입는 손실이 매일 1억6000만유로(약 215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
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최근 석 달 새 5000억원에 육박하는 전차용 엔진 공급 계약을 맺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한국산 전차의 수출이 늘어난 영향이다.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2일 튀르키예(옛 터키)의 방산업체 베메제(BMC)와 1500마력급 전차용 엔진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 규모는 총 3131억원이다. 엔진은 두 차례에 나눠 공급된다. 1차 물량 1102억원어치는 2023~2025년, 2차 물량 2029억원어치는 2028~2030년 납품할 계획이다. 이 회사가 전차 엔진을 단독으로 수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납품하는 전차 엔진은 베메제가 생산하는 알타이전차에 장착된다. 알타이전차는 현대로템의 K-2 흑표 전차 설계 기술을 전수받아 개발된 튀르키예의 차세대 주력 전차다.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지난해 12월에도 현대로템과 1830억원 규모의 전차용 엔진을 공급하는 계약을 맺었다. 이 엔진은 현대로템이 폴란드에 수출하는 K-2 전차에 장착된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석 달 새 두 차례 계약으로 4961억원어치 일감을 확보했다.이 회사의 전차용 엔진 등 방산 매출은 갈수록 불어날 것으로 보인다. 독일과 미국은 최근 각각 주력 전차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결정을 계기로 유럽 각국도 우크라이나에 전차를 공급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경우 현대두산인프라코어의 전차 엔진 수출이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유럽 각국의 전차 공백을 K-2 전차 등 국산 전차가 메운다는 것을 전제로 한 전망이다.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