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압 과정서 어린이 1명 사망·400명 체포" 서아프리카 세네갈의 마키 살 대통령이 3선 도전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러나 야권은 세네갈 헌법에 따라 2012년과 2019년에 선출된 살 대통령이 2024년 2월로 예정된 차기 선거에는 출마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진통이 예상된다. 21일(현지시간) AFP 통신에 따르면 살 대통령은 전날 온라인에 공개된 프랑스 잡지 '익스프레스'와 인터뷰에서 자신의 3선 출마와 관련된 법적 논쟁은 이미 해결됐다고 밝혔다. 세네갈은 2016년 대통령 임기를 7년에서 5년으로 단축하기 위해 헌법을 개정하며 "누구도 3연임을 할 수 없다"고 규정했다. 이에 대해 살 대통령은 "개헌 전 헌법자문위원회에서 내 첫 임기는 연임 제한 조항의 적용을 받지 않는 것으로 진작에 결론을 냈다"며 "나의 3선 출마 여부는 법적 논쟁이 아닌 정치적인 논쟁 사안일 뿐"이라고 말했다. 3연임을 제한한 개정 헌법 규정은 개헌 전에 시작된 자신의 첫 임기에는 적용되지 않고 개헌 후인 두 번째 임기부터 적용되기에 내년 대선에 출마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그는 3선 도전 여부에 대해선 "아직 답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며 "지금으로선 할 일이 있고 때가 되면 지지자들에게, 그리고 세네갈 국민에게 내 입장을 알리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야당은 살 대통령이 헌법을 무시하는 의도를 드러냈다며 반발하고 있다. 명예훼손 혐의로 재판받는 야당의 우스마네 손코 대표는 앞서 살 대통령에게 헌법에 금지된 3연임 포기를 공개적으로 선언하라고 압박한 바 있다. 한편 손코 대표의 재판이 시작된 지난 16일 전후 세네갈 곳곳에서는 야당 지지자들의 항의 시위가 이어졌다. 경찰의 진압 과정에서 어린이
반동사상문화배격법 전문 공개…자녀 통제 못한 부모 처벌조항도 북한이 외부 정보에 대한 주민 접근을 원천 봉쇄하기 위해 도입한 '반동사상문화배격법'은 한국을 비롯한 외부에서 유입되는 영상·음악 등 각종 콘텐츠 이용 행위를 총망라해 처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북인권단체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가는 사람들'은 21일(현지시간) 유엔 제네바 사무소 E빌딩 회의장에서 열린 '북한 인권 COI(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 이후 10년간의 변화' 세미나에서 반동사상문화배격법 개정법 전문을 공개했다. 반동사상문화배격법은 2020년 말 제정돼 지난해 8월 개정을 거친 것으로, 전문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체제 유지에 위협이 되는 한국 문화 유입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이 법은 북한 외의 콘텐츠 유포자에게 최대 사형을, 이용자에게는 최대 징역 15년형을 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간 법이 규정한 세부적 처벌 대상 등은 알려지지 않았거나 전언을 통해 보도된 정도였다. 이 법 제3장은 한국을 비롯한 외부에서 제작된 콘텐츠 일체를 반동사상문화로 규정하면서 금지 대상을 나열하고 있다. TV·라디오·컴퓨터·저장매체 등을 이용한 콘텐츠 유포·이용 행위를 금지한다는 내용이 주로 알려져 있지만 제3장에서는 이 밖에도 외제 휴대전화(손전화)를 이용하는 행위, 해당 전화기로 콘텐츠를시청하는 행위 등을 불법으로 지목했고, 복사기·인쇄기를 통한 복제 행위도 금지돼 있다. 대북전단 등을 지칭하는 '적지물'에 불순한 내용이 있는데도 주무 기관에 바치지 않고 보관·시청·이용·유포하면 처벌되며 괴뢰글(한국 출판물 등)과 그림, 상표 등 불순한 물품을 판매하는 행위도 처벌 대상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1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도착했다고 교도통신과 일본 공영방송 NHK가 보도했다. NHK는 기시다 총리가 키이우역에 도착해 열차에서 내리는 영상을 공개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키이우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다. 러시아가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일본 총리가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시다 총리는 젤렌스키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대통령의 리더십 아래 조국을 지키기 위해 나서는 우크라이나 국민의 용기와 인내에 경의를 표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연대와 지원 의사를 전달할 계획이다.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힘에 의한 일방적 현상 변경을 단호하게 거부해 법치주의에 기초한 국제질서를 지켜내겠다는 결의를 재확인할 방침이다. 인도를 방문 중이던 기시다 총리는 애초 이날 오후 귀국할 예정이었으나, 도쿄로 돌아오는 대신 우크라이나로 가기 위해 전세기를 타고 폴란드로 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