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서방, 외교적 해결 의지없어"…러 외무차관들, 비난 공세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주력 전차를 제공하는 등 평화 협상에 대한 의지를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은 불가능하다고 러시아 외무부 고위인사들이 30일(현지시간) 못박았다.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이날 자국 리아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차 지원을 발표하고, 캐나다를 포함한 (미국의) 추종국들이 서로 얼마나 많은 전차들을 공급할지 경쟁하는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물론 그들의 조종자들(미국 등)과 대화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앙겔라 메르켈 전 독일 총리와 프랑수아 올랑드 전 프랑스 대통령, 보리스 존슨 전 영국 총리 등의 솔직한 발언 이후 서방의 중재와 민스크 협정, 노르망디 형식 회담 등에 대한 환상은 완전히 버려져야 한다"고 말했다. 메르켈, 올랑드, 존슨 등은 언론 인터뷰에서 2014년부터 추진된민스크 협정과 노르망디 형식 회담이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 분쟁의 실질적 해결이 아니라 우크라이나가 국방력을 강화할 시간을 벌어주는 데 목적이 있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세르게이 베르시닌 러시아 외무차관도 이날 자국 신문 '이즈베스티야'와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협상의 전제조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면서 "외교를 위해선 정치적 의지가 필요한 데 우크라이나와 서방 조종자들에겐 그러한 의지가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가 앞서 서방의 지원 하에 민스크 협정 이행을 보이콧했고, 지난해 3월 (튀르키예) 이스탄불 협상 이후에는 러시아와의 (휴전) 협상도 중단했다"고 비판했다. 민스크 협정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시발점이 된 우크라이나 동부돈바스 지역 분쟁 해결을 위한 평화협정이다. 돈바스 지역의 친러 분리주의 반군과 우크라이나 정부 간 무력 분쟁을 종식하기 위해 2014년 9월 유럽안보협력기구(OSCE)의 중재 아래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서명됐다. 노르망디 형식 회담은 역시 돈바스 지역 분쟁 해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러시아·우크라이나·프랑스·독일 4자가 2014년 6월부터 진행한 국제 평화회담을 일컫는다. 서방 중재국들은 노르망디 형식 회담을 통해 민스크 협정 이행과 돈바스 분쟁 해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결국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됐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국은 지난해 3월 말 이스탄불에서 튀르키예의 중재로 휴전을 위한 5차 대면 협상을 시도했으나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으며, 이후 전쟁은 1년 가까이 계속되고 있다. 전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미국은 앞서 주력전차 M1 에이브럼스 31대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독일과 캐나다는 각각 자국이 보유한 레오파르트2 전차 14대와 4대를, 영국은 챌린저2 전차 14대를 보낼 방침이다.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문이 임박한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의 동부에서 폭력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이슬람국가(IS) 산하 민주군사동맹(ADF) 반군이 29일(현지시간) 민주콩고 동부의 마을을 잇달아 공격해 주민 최소 15명이 살해됐다고 지방 관리들이 밝혔다. 지난 22일 민주콩고 노스키부주 베니 지역에서 ADF의 유사한 공격으로 23명이 사망한 지 1주일 만이다. 지방 관리 디외돈 말랑가이는 "일요일 오전 4∼5시 사이에 세 마을에서 동시다발적인 공격이 있었다"며 "만얄라 마을에서 시신 7구를 발견했고, 오페이 마을에서 여성 7명을 포함해 8명이 사망했다"고 전했다. 말랑가이는 "ADF 반군이 우간다 접경 이투리주의 3개 마을을 공격한 뒤 반디베즈 마을도 공격했지만, 군인들의 저항으로 민간인 사망자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선 지난 15일에도 ADF 반군으로 추정되는 무장세력이 노스키부주의 한 교회에서 폭탄을 터뜨려 최소 14명이 숨졌다. IS는 르완다에 뿌리를 둔 ADF 반군을 '중앙아프리카의 화신'으로 부른다고 AFP 통신은 전했다. 광물자원이 풍부한 민주콩고 동부지역에는 ADF와 M23 반군, 말라이카 민병대 등 수십 개의 무장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이에 민주콩고 정부는 폭력 사태를 막기 위해 2021년 5월 노스키부주와 이투리주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경찰과 군대로 민간 행정관을 교체했다. 한편 프란치스코 교황은 오는 31일부터 다음 달 5일까지 민주콩고 수도 킨샤사와 남수단 수도 주바를 순방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트럭 크기의 소행성 '2023 BU'가 지난 26일(현지시간)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남아메리카 상공을 무사히 지났지만, 소행성 충돌에 대응하기 위한 위험 탐지 능력의 개선 필요성을 보여줬다고 로이터 통신이 29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2023 BU는 지름 5∼50m급 소행성 그룹 중에서도 작은 편이어서 애초부터 별 피해가 우려되지 않았으나 지구 상공 통과 며칠 전에야 발견됐다. 천문학자들은 현재의 탐지 능력으로는 5∼50m급 소행성은 충돌 며칠 전까지도 시점을 예상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게다가 약 20m 크기로 2013년 러시아 남부 상공을 덮친 첼랴빈스크 운석은 수만개의 유리창이 깨지고 3천300만달러(약 405억원) 규모의 피해를 초래하는 충격파를 일으켰다고 로이터는 소개했다. 그러면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탐지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개선책이 있음에도 현 대응체계에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전했다. 이 매체가 지칭하는 개선책은 '네오 서베이어'(NEO Surveyor)라는 소행성 탐사 전용 우주 망원경을 뜻한다. 우주에 발사될 이 망원경은 지구 궤도에 4천800만㎞ 이내로 접근하는 140m 이상의 지구 근접 천체를 90% 이상 찾아내는 목표를 갖고 있다. 미국 의회가 지난 2005년 법으로 NASA에 요구한 목표다. 애초에는 완성 시점이 2020년으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발사 시점이 2028년으로 미뤄져있다. 하지만 작년 10월 NASA의 '쌍(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을 통해 소행성에 우주선을 충돌시켜 궤도를 바꾸는 인류 최초의 지구 방어 실험이 성공한 만큼 위험 탐지 능력의 중요성은 훨씬 더 커졌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존스홉킨스 응용물리학 연구소 소속 과학자인 테릭 데일리는 "소행성을 발견해야 한다"며 "네오 서베이어가 제일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