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들이 '주 최장 69시간' 근로시간 개정안 추진과 관련한 논란을 조명한 보도를 잇따라 전하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은 "한국에서 주당 근로시간 상한을 52시간에서 69시간으로 늘리는 방안이 젊은 노동자들의 극심한 반발을 불렀다"고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둘러싼 세대 간 논쟁도 촉발됐으며, 이같은 현상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흐름 중 하나라고 NBC는 평가했다. 미국에선 맡은 일만 최소한으로 소화하는 직장인을 가리키는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이나 자발적 퇴직이 급증하는 추세를 의미하는 '대퇴사(The Great Resignation)' 등 신조어가 유행하고 있다. 프랑스에선 연금 100% 수령 나이를 62세에서 64세로 늦추는 내용의 연금 개혁에 반대하는 국민 시위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NBC는 "코로나19가 유행하는 동안 더 짧은 근무시간이나 재택근무에 익숙해진 많은 노동자가 임금을 벌기 위한 노동에 지배되는 과거의 삶으로 돌아갈 의향이 있는지 재고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특히 한국의 경우 과도한 노동과 관련한 우려가 심각한 편이라고 지적했다. 한국 근로자의 연평균 노동시간은 2021년 기준 1915시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네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프랑스 근로자의 연평균 노동시간은 각각 1791시간과 1490시간이다. NBC는 한국은 초과근무가 일상적인 데다 일을 끝내도 상사보다 먼저 퇴근하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짚었다. 퇴근 후엔 회식까지 있어 과로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고도 지적했다. 최근 직장인을 위한 '낮잠카페'에 대한 관심
채권국 협상·세계은행 등서 37억달러 추가 지원도 모색 '국가부도' 상황 속에서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지원을 확보한 스리랑카가 조속한 경제 안정을 위해 채무 재조정 협상과 함께 다른 국제기구의 추가 지원 모색에 나선다. 22일(현지시간) 이코노미넥스트 등 스리랑카 매체와 외신에 따르면 라닐 위크레메싱게 스리랑카 대통령은 IMF가 승인한 구제금융 가운데 1차 분할금 3억3천만달러(약 4천250억원)를 지급했다고 말했다. 위크레메싱게 대통령은 "이는 저금리 융자, 외국 투자자의 신뢰 회복 등을 위한 기회를 창출하고 강하고 새로운 경제를 위한 초석도 놓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IMF 이사회는 지난 20일 스리랑카에 4년에 걸쳐 약 30억 달러(약 3조8천600억 원) 규모의 구제금융안을 승인했다. 재정 정책 실패와 대외 부채 급증 등으로 경제난에 시달리던 스리랑카는 지난해 5월부터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로 접어들었다. 이후 스리랑카는 IMF 구제금융 협상과 함께 중국 등 주요 채권국과 채무 재조정 협상도 벌여왔다. 위크레메싱게 대통령은 "다음 달 셋째 주부터 주요 채권국과 차기 라운드 협상을 시작한다"고 말했다. IMF 구제금융 협상이라는 큰 과제를 해결한 만큼 채무 재조정 협상도 조속히 마무리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스리랑카는 지난해 4월 "IMF와 구제금융 협상이 마무리되고 포괄적인 채무 재조정이 준비될 때까지 대외부채 상환을 잠정 중단한다"며 디폴트를 선언한 바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스리랑카의 현재 대외 채무는 약 500억 달러(약 64조4천억원)에 달하며 이 가운데 100억 달러(약 12조9천억원)는 중국, 인도, 일본에서 빌려왔다. 스리랑카는 아울러 세계은행(WB),
폭행 혐의 재판 앞두고 총기 난사…원고·증인 등 숨져 태국에서 또 총격 사건이 벌어졌다. 범인의 총에 맞아 시민 3명이 숨지고 4명이 다쳤다. 범인은 경찰과 15시간 대치 끝에 사살됐다. 22일 네이션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전날 태국 남부 펫차부리주 땀본 똔 마무앙 지역의 쇼핑몰 맞은편 주택가에서 오후 1시 30분께 총격이 시작됐다. 범인은 이후 집 안으로 들어가 거리를 향해 총을 난사했다. 경찰은 범인이 국립공원 전 직원인 아누왓 와엔통(29)이며, 폭행 혐의로 법정 출석을 앞두고 스트레스를 받은 상태에서 범행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사망자 중에는 그가 연루된 폭행 사건의 원고와 증인이 포함됐으며, 지나가던 음식 배달기사도 목숨을 잃었다. 희생자 3명의 머리와 몸 등에서는 30발 넘게 총을 맞은 흔적이 발견됐다. 현장 주변에 있던 여학생, 출동한 경찰 간부 등은 총을 맞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총격 이후 인근 어린이집에 있던 어린이 40명 등 주민이 대피했고, 경찰 100여명이 용의자가 들어간 집을 포위했다. 어머니가 현장에서 확성기로 투항을 권했으나 범인은 거부했다. 결국 22일 오전 4시께 경찰 특공대가 범인이 있던 집 안으로 진입해 그를 사살하면서 15시간 동안 이어진 대치 상태가 종결됐다. 앞서 지난 16일에는 현직 경찰이 자기 집에서 총을 쏘며 24시간 넘게 출동한 경찰과 대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민간인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총기 난동을 부린 경찰은 특공대의 총에 맞아 사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