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인 "펠로시는 범죄자, 난 폭정에 맞선 것" 음모론 주장 펠로시 "남편 목숨 앗아갈 뻔한 폭행 영상 볼 생각 없다"
낸시 펠로시 미국 전 하원의장 남편이 작년 10월 둔기 폭행을 당했을 당시의 상황을 보여주는 동영상이 27일(현지시간) 공개됐다 샌프란시스코 법원은 이날 폭행범 데이비드 디파페(42)가 민주당 소속 낸시 펠로시 전 의장의 남편 폴 펠로시(82)를 망치로 공격할 때의 장면이 담긴 경찰관 보디캠(body-cam) 동영상 등을 언론에 제공했다.
앞서 AP 통신과 CNN 방송 등 미국 언론들은 지난달 동영상을 비롯해 증거 자료 접근을 요청했고, 법원은 지난 25일 사건 당시 동영상을 비밀로 할 이유가 없다면서 이번에 공개했다.
동영상에는 작년 10월 28일 폴 펠로시의 911 신고 전화를 받고 경찰관 2명이 샌프란시스코 자택 앞에 출동했을 때 상황, 범인 디파페가 폴 펠로시를 겨냥해 해머를 휘두르는 장면 등이 고스란히 담겼다.
사건 당시 낸시 펠로시 전 의장은 자택에 없었고, 남편 폴 펠로시가 범인의 둔기 공격을 받고 머리 등을 크게 다쳤다.
영상 자료에 따르면 경찰관들은 당시 폴을 잡고 있는 디파페를 확인하고 그가 손에 쥔 망치를 버리라고 명령했다.
하지만 디파페는 이를 거부하더니 느닷없이 경찰이 보는 앞에서 폴을 공격했다.
폴이 사건 당시 911에 전화를 걸어 비상 상황임을 암시하는 통화 내용, 디파페가 경찰에 진술한 내용 등도 이번에 함께 공개됐다.
사건 당일 새벽 디파페의 침입을 받은 폴은 범인이 보는 앞에서 911에 전화를 걸어 그의 요구 사항을 전달했고 우회적으로 구조를 요청했다.
폴은 신고 접수 요원에게 "내 아내 낸시가 (집에) 돌아오기만을 기다리는 한 신사가 있다.
그는 모든 상황이 괜찮다고 하지만, 나에게 문제가 생겼다"고 말했다.
이에 범인이 "나는 그들(펠로시 부부)의 친구"라면서 통화에 끼어들었고, 폴은 '이 남자를 아느냐'는 911 요원의 질문에 "모른다"고 답했다.
디파페는 경찰에 체포된 뒤 낸시 펠로시 전 의장을 붙잡아 몇 가지를 물어보려 했다는 범죄 계획을 털어놓으면서 "낸시가 (내 질문에) 거짓말을 했다면 그의 무릎뼈를 부러뜨렸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낸시와 민주당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운동을 염탐한 범죄자였다는 음모론을 펼치면서 자신이 과거 영국의 폭정에 맞서 싸운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과 같다며 범행을 정당화했다.
현재 디파페는 폭행 및 살인 미수 혐의에 무죄를 주장하고 있으며, 그의 변호인은 이번 영상 공개가 선동적이고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가 훼손됐다고 말했다.
낸시 펠로시 전 의장은 영상 공개 이후 기자들과 만나 "남편의 목숨을 앗아갈 수 있었던 폭행 영상을 볼 생각이 전혀 없다"며 "남편은 (사고 이후 건강 회복에) 진전을 보이고 있지만,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펠로시 전 의장은 남편 피습 사건이 발생한 뒤 작년 11월 민주당 지도부 선거에 나서지 않겠다고 선언했고 현재 당직이 없는 평의원으로 활동 중이다.
