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선물 가격, 6월 27일 이후 최고치
ICE미국달러지수는 올 4분기 들어 7% 하락
Fed가 금리 인상 중단하면 금 가격 상승세 계속 될 듯
금 선물 가격이 최근 6개월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이 지난 3년간 지속해온 ‘제로 코로나’ 정책을 완화한 가운데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금값이 올랐다.
27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내년 2월물) 가격은 트로이온스당 전거래일 대비 1.1%오른 1823.1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시장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이 가격은 장중 1841.90달러까지 오르기도 했다. 지난 6월 27일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은 선물 가격도 동반 상승해 온스당 전거래일 대비 1.2% 오른 24.22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금 가격 상승을 야기한 건 중국의 코로나19 규제 완화 조치다. 지난 26일 중국 정부는 다음달 8일부터 코로나19에 대한 감염병 관리 등급을 ‘갑’에서 ‘을’로 낮추고 입국자 시설격리 조치를 폐지하기로 했다. 지난 7일 상시적인 전수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폐지하는 등 방역 완화 조치를 내놓은 데 이은 후속 발표다.
27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COMEX)의 금 선물(내년 2월물) 가격 추이. 자료=CNBC 캡쳐이번 조치에 따라 중국 내 코로나19 감염자는 격리 조치를 받지 않게 된다. 코로나19 확산 지역에 지정됐던 감염 고위험·저위험 지역 구획도 사라진다. 중국 입국자와 화물에 대한 감염병 검역 관리 조치도 중단된다. 그간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중국 정부가 진행했던 고강도 방역 조치를 사실상 해제하는 셈이다.
중국이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을 본격화할 것이란 기대감이 돌면서 미국 달러는 약세를 보였다. 투자전문매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주요 통화 바스켓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ICE미국달러지수는 27일 전일 대비 0.2%하락한 104.09포인트를 기록했다. 올 4분기 들어 7% 하락했다.
시장조사업체 세븐스리포트는 “금 가격은 최근 수개월 최고치에 근접했다”며 “내년 달러 약세라는 아이디어가 결실을 맺는다면 금은 내년 시장에 긍정적인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속도 완화에 대한 기대감도 달러 약세를 이끌면서 금값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금리가 오르면 이자율과 채권 수익률이 오르면서 금 보유의 기회비용이 늘어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윙 OCBC FX 전문가는 “금은 공격적인 통화 긴축 정책, 실질 수익률 상승, 달러 강세 속에서 올해 내내 대부분 약세를 보였지만 Fed가 정책 조정 모드로 전환하면서 그 흐름이 바뀌었다”며 “Fed가 (금리 인상) 정책을 선회한다면 금 가격의 지속적인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훈련 중인 미국 육군 헬리콥터 2대가 상공에서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29일(현지시간)로이터 통신 등 현지 언론은 이날 오후 10시께 미국 켄터키주 상공에서 훈련 중이던 육군 헬기 2대가 충돌한 뒤 추락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육군 대변인은 "101 공수 사단 소속 HH60 수송용 블랙호크 헬기 2대가 켄터키주 포트 캠벨 기지 인근 트리그 카운티에서 정기훈련 중 충돌했다"고 밝혔다.충돌 후 추락한 헬기에 불이 붙어 소방 당국이 진화 작업을 벌였고, 장병 9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당시 사고가 야산 지역에서 발생해 민가의 피해는 없었다. 앤디 베시어 켄터키 주지사는 30일 트위터를 통해 "어젯밤의 비극적인 사건을 겪은 우리 장병과 유족들을 지지하기 위해 오늘 아침 포트 캠벨로 간다"고 밝혔다.한편, 블랙호크 헬기를 개조해 만든 HH60 헬기는 주로 병력 구조용으로 사용된다.앞서 2018년 이라크에서 조종사의 실수로 HH60 헬기가 건물 사이에 있는 강철 케이블을 들이받고 추락해 군인 7명이 사망한 바 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미국 노동시장은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노동부는 지난주(3월 19~25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19만8000건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발표했다. 시장 추정치인 19만5000건을 웃돌았고 전주(19만1000건)보다 늘었다. 그러나 3주 연속 20만 건 미만으로 역사적으로는 낮은 수준이다.2주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건수(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68만9000건으로 시장 추정치인 169만3500건을 밑돌았다.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주일 전 기준이다.미국의 노동시장이 여전히 열기를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후 다른 은행도 위기라는 우려가 나오고, 기술기업을 중심으로 해고가 이어지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노동시장에 큰 충격을 주진 않았다는 해석이다.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소속 기자 에반 게르시코비치(32)가 러시아 간첩 협의로 현지에서 체포됐다.30일(현지시각) 인테르팍스, 스푸트니크 통신 등은 러시아 연방보안국(FSB)이 이날 WSJ 모스크바 지국 소속 게르시코비치 특파원을 간첩 혐의로 체포해 러시아 중부 도시 예카테린부르크에서 구금했다고 보도했다.냉전 이후 미국인 기자가 러시아에서 간첩 혐의로 체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러시아에서 간첩 혐의로 유죄 판결받을 경우 최대 20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고 AP 통신은 보도했다.FSB는 "게르시코비치는 미국의 지시에 따라 러시아 군산 복합 기업 중 한 곳의 활동에 대한 기밀 정보를 수집했다"며 "미국 정부를 위한 게르시코비치의 불법 활동이 중단됐다"고 밝혔다.그렇지만 FSB는 게르시코비치의 혐의와 관련한 구체적 증거는 제시하지 못했다.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는 게르시코비치 기자가 모스크바로 이송돼 FSB의 미결수 구금시설인 레포르토보 교도소에 수감될 것이라 관측했다.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전화회의에서 "이번 사안은 FSB 소관"이라면서도 "우리가 아는 한 그 기자는 현행범으로 적발됐다"고 전했다. 하지만 WSJ 모스크바 지국의 업무에 대해선 "정상적인 취재 활동을 수행하는 WSJ 직원들의 업무 지속에는 아무 장애물이 없다"며 "허가받은 기자들은 계속 일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이번 사건을 계기로 미국이 자국 내 러시아 매체를 상대로 보복할 가능성에 대해선 "그런 일이 없기를 바라고, 있어서도 안 된다"고 날을 세웠다.이번 사건이 미국과의 죄수 교환의 계기가 될 수 있는지 질문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