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선거자금 혐의 적용하려면 맨해튼지검 아닌 연방검찰 나서야" 포르노 배우와의 성관계 사실을 숨기기 위해 합의금을 지불한 뒤 장부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에 대한 기소는 무리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변호사 출신인 뉴욕타임스(NYT) 칼럼니스트 데이비드 프렌치는 26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지방검찰이 추진하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기소는 법률적으로 논란의 여지가 크다고 주장했다. 프렌치는 일단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 2016년 대선 직전 트럼프 전 대통령과 성관계를 가졌다고 주장한 포르노 배우 출신 스테파니 클리포드에게 입막음을 조건으로 13만 달러(약 1억7천만 원)를 지급했다는 주장 자체는 사실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클리포드에게 합의금을 건넨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개인 변호사 마이클 코언이 이미 연방법원에서 유죄 평결 후 복역까지 한 만큼 성관계 자체가 없었다고 주장하는 트럼프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는 것이다. 코언은 합의금을 대신 지급한 뒤 트럼프그룹으로부터 이 액수를 돌려받고, 추가 금액까지 받았다. 맨해튼 지검은 트럼프그룹이 장부에 코언에게 준 돈을 법률 자문 비용으로 위장 처리한 것은 기업 관련 기록의 조작을 금지한 뉴욕주 법 위반이라는 입장이다. 다만 경범죄에 불과한 장부 조작으로 트럼프를 기소하기 위해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른 범죄를 숨기거나, 다른 범죄를 저지르는 과정에서 장부를 조작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저지른 '다른 범죄'는 선거법 위반이라는 것이 맨해튼 지검의 시각이다. 트럼프그룹이 지급한 돈은 당시 대선 후보였던 트럼프 전
낙상으로 뇌진탕 진단을 받고 입원 중이었던 미치 매코널 미국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가 퇴원했다고 뉴욕타임스(NYT) 등 미국 언론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매코널 원내대표는 전날 성명에서 "입원 물리 치료를 오늘 일찍 끝냈고 집으로 와서 기쁘다"면서 "치료사의 조언에 따라 향후 며칠간 집에서 일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81세로 고령인 매코널 원내대표는 앞서 지난 8일 워싱턴DC에서 열린 공화당 만찬에 참석했다가 넘어져 쓰러졌으며 뇌진탕 진단을 받고 입원했다. 미국 상원 역사상 최장수 원내사령탑 기록을 가진 매코널 원내대표는 어린 시절 소아마비로 다리를 절게 됐으며 이전에도 낙상 사고를 당한 바 있다고 NYT가 보도했다. 공화당 지도부 가운데 한 명인 그가 입원하면서 공화당 내에서는 입법 시즌에 리더십 부재에 대한 우려가 일각에서 나오기도 했다. 매코널 원내대표는 "나는 자주 상원 동료 및 내 직원과 접촉했으며 상원으로 조만간 복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핵 발언 계속되지만 미국의 전략적 억제 태세 바꿀 이유는 없어" 미국 정부는 26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아직 벨라루스에 전술 핵무기를 배치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존 커비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CBS뉴스 인터뷰에서 "우리는 푸틴 대통령이 (벨라루스에 전술핵무기를 배치한다는) 선언을 이행했거나 어떤 핵무기를 옮겼다는 징후를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커비 조정관은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서 핵무기를 사용할 의도가 있다는 징후를 보지 못했다"며 "핵무기를 사용하면 분명히 중대한 선을 넘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미국 정부는 러시아의 핵무기 상황을 매일 감시하고 있다면서 "전쟁 초반부터 (푸틴 대통령의 핵무기) 발언이 계속되고 있지만 우리가 자체적인 전략 억제 태세를 변경하게 할만한 어떤 것도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이 영국의 열화우라늄탄 지원에 반발하는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서는 열화우라늄탄은 방사성 위험이 없으며 러시아도 사용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지난 25일 동맹인 벨라루스에 전술 핵무기를 배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다만, 배치 시기는 특정하지 않았다. 커비 조정관은 안보 위협으로 지목돼 퇴출 압박을 받는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과 관련해서는 바이든 행정부가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심의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이 안보 우려 때문에 정부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이미 금지했으며, 의회에서 발의한 틱톡 금지법(RESTRICT Act) 통과를 지지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이 미군기지를 겨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