미국 정보기술(IT)·금융업계를 중심으로 감원 바람이 지속하는 가운데 정보기술(IT) 컨설팅 기업 액센추어가 비용 절감 등을 위해 직원 1만9천명을 줄이기로 했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액센추어는 이날 공시를 통해 비용 절감과 업무 효율화를 위해 향후 18개월 동안 전체 직원의 2.5% 정도인 1만9천명을 감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액센추어는 다음 회계연도까지 이어질 감원 등을 포함한 사업 효율화 작업에 대략 15억 달러(약 1조9천400억원)의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회사는 현재 전 세계에 73만8천명 정도의 직원을 두고 있다. 액센추어는 앞서 지난 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5% 늘어난 158억 달러(약 20조4천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올해 매출 증가율 전망치를 종전 8∼11%에서 8∼10%로 소폭 내렸다. 한편 월마트도 전자상거래 부문에서 수백명을 감원할 계획이라고 로이터통신이 이날 전했다. 월마트의 한 대변인은 미국 내 5개 지역에 위치한 전자상거래 물류센터에서 일하는 직원 수백명에게 90일 안에 월마트의 다른 시설에서 일자리를 찾아보도록 통보했다고 밝혔다. 구조조정 대상은 뉴저지주 페드릭타운에서 200여명, 텍사스주 포트워스와 캘리포니아주 치노, 플로리다주 대븐포트, 펜실베이니아주 베들레헴에서 수백명 규모라고 설명했다. 이 대변인은 이번 구조조정이 주말·저녁 근무조의 감축 또는 폐지에 따른 조치라면서 감원 대상 직원들이 미국 5천여개 월마트 매장 등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美 시카고대 여론연구센터, 전국 비만율·동반질환 지도 공개 미국 국민 5명 중 2명이 비만이며 일부 주는 비만율이 50%를 넘어섰다고 미국 인터넷매체 악시오스가 23일(현지시간) 시카고대 여론연구센터(NORC) 분석 결과를 인용해 보도했다. NORC가 공개한 미국 비만 유병률 및 동반 질환 지도(https://obesitymap.norc.org)에 따르면 미국 국민 중 체질량지수(BMI) 30 이상 비만은 전체의 42%로 나타났으며, 비만율이 가장 높은 주는 미시시피와 웨스트버지니아로 각각 51%였다. 비만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워싱턴 DC로 33%였으며, 다음으로 낮은 주는 콜로라도주 35%, 매사추세츠주 35.5%, 하와이주 35.8% 등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NORC는 BMI 30 이상을 비만으로 분류해 비만 유병률과 고혈압, 관절염, 뇌졸중, 심혈관질환, 당뇨병 등 9가지 질환과의 관계 등을 분석해 지도를 제작했다. 연구팀은 비만은 고혈압과 심혈관 질환, 뇌졸중 등 예방할 수 있는 조기 사망 주요 원인 질환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미국에서 비만은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해왔다고 밝혔다. 또 분석에 따르면 흑인과 히스패닉계 미국인이 다른 인종보다 비만의 영향을 불균형적으로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라 레이엘 NORC 의료전략 담당 이사는 "미국인 수백만 명이 만성적이고 복잡한, 하지만 치료가 가능한 비만이라는 질병을 앓고 있다"며 "이 비만율 분석은 특정 지역의 비만 유병률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는 동시에 비만이 모든 주의 문제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비만을 앓는 성인 수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연구자와 정책입안자 모두 비만과 다른 질환의 상호작용
필리핀의 대미 접근에 위기감 느낀 듯 미국과 협력하며 중국 견제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필리핀에 중국이 고위 당국자를 파견했다. 24일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쑨웨이둥 외교부 부부장(차관)은 전날 마닐라에서 열린 중국-필리핀 외교협상과 남중국해 문제 관련 회의 등에 참석해 엔리케 마날로 외교장관, 마리아 라자로 외교차관 등과 만났다. 쑨 부부장은 마날로 장관과의 회동 때 "중국과 필리핀은 바다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가까운 이웃"이라며 "건강하고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양국민의 염원을 따르는 일이며, 양국 공동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또 "현재 국제 및 지역 정세에는 심각하고 복잡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며 양국의 정치적 상호 신뢰를 심화하고 실무 협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두 나라 사이에 영유권 갈등이 존재하는 남중국해 문제를 "양자 관계의 적절한 위치에 둬야 한다"며 "우호적 협상을 통해 이견을 적절히 처리하고, 중-필리핀 관계와 지역의 안정적인 대국을 함께 수호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중국이 필리핀에 고위 당국자를 파견한 것은 최근 자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과 필리핀의 공조가 심상치 않다고 보고, 달래기 및 견제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필리핀은 최근 미국과 공동 해상순찰을 하기로 합의하고 자국 내 군기지 4곳의 사용권을 추가로 미국에 제공키로 했다. 이 중 필리핀 본섬인 루손섬 북부에 위치한 군기지 2곳은 중국 견제를 위한 군사 전략적 요충지로 꼽힌다. 또 지난달 남중국해 세컨드 토마스 암초 지역에서 필리핀 선박을 향해 중국 함정이 레이저를 쏘자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주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