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용 않는 전차 되팔아도 악영향 없어" 의견 다수 독일이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레오파르트2 전차의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스위스가 보유한 독일산 전차를 되팔아달라고 요청한 데 대해 스위스 연방의회 내 주무 위원회가 일부 승인할 것을 권고했다. 연방의회의 동의 절차가 남았지만, 위원회 내 다수 위원이 찬성한 점에 비춰 레오파르트2 전차 매각은 성사 가능성이 커졌다. 30일(현지시간) 스위스 연방의회에 따르면 연방하원 안보위원회는 전날 전체회의를 열고 독일산 주력전차 레오파르트2 일부를 독일 군수업체인 라인메탈에 다시 매각하도록 권고하는 결정을 내렸다. 안보위원회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악화한 유럽의 안보 상황을 해결하는 데 이번 결정이 간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안보위원회가 권고한 매각 규모는 스위스군이 현역으로 투입하지 않고 있는 레오파르트2 전차 96대 가운데 25대다. 전차 25대의 운용을 완전히 중단하고, 폐기 절차를 거쳐 독일에 수출하는 방식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안보위원회는 제시했다. 안보위원회 내 표결은 승인 권고 찬성 17표, 반대 7표, 기권 1표 등으로 다수가 찬성 의견을 냈다. 더는 운용하지 않는 전차 25대를 폐기하고 되팔더라도 스위스군 기계화부대의 전력에 어떤 악영향도 없을 거라는 의견이 많았다. 일부 위원들은 미래 안보 환경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성급한 결정이라는 주장을 하기도 했지만 중론을 꺾지는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스위스 연방의회는 이 같은 안보위원회 권고를 검토하며 동의 여부를 최종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독일 정부는 지난달 스위스 국방부에 서한을 보내 스위스군이 보유한 레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의 류더인(마크 리우) 회장은 자국이 첨단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장비를 더 많이 생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30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류 회장은 이날 대만반도체산업협회가 주최한 콘퍼런스에서 "대만은 더욱 완전한 국내 반도체 공급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국 제재가 중국으로 필수적인 기술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면서 대만이 세계적으로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기계를 공급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과 미국 등은 TSMC가 자기들 영토에 첨단 생산 기지를 구축하기를 바라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대만반도체협회의 회장이기도 한 류 회장은 "이제 대만이 고유의 공급망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대만 반도체 업계는 외국 장비 업체가 대만 내에 시설을 구축하도록 정부가 더 많은 세금 혜택을 줘야 한다고 촉구한다고 전했다. 류 회장은 또한 대만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기초 과학과 첨단 연구에 더 많이 투자해야 하며, 경쟁력 유지에 필요한 장비와 자재 생산을 위해 중요한 기술에 대한 국내 역량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국제사회, 중국에 정보 투명성 요구 중국 당국이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상황에서 의료 시설에 대한 무작위·불시 코로나19 점검 계획을 발표했다. 30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이날 이러한 계획을 발표하며 각 지방 정부가 의료시설의 백신 관리를 비롯해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무작위 감독·감찰 업무를 매일 진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지방 정부들은 코로나19 감염 보고가 은폐, 지연되거나 잘못 보고되는지를 감시하고 의료 폐기물의 관리와 병원성 미생물학 실험실의 안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러한 무작위 점검 비용 마련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국제 사회가 중국의 코로나19 자료에 대해 투명성을 요구하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불완전하고 적게 보고된 데이터를 추적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수개월간 중국은 다른 나라들과 보건 전문가들로부터 특히 중증 환자와 사망자를 둘러싼 공식 숫자를 중심으로 코로나19 데이터를 더욱 적극적으로 공개하라는 압박을 받았다"며 "최근 세계보건기구(WHO) 고문들은 중국에 코로나19 팬데믹의 기원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공개하라고 촉구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지난 11일 트위터를 통해 "코로나19의 기원을 이해하고 모든 가설을 점검하는 것은 미래의 발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과학적 의무이자, 사망한 수백만 명의 사람들과 감염 후 장기 후유증(롱코비드)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위한 도덕적 의무"라고 밝혔다. WHO는 2020년 3월 11일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