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장거리 로켓포를 포함해 20억달러(약 2조4600억원) 규모의 무기를 추가로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31일(현지시간) 미국 군 소식통들을 인용, 미국이 이번주 중 우크라이나에 무기 공급 패키지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전날 올리비아 돌턴 백악관 수석 부대변인은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상당한 무기와 안보 지원을 하고 있으며 조만간 추가 지원이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패트리엇 미사일과 에이브럼스 전차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엔 사거리가 150㎞인 지상 발사형 소구경 폭탄 (GLSDB) 시스템과 다연장로켓시스템(GMLRS)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GLSDB는 지상에서 발사하는 공대지 유도폭탄으로 위성항법장치를 장착해 정밀 타격이 가능한 무기다. 로이터는 사거리가 150㎞ 정도의 장거리 로켓이 우크라이나에 지원되는 건 처음이라고 전했다. 미 국방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우크라이나에 GLSDB를 공급하겠다는 보잉사의 제안을 검토해왔다. 다만 우크라이나가 지원해달라고 요청한 전투기와 장거리 미사일은 이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전투기와 장거리 미사일이 있어야 한다"며 "사거리 297㎞의 미국산 장거리 미사일 에이태큼스(ATACMS)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F-16 전투기 지원 계획을 묻는 기자들을 향해 "노(No)"라고 답했다. 미국은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현재까지 272억달러 규모의 군사 원조를 해왔다.지원 규모가
미국 자동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캐나다 리튬 광산 업체인 리튬아메리카스에 8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다.31일(현지시간) 미 CNBC에 따르면 메리 바라 GM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성명을 통해 리튬아메리카스에 6억5000만달러(약 8004억원)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투자로 리튬아메리카스가 생산을 확대하면 GM은 연간 100만대 전기차 생산이 가능한 리튬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그는 "북미 및 자유무역협정(FTA) 국가의 공급업체로부터 중요한 전기차 부품을 직접 조달해 공급망 안정을 강화할 것"이라며 "비용을 관리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는 GM의 배터리 소재 투자로는 역대 최대 규모 투자다. 전문가들은 이번 투자로 GM이 전기차 공급망을 강화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벤치마크 미네랄의 시몬 무어스 CEO는 "(리튬 업체에 대한 투자는) 완성차 업체들이 앞으로 20년 동안 전기차를 만드는 것을 보장하고 우위를 점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이번 투자는 업계에 매우 중요하며 전기차 생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더 큰 투자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
유럽에서 주4일 근무가 확산하는 가운데 미국에서도 주4일 근무를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1일 CNN에 따르면 미국 메릴랜드주 상·하원 의원들은 주 40시간 근무를 시행하는 기업에 세금 공제를 해주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법안을 주도하는 본 스튜어트 하원의원은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주 4일 근무제 실험이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미국의 어떤 주 정부도 고용주에게 실험 비용을 보조하겠다고 제안하지 않았다"며 이유를 설명했다.해당 법안에 따르면 기업들이 세금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1년 이상 2년 이하의 기간 동안 주4일 근무를 시행해야 한다. 시행 뒤엔 메릴랜드 노동부와 관련 데이터를 공유해야 한다.현재 추진 중인 법안 기준으로는 주 정부는 세액공제에 5년간 연간 75만 달러까지 지출할 수 있다. 만일 참여 기업들이 많다면 메릴랜드 노동부는 기업 선택 기준을 만들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스튜어트 의원은 해당 법안 도입을 구상한 데는 최근 주4일 근무 관련 실험 보고서의 영향이 컸다고 밝혔다. 비영리 단체인 '포 데이 위크 글로벌'(4 Day Week Global)과 보스턴 대학, 더블린 대학. 케임브리지 대학 등의 연구원들이 공동으로 실시한 실험에서 대다수의 기업이 생산성과 수익 향상을 경험했다. 또 근로자 대부분이 스트레스, 피로 등을 덜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스튜어트 의원은 해당 법안이 2023년 회기가 끝나기 전에 통과할 수 있겠냐는 질문에 "조심스럽게 낙관적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