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데타 군부 무기구매용 수입창출 억제할 방침 미국은 며칠 안으로 미얀마 군사정부에 대한 추가 제재를 발표할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이 22일(현지시간) 고위급 국무부 관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데릭 촐릿 국무부 선임고문은 이날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기자들에게 제재가 미얀마 군정의 무기 구매용 수입 창출을 어렵게 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자카르타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사무국 소재지이다. 촐릿 고문은 "우리는 군정에 대한 압력을 높이고 그들의 수입 창출을 더 곤란하게 전념하고 있다"며 미얀마가 문제의 수입으로 전쟁 기계를 계속 돌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얀마는 동남아시아의 한가운데에서 실패 국가가 되는 길을 가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특히 미얀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러시아가 군정에 군사 장비를 공급하는 것을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군정이 더 이상 무기를 수입할 수 없도록 하는 데 큰 진전을 이룩할 방법은 러시아가 미얀마에 대한 무기 공급을 중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지금까지 미얀마 국내 개인 80명과 기관 30여곳에 제재를 부과했다고 촐릿 고문은 말했다. 그는 또 아세안이 모든 회의에서 미얀마 군부 지배층 출신의 정치적 대표를 배제하라고 촉구했다. 아세안은 현재 고위급 회담에서 군정 지도자는 참석하지 못하게 하고 있으나 제재 부과에는 이의를 제기했다. 촐릿 선임 고문은 주로 대(對)아세안 정책에 관여하고 있다. 지난 2021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미얀마 군부에 대해 꾸준히 비판의 목소리를 내왔다. 미얀마 군부는 반대론자에 대한 무자비한 진압으로 나라를 혼란 속
1월31일 발효…지금까지 6명 안락사 시행 호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SA)주에서 자발적 안락사법이 발효된 지 2개월도 안 돼 30명이 넘는 사람들이 신청했으며 이 중 6명이 새 법에 따라 생을 마감했다. 22일(현지시간) 호주 ABC 방송 등에 따르면 SA주의 자발적 안락사법은 25년간 17번의 시도 끝에 2021년 SA주 의회를 통과했으며 1년 6개월 만인 지난 1월 31일 발효됐다. SA주 보건당국은 이 법이 시행된 후 지금까지 32명이 신청했으며 이 중 11명에게 승인이 내려졌다고 밝혔다. 또 승인을 받은 11명 중 6명이 약물을 투여받거나 스스로 투약해 생을 마감했다고 전했다. 이 법에 따르면 자발적 안락사를 신청하려면 18세 이상 성인으로 호주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이어야 하고 SA주에서 최소 12개월 이상 거주해야 한다. 또 2명 이상의 독립적인 의료 전문가로부터 환자의 상태가 치료 불가능하고 질병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으며 기대 수명이 6∼12개월 미만이라는 판단을 받아야 한다. 환자가 독립적으로 안락사를 결정할 능력이 있으며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다는 점도 증명해야 한다. SA주는 지금까지 의사 44명이 의무적인 자발적 안락사 훈련을 마쳤다며, 추가로 54명이 훈련 과정에 등록했다고 설명했다. 호주에서는 지난해 5월 뉴사우스웨일스(NSW) 주의회가 자발적 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을 통과시키면서 모든 주에서 안락사가 합법화된 상태다. 다만 준(準)주인 노던 준주(NT)와 수도 준주(ACT)에서는 아직 법이 제정되지 않았으며 NSW주에서는 오는 11월 28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가장 최근에 법이 발효된 곳은 SA주다. 호주에서 안락사 법안이 가장 먼저 마련된 곳은 빅토리아주로 2017년 주의회를 통과한 뒤
도난 후 고철로 판매된 듯…환경단체 "주변 지역 오염 우려" 태국 금속 재활용 공장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 발전소에서 사라진 세슘-137이 든 부품이 고철로 판매돼 공장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22일 네이션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쁘라찐부리주 까빈부리 지역 한 철강주조공장에서 방사성 물질이 나왔다. 쁘라찐부리 사마하폿의 화력발전소에서 세슘-137이 든 무게 25㎏ 강철 재질 원통 부품이 없어졌다는 지난 10일 신고 이후 당국은 주변 지역 금속공장을 점검해왔다. 정부는 금속 재활용 공장 중 한 곳에서 방사능에 오염된 붉은 분진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부품이 금속공장 용광로에서 녹았으며 방사성 물질 유출로 인한 위험은 없다고 주민들을 안심시켰지만, 금속공장이 어디인지 등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당국은 공장을 폐쇄하고 안전 조치를 시행 중이다. 경찰은 세슘-137이 든 부품이 지난달 발전소에서 도난당해 고물상에 판매된 것으로 보고 수사 중이다. 정부는 "상황이 통제되고 있으며 방사성 물질 유출에 대해 걱정할 것 없다"며 "금속공장 주변 지역에서 방사능 오염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들은 이번에 방사능 수치가 확인된 것이 발전소에서 사라진 부품 때문인지도 확실치 않다며 우려를 제기했다. 전문가들은 여과 장치를 거쳤다고 해도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분진 일부는 공장 굴뚝을 통해 빠져나와 주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토양과 물, 농작물 등을 오염시켰을 가능성이 있으며, 주민들의 건강도 해칠 수 있다고 이들은 주장했다. 아넥 라오탐마탓 고등교육과학연구혁신부장관은 "방사성 물질이 지역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