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31명 등 16가구 기독교인…3년 전 중국 탈출 종교 박해를 이유로 중국을 떠나 스스로 난민이 된 60여명이 태국에서 구금돼 추방 위기에 놓였다. 1일 방콕포스트와 AP통신에 따르면 중국인 63명이 태국 파타야에서 체포돼 전날 방콕으로 이송됐다. 중국 광둥성 선전의 한 교회 교인들로, 16가구의 성인 32명과 어린이 31명이다. 성인들은 비자 기간을 초과해 불법체류 혐의로 기소됐다. 대부분은 태국에 1년 미만 체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3년 전 중국 정부의 종교 박해가 심해지자 난민이 됐으며, 먼저 한국 제주도로 피했다가 지난해 태국에 입국한 것으로 전해졌다. 종교적 박해를 받은 사람들을 지원하는 비영리단체 운영자인 디아나 브라운 등 미국인 2명이 이들을 도와왔으며, 미국으로 갈 수 있도록 준비 중이었다. 유엔난민기구에도 이들의 보호를 요청했다. 브라운은 자기 조직이 있는 미국 텍사스주에 이들을 재정착시키려고 노력해왔지만, 태국에서 비자 문제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인들의 비자가 만료됐지만 태국에서 비자를 갱신할 때 중국 대사관에 보고해야 하는 규정이 새로 생겼기 때문에 연장할 수 없었다고 전했다. 그는 "중국 대사관에 간 사람들이 사라져 다시 볼 수 없었기에 방법이 없었다"며 "그 뒤로 숨어서 지내야 했다"고 말했다. 중국 교인들은 본국으로 강제 송환될 수 있다는 두려움 속에 방콕 외국인수용소에 구금돼 있다. 태국은 지난 2105년 고문이나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며 송환을 거부한 위구르족 109명을 중국으로 추방했다. 당시 유엔난민기구는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라고 비판했고, 미국 정부도 추방을 규탄했다. /연합뉴스
엔화 가치 하락과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지난해부터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일본에서 밥상 물가의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1일 요미우리신문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신용정보회사 데이코쿠데이터뱅크는 이달에만 일본에서 5천106개 품목의 식료품 가격이 인상된다고 밝혔다. 지난 2월 가격이 오른 식료품 품목 5천528개보다는 적지만,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4배가량 많다. 특히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과 사료 가격 상승으로 계란값이 급등하고 우유도 비싸지면서 연쇄적으로 식료품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일본 총무성에 따르면 2월 전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3.1% 상승했지만, 식료품은 7.8% 올랐다. 식료품 물가 상승률은 46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데이코쿠데이터뱅크는 4월 이후 식품 가격 상승으로 향후 1년간 가구당 부담이 2만6천 엔(약 25만원)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
아칸소서 2명·일리노이 극장서 1명 사망…피해 속출 미국 남부와 중서부 곳곳에 강력한 토네이도가 덮쳐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속출했다. 남부 아칸소주 리틀록과 인근 마을을 토네이도가 휩쓸고 가 최소 2명이 사망했다. 중서부 일리노이주에서는 공연이 열리고 있던 한 극장 지붕이 무너져 1명이 죽고 28명이 다쳤다. 31일(현지시간) 로이터·A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발생한 토네이도로 아칸소주에서 현재까지 2명이 죽고 수십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 건물 다수의 천장과 벽이 무너져 내렸고 차들이 전복됐으며, 나무와 송전선이 뽑혀 나갔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아칸소주 주지사에 따르면 사망자 2명은 리틀록에서 동쪽으로 160㎞가량 떨어진 윈에서 나왔다. 윈 경찰은 주민 수십명이 잔해에 갇혀 탈출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프랭크 스콧주니어 리틀록 시장은 도시 내에서만 30여명이 다쳐 병원에 실려 갔다고 밝혔다. 그는 도시 서부를 중심으로 피해가 컸으며 자산 손실 또한 "상당히 광범위하다"고 설명했다. 토네이도는 리틀록 서부를 시작으로 각종 식료품점과 소형 쇼핑센터 등에 피해를 줬고, 이후 노스리틀록을 강타했다. 노스리틀록 인접 마을의 한 병원에는 토네이도로 인한 부상자 11명이 치료를 받고 있으며 그중 1명은 상태가 위중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매체는 노스리틀록에서도 1명이 숨졌다고 보도했으나 공식적으로 확인되지는 않고 있다. 아칸소주 잭슨빌 행정당국은 5~10명이 치료 중이라고 밝혔다. 샌더스 주지사는 주 방위군 100여명을 동원해 긴급 대응에 나섰으며 주 재난 대응 및 복구기금 25만달러를 투입하도록 했다. 일리노이주 벨비디어에서는 260명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