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UAE, 첨단 감시기술 공격적 도입…비판자 탄압 이용 우려" 중국 등 일부 지역에서만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여겨온 안면인식과 첨단카메라 등 인공지능(AI) 기반 감시 기술이 확산하면서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이 감시 신기술의 시험 무대가 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최근 두바이에서 열린 경찰 감시장비 전시행사에서 거짓말 탐지 뇌파 판독기, 전자담배 기구에 장착 가능한 소형 카메라, 1㎞ 밖 얼굴 식별이 가능한 비디오카메라 등 경찰이 사용할 미래 첨단 장비들이 대거 선보였다며 이같이 전했다. 특히 UAE 같은 중동 국가들은 막대한 돈을 투자해 차세대 보안 기술을 공격적으로 도입, 중국에서만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여겨져 온 대량 감시 도구가 어떻게 확산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NYT는 밝혔다. 이어 첨단 감시 기술의 사용 증가는 이런 기술이 사람들의 프라이버시나 정치권력 행사 방식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의문을 불러일으킨다고 지적했다. 영국 런던 퀸메리대 다라 머리 교수는 "감시 도구들은 표면상 선의로 도시 개선에 사용될 수 있지만 동시에 사람들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도구도 될 수 있다"며 "의도치 않은 위축 효과를 일으키고 탄압 도구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의 중요한 중동 동맹이지만 독재 정부로 평가받는 UAE는 첨단 감시 기술의 잠재력과 위험을 보여주는 사례가 되고 있다. 이런 도구가 테러나 범죄를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비민주적 정치권력의 버팀목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셰이크 모하메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일명 MBZ) UAE 대통령 치하에서 UAE는 비판자들을 감시해왔고 국제앰네스티(AI) 등은 UAE
미얀마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NUG) 총리가 미얀마군과 경찰에게 투항하라고 강력히 권고했다. 31일 현지 매체 이라와디에 따르면 NUG의 만 윈 카잉 딴 총리는 지난 30일 화상 연설을 통해 군정 지도자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명령에 따라 시민방위군(PDF)과 소수민족 무장단체(EAO)를 상대로 싸우는 미얀마군과 경찰을 향해 더 늦기 전에 국민의 절대적 지지를 받는 민주 진영 편으로 합류하라고 말했다. 그는 싸움은 이미 반환점을 돌았다며 테러리스트 민 아웅 흘라잉을 보호하다가 죽든지 아니면 사법재판소에 회부될 일만 남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마지막 선택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며 "국민의 마음이 닫히고 나서 후회하지 말고 아직 기회가 있을 때 합류하라"고 말했다. 그는 NUG 국방부 통계를 인용해 쿠데타 이후 지금까지 미얀마군 병사 3만여명이 전사했고, 군인과 경찰 1만4천여 명이 탈영했다고 주장했다. 이라와디에 따르면 지난주에만 미얀마군 140여 명이 PDF, EAO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의 압승으로 끝난 2020년 총선거를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며 이듬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빼앗은 미얀마 군부는 민주 진영을 유혈 탄압하고 있다. 헌법에서 정한 국가비상사태 통치 기간 2년이 지났지만, 군부는 지난달 비상사태를 6개월 연장했다. /연합뉴스
대만 국방부 "中군용기 9대 대만해협 중간선 침범…비이성적 행동"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30일(현지시간) "중국은 고의로 긴장을 고조시킨다. 그러나 대만은 언제나 조심스럽고 차분하게 대응한다"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대만 총통부는 이날 차이 총통이 현지 싱크탱크 행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공개했다. 차이 총통은 또한 "세계는 대만이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에서 책임 있는 당사자임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고 총통부는 전했다. 앞서 차이 총통은 9박 10일 일정으로 미국 뉴욕과 로스앤젤레스를 경유해 중미 수교국 과테말라와 벨리즈를 방문하기 위해 지난 29일 출국했다. 차이 총통은 뉴욕에 약 48시간 체류하는 동안 현지의 대만 출신자들이 주최하는 연회와 싱크탱크 허드슨연구소 주최 행사에 참석했다. 그는 이어 내달 1일 과테말라, 3일 벨리즈를 각각 방문한 뒤 대만으로 돌아가는 길에 5일 미국 로스앤젤레스를 경유 형식으로 방문한다. 이런 가운데 대만 국방부는 이날 중국 군용기 9대가 대만해협 중간선을 넘어와 전투 대비 정찰을 수행했다고 밝혔다. 대만 국방부는 성명에서 "중국 공산당 군의 병력 배치는 의도적으로 대만해협의 긴장을 조성했다"며 "이는 평화와 안정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안보와 경제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비난했다. 이어 이를 "비이성적인 행동"이라고 규탄하며 중국 군용기를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만해협 중간선은 1954년 12월 미국과 대만 간 상호방위조약 체결 후 1955년 미국 공군 장성인 벤저민 데이비스가 중국과 대만의 군사적 충돌을 막기 위해 선언한 비공식 경계선이다. 중국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