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 발의 법안, AI 등 12개 광범위 분야에서 제한 가능" 미국 의회가 중국 바이트댄스의 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틱톡을 시작으로 다른 중국 애플리케이션(앱)은 물론 다른 국가의 앱까지 미국에서 차단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6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틱톡에 대한 미국의 금지 조치가 중국의 다른 소프트웨어와 서비스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나아가 전 세계 국가들을 미국의 동맹과 중국 앱을 받아들이는 국가들로 양분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관련 법안에 따르면 틱톡뿐 아니라 앞으로 바이트댄스의 동영상 편집 앱 '캡컷'과 중국의 온라인 패스트패션 브랜드 쉬인(Shein), 중국 대형 전자상거래 기업 핀둬둬의 미국 쇼핑몰 테무(Temu), 결제 앱인 알리페이와 메시지 앱인 위챗 등도 금지될 수 있다고 WSJ은 관측했다. 미국 의회에서는 최근 틱톡을 금지하는 법안이 여러 개 발의됐다. 그중에서도 가장 탄력을 받는 법안은 마크 워너 상원의원(민주당, 버지니아주)과 존 슌(공화당, 사우스다코타주) 의원이 발의한 것으로, 워너 의원은 양당 의원 10명의 법안 지지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미 상무부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면 틱톡을 금지할 수 있다. 현재 미국 내의 관심은 틱톡에 집중돼 있으나, 만약 워너-슌 법안이 통과된다면 미 행정부가 금지할 수 있는 영역은 훨씬 넓어지게 된다. 이 법안은 틱톡뿐 아니라 인공위성, 인공지능(AI),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등 12개의 광범위한 기술 범주에 대해 행정부가 금지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글렌 거스텔 전 미국 국
알리바바 소유 SCMP "교사·학생과 교육·챗GPT 기술 등 대화" 당국의 규제를 비판한 뒤 '미운털'이 박혀 해외를 떠돌던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이 1년여 만에 귀국했다고 차이롄서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중화권 매체가 2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알리바바 본사가 있는 저장성 항저우의 한 터널에서 마윈이 탑승한 도요타 코스터 미니버스가 포착됐다. 목격자는 "마윈의 모습을 또렷하게 확인했다"며 "마윈은 동승했던 두 사람과 수시로 대화를 나눴다"고 전했다. 차이롄서 확인 결과 당시 차량에는 장융 알리바바 회장이 운전석을 등지고 앉아 있었고, 탁자를 사이에 둔 맞은 편에는 마윈과 사오샤오펑 앤트그룹 부사장이 나란히 앉아 있었다. 알리바바가 소유한 SCMP는 소식통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1년 넘게 해외여행 중이던 마윈이 최근 귀국했으며 이날 알리바바의 본사가 있는 항저우에서 그가 세운 윈구 학교를 방문했다"고 보도했다. SCMP는 마윈이 윈구 학교의 야외 테이블에서 교직원과 대화를 나누는 사진을 홈페이지를 통해 배포하면서 마윈이 교사, 학생들과 교육 문제, 챗GPT 기술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2017년 알리바바가 자금을 대 설립한 윈구 학교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과정까지 운영한다고 설명했다. SCMP는 그동안 소식통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마윈의 해외여행 일정을 종종 소개해왔다. 마윈은 2020년 10월 중국 금융 당국의 규제를 강도 높게 비판한 뒤 공개 석상에서 자취를 감추고, 여러 국가를 전전했다. 지난해 네덜란드와 스페인의 농업 기술 연구소를 방문했고, 일본에서 석 달간 체류하며 참다랑어 등 어
러시아의 군수산업 역량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서방 국가들에 비해 크게 뒤처져있다는 평가가 미국 싱크탱크에서 나왔다고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국방 및 외교 전문 싱크탱크인 전쟁연구소(ISW)는 지난 25일 낸 일일 평가 보고서에서 "러시아의 군수산업 잠재력이 서방에 매우 뒤처져있다"며 서방이 가용 자원과 산업 역량 균형 면에서 전체적으로 러시아를 앞선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전에서 러시아의 전쟁 수행 능력은 서방의 핵심적인 관심사로, 서방 제재도 러시아의 군산 복합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국영 TV 러시아24와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3년 내에 총 1천600대의 전차를 생산 또는 개량하고 탄약 생산도 3배로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우크라이나의 포탄 사용량은 하루 5천발에 달하지만, 미국의 생산량은 월 1만4천∼1만5천발에 불과하다며 서방이 현재의 지원을 지속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는 우크라이나 지원이 별 소용 없는 일이라는 그릇된 인상을 만들려는 의도에서 나온 발언이라고 ISW는 풀이했다. 그러면서 ISW는 러시아는 현재의 군사작전을 계속하려면 전시체제가 불가피하지만 서방 국가는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전시체제를 채택할 필요도 없다고 덧붙였다. ISW는 "푸틴의 발언은 러시아와 서방 국가 사이의 경제력 및 군수산업 역량의 균형과 러시아의 현실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