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텍사스 웨이코서 첫 유세…"검찰 수사는 마녀사냥"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텍사스주 웨이코에서 2024년 대선 첫 유세 행사를 열고 자신을 겨냥한 검찰 수사를 '스탈린식'이라고 비난하며 지지를 호소했다고 로이터·AP 통신이 보도했다. 로이터와 AP는 뉴욕 검찰이 그의 성관계 입막음 의혹에 대한 기소 여부 결정을 앞둔 가운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날 행사에서 어둡고 음모적인 표현을 사용해 지지층 결집에 나섰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뉴욕 검찰은 조만간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16년 대선을 앞두고 성추문 의혹에 관한 전직 성인영화 배우의 입을 막기 위해 돈을 건넨 사건의 기소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웨이코 공항에 모인 지지자들에게 분노로 가득 찬 연설을 통해 1·6 의회폭동 참가자들을 옹호하고 자신을 수사하는 검사들을 비난하면서 검찰 수사를 자신과 지지자들에 대한 정치적 공격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에 대한 수사는 "스탈린주의 러시아 호러 쇼에나 나올 법한 것"이라며 "처음부터 마녀사냥과 가짜 수사가 연달아 이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분의 정당성은 입증되고 자랑스럽게 될 것"이라며 "우리 사법 시스템을 부패시키고 있는 폭력배들과 범죄자들은 패배하고, 불신받고, 완전히 불명예스럽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자인 테일러 그린(공화) 하원의원은 행사에서 "검찰은 단지 트럼프 전 대통령만 쫓는 게 아니라 여러분을 쫓고 있고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들을 막고 있는 유일한 사람"이라며 "법무부를 되찾아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AP와 로이터는 또 트럼프 전 대통령의 첫 유세
일본 정부가 다음 달 13일에 종료되는 독자 대북 제재를 2년간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현지 공영방송 NHK가 2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북한이 전례 없는 빈도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북한 선적 선박의 일본 입항과 수출입 금지 등의 내용을 담은 대북 제재를 지속할 방침이다. 일본 정부는 내달 초순 각의(국무회의)에서 대북 제재 연장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정부는 북한의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에 반발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와 별도로 2006년 북한에 대해 수입과 관련 선박의 입항을 금지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아울러 일본은 지난해 12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관여한 단체 3곳과 개인 1명을 자산동결 대상으로 추가 지정한 바 있다. /연합뉴스
홍콩매체 "중국, 미국 규제에도 주요 기술 발전에 자신감 보여" 중국 3대 통신사 중 하나인 차이나유니콤이 6세대 이동통신(6G)을 2025년까지 초기 도입하고 2030년에는 상용화를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6일 중국 매체를 인용, 차이나유니콤의 류례홍 최고경영자(CEO)가 전날 개막한 중국발전고위급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전했다. 류 CEO는 2019년부터 6G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해왔다면서 '6G 초기 응용 시나리오'가 2025년까지 중국에 도입될 것이며, 중국에서 6G 상용화는 2030년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행사에서 진좡룽 중국 공업정보화부장은 중국이 글로벌 6G 연구·개발을 선도하고 있고 이미 5세대 이동통신(5G) 네트워크와 응용에서도 앞서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SCMP는 "두 사람의 발언은 미국과의 무역·기술 분쟁에 심화하고 있음에도 주요 기술 발전에 대한 중국의 자신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들의 발언은 지난 22∼24일 난징에서 열린 '글로벌 6G 콘퍼런스'에서 논의된 내용과 맥을 같이 한다고 덧붙였다. 이 행사에서 업계 전문가들은 중국의 6G 서비스가 2030년 초 시작될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 등 중국 3대 통신사는 모두 6G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으며 동시에 중국 전역에서 5G 인프라와 서비스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은 231만여개의 5G 기지국을 세워 세계 최대 규모의 5G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그러나 미중 간 긴장 속에서 화웨이와 ZTE 등 중국 주요 통신장비 업체는 미국의 다양한 제재로 스마트폰과 네트워크 장비 등에 필요한 첨단 반도체 수급에 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