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트위터를 인수한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조만간 '세계 최고 갑부'의 자리를 내놓을 상황에 놓일 수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현재 테슬라의 기업가치는 머스크가 434억 달러(약 56조원)의 거액을 들여 트위터를 인수하겠다고 밝힌 4월 당시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테슬라 주가는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를 밝히기 전날인 4월 13일만 해도 340.79달러(44만5천원)에 달했으나 이후 트위터 인수와 테슬라 상하이 공장의 생산차질 등과 관련한 우려 때문에 추락해 이달 8일 종가기준으로 173.44달러(약 22만6천500원)로 49%나 급락했다.
머스크는 트위터 인수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4월 이후 200억 달러(약 26조원) 상당의 본인 소유 테슬라 주식을 매각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에 따라 머스크가 보유한 테슬라 주식은 4억4천500만주로 줄었다고 추산했다.
현 시세대로라면 아직도 770억 달러(약 100조5천억원) 상당의 테슬라 주식을 가지고 있는 셈이지만, 4월 당시만 해도 테슬라 주식 4억4천500만주는 1천510억 달러(약 197조원)로 이보다 훨씬 많은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머스크는 세계 최고 갑부의 지위를 위협받을 가능성이 커졌다고 가디언은 지적했다.
실제, 이달 7일에는 프랑스 패션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이 일시적으로 머스크를 누르고 한때 세계 최고 갑부로 집계되기도 했다고 이 매체는 강조했다.
머스크는 트위터 인수 계획을 밝힌 직후인 올해 4월 캐나다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대중의 큰 신뢰를 받는 공공 플랫폼을 갖는 것은 (인류) 문명의 미래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테슬라 주주들은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 등 여러 다른 사업을 벌여온 머스크가 트위터까지 인수하면 테슬라 경영에 제대로 집중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를 보여왔다.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 과정에서 끌어온 고금리 대출을 상환하기 위해 테슬라 보유 주식을 담보로 추가대출을 받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블룸버그 통신 보도가 최근 나온 것도 테슬라 주가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머스크는 이후 트위터에 "거시경제 리스크가 있을 때는 주가가 장기적 잠재력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만큼, 주식담보대출은 피하는 게 현명하다"는 글을 올렸다고 가디언은 덧붙였다.
보복 소비에 관광지·식당가 북적…곳곳서 바가지요금 기승 중국 춘제(春節·설) 귀향객들의 복귀가 본격화되면서 하루 철도 운송객이 1천만 명을 넘어섰다고 펑파이신문 등 현지 매체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국가철도그룹에 따르면 전날 중국 전역에서 1만138회의 여객열차가 운행돼 1천28만8천 명을 운송했다. 올해 춘윈(春運·춘제 특별운송기간) 이래 가장 많은 인원이었다. 작년 같은 때보다 54.3% 늘었으나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에 비해서는 8.2% 감소한 것이다. 이날 철도를 포함한 대중교통 운송객은 4천356만4천 명으로 전년 같은 때에 비해 85.9% 증가했으나 2019년에 비해서는 46.9% 줄었다. 전국 고속도로 운행 차량은 5천629만5천대였으며, 이 중 승용차가 5천443만8천대로 97%를 차지했다. 승용차 통행량은 작년 같은 때보다 33.3% 증가했고, 2019년과 비교해도 23.7% 늘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여전한 상황에서 감염을 피하려고 대중교통 대신 자가용을 이용한 사람이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철도그룹은 춘제 연휴 마지막 날인 27일에는 열차 운행이 1만700회로 늘어나고 운송객은 1천21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춘윈 첫날인 지난 7일부터 춘제 전날인 지난 21일까지 15일 동안 누적 철도 운송객은 1억954만 명으로, 하루 평균 750만 명이었던 것이 지난 25일 859만1천 명으로 늘었고, 26일과 27일에는 1천만 명을 넘어섰다. 국가철도그룹은 남은 춘윈 기간에도 승객이 몰릴 것으로 보고 하루 최대 6천107회의 여객열차를 운행할 계획이다. 이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춘윈 때보다 11% 늘린 것이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엄격한 방역 통제 정책인 '제로 코로나' 시행으로 지난 3년간 고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연구소 오픈AI가 개발한 AI 챗봇 ‘챗GPT’가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클라우드, 검색엔진에 이어 온라인 뉴스 플랫폼에서도 챗GPT를 활용한다. 미국 온라인 미디어업체 버즈피드가 오픈AI와 협업하기로 했다. 챗GPT의 급성장에 구글은 ‘비상경계령(Code Red)’을 내렸다. AI가 검색엔진을 대체할 것이란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챗GPT가 일으킨 바람에 세계 정보기술(IT) 판도가 요동치고 있다. ○기사 쓰는 AI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조나 페레티 버즈피드 최고경영자(CEO)는 직원들에게 보낸 메모를 통해 오픈AI와의 협업을 발표했다. 그는 “AI가 올해 편집과 경영에서 더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오픈AI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2015년 설립한 인공지능 개발사다. 지난해 11월 사람처럼 글을 쓰는 챗봇인 챗GPT를 공개했다.이날 버즈피드 경영진의 발표와 관련해 내부에선 팩트 체크가 부실할 것이란 지적이 나왔다. 앞서 IT전문 매체 시넷이 뉴스 제작에 AI를 도입한 뒤 77개 오보를 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페레티 CEO는 “사람 일을 대체하기 위해 AI를 적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비용 절감보다 AI가 지닌 역량을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설명했다.오픈AI와 손잡았다는 소식에 버즈피드의 주가는 폭등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전 거래일보다 119.88% 급등한 2.09달러에 장을 마쳤다. 챗GPT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치솟았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이날 3%가량 뛰었다.MS는 지난 23일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총 100억달러(약 12조원)를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MS는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와 검색엔진
"아버지 길 따라간다" 장남, 주지사 출마 전망…차남도 시장 도전조코위, 임기 말에도 지지율 76.2%로 고공 행진 임기 후반기임에도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는 조코 위도도(조코위)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두 아들이 내년 선거에서 각각 주지사와 시장에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고 자카르타 포스트 등 현지 언론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조코위 대통령의 장남인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35)는 아버지의 대를 이어 중부자바주 솔로(수라카르타) 시장을 맡고 있다. 그는 몸집을 키워 내년 2월에 있을 대통령·국회의원·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서 중부자바주나 자카르타주 주지사에 나설 전망이다. 조코위 대통령도 솔로 시장을 지낸 뒤 자카르타 주지사를 거쳐 2014년 대통령에 오르는 길을 밟았다. 2021년 솔로 시장에 당선된 기브란 시장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자신의 꿈은 아버지의 길을 따라가는 것이라고 말해 그가 솔로 시장에 이어 주지사에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이와 관련 기브란 시장은 집권 여당인 투쟁 민주당(PDIP)의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의장이 지명해 준다면 2024년 주지사 경선에 참여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다만 출마할 곳이 중부자바주가 될지 자카르타 주지사가 될지는 말하지 않았다. 현재 두 지역 주지사는 모두 내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상황이다. 이미 정계에 진출한 장남과 달리 차남인 카에상 팡아릅(27)은 정계보단 사업에 관심을 보였다. 외식업을 하는 그는 260만 명의 트위터 팔로워를 거느린 인플루언서이자 솔로시 축구팀 퍼르시스 솔로 사에스투의 구단주이기도 하다. 하지만 카에상 역시 아버지와 형을 쫓아 정치에 나설 전망이다. 카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