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SVB 붕괴로 실리콘밸리 전역 불안·두려움이 더 커져" 실리콘밸리은행(SVB)이 미국 중소은행 퍼스트 시티즌스에 인수되면서 지난 40년간 스타트업의 '돈줄' 역할을 해온 SVB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는 27일(현지시간) 퍼스트 시티즌스가 SVB의 모든 예금과 대출을 모두 인수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SVB가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로 파산 절차에 들어간 지 17일 만이다. SVB는 마침내 이날 '간판'을 내렸다. 1983년 실리콘밸리 파이낸셜 자회사로 설립돼 미국 샌프란시스코 실리콘밸리의 샌타클래라에 본사를 둔 지 꼭 40년 만이다. SVB는 그동안 스타트업에 자금을 지원하며, 그 이름처럼 실리콘밸리와 함께 미국에서 16번째로 큰 은행으로 성장했다. 기술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는 미국 벤처 캐피털 산업의 중심에 있었고, 스타트업에 예금과 대출은 물론, 투자 및 프라이빗뱅킹 서비스 등도 제공해 왔다. 미국 테크·헬스케어 벤처기업 중 44%를 고객으로 두고 있으며 2009년 이후에만 2천300억 달러(303조원) 규모의 투자유치에 참여했다. 시스코, 에어비앤비, 우버, 링크트인 등 수많은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했다. 다른 은행들은 너무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신용을 제공하면서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했고, 이 신용은 스타트업이 다른 자금을 조달하는데에도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단기간의 기준금리 급등에 따른 위기관리 실패는 결국 SVB를 주저앉게 만들었다. 시장 전반에 자금 융통이 어려운 상황에서 스타트업이 그동안 맡겨둔 예금을 인출하기 시작하면서 예금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SVB는 그동안 가장 안전하다는 미 국채로 구성된 매도가능증
단속 명분 불법 구금·고문·성범죄 등 자행…"EU, 리비아 해안경비대 지원" 리비아 당국이 유럽 등지로 들어가기 위해 고국을 떠난 북아프리카 이주민들을 상대로 반인도적 범죄를 저질렀으며 유럽연합(EU)도 이런 인권침해를 사실상 방조하고 있다고 유엔이 지적했다. 유엔이 리비아 내 인권실태를 규명하기 위해 구성한 조사단의 찰로카 베야니 조사관은 27일(현지시간) 유엔 제네바 사무소에서 조사단 활동 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리비아 당국이 북아프리카 이주민과 리비아인 등을 상대로 반인도적 범죄를 저지른 증거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현지 조사와 더불어 피해자·목격자 등을 인터뷰한 내용 등을 토대로 작성한 보고서에서 리비아 당국이 불법 이민자 단속을 명분으로 이주민들에 대한 자의적 구금과 고문, 납치는 물론 살인까지 저질렀다는 내용을 담았다. 여성 이주민 등을 상대로 성폭력이나 인신매매 등의 범죄가 자행되기도 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리비아는 기근과 내전 등을 피해 고국을 떠난 북아프리카 이주민들이 유럽으로 들어가기 위해 거치는 곳이다. 리비아에 도달한 뒤 브로커에게 비싼 값을 치르고 영세한 보트에 몸을 실은 채 지중해를 건너는 방식이다. 국제 구호단체 세이브더칠드런에 따르면 2019년 이후 북아프리카에서 50만명이 지중해를 건너 유럽으로 가려고 시도했고, 이 가운데 8천468명이 지중해에서 숨지거나 실종됐다. 이주민들이 유럽행 보트에 오르더라도 리비아 해안경비대의 단속으로 중도에 체포되거나 선박 전복 등 각종 사고로 목숨을 잃는 경우가 빈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야니 조사관은 유럽 해안에 도착하는 이민자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