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동아시아에서 중국과의 미사일 전력 격차를 줄이기 위해 일본 열도에서 필리핀으로 이어지는 가상의 선인 '제1열도선'에 중거리 미사일 배치를 계획 중인 가운데 일본 배치도 타진하고 있다고 산케이신문이 5일 보도했다. 산케이는 미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미국이 개발하는 극초음속 미사일(LRHW)과 순항미사일 토마호크의 지상 발사형이 후보 미사일로 거론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일본이 적 미사일 발사 거점 등을 공격할 수 있는 '반격 능력' 보유를 위해 배치할 계획인 미사일과 함께 중국의 중거리 미사일망 등 '반접근·지역 거부'(A2/AD) 능력에 대항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접근·지역 거부'는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때 미국 등 타국이 대만을 돕지 못 하게 하는 전략이다. 미국은 아베 신조 정권 말기인 3∼4년 전부터 중거리 미사일의 일본 배치를 타진해 왔으며 일본 정부는 앞으로 이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협의를 본격화할 방침이라고 산케이는 전했다. 배치 장소는 미정이지만 일본 정부 관계자는 "(일본 열도 서남부) 규슈 등이 상정된다"고 말했다. 배치 방식은 인도·태평양 지역을 순회 배치하는 방식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1987년 당시 소련과 체결한 중거리핵전력조약(INF)에 따라 사거리 500∼5천500㎞의 지상 발사형 중거리 미사일을 폐기했고, 현재도 같은 사거리의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반면 중국은 일본 열도를 사정권에 두는 중거리 탄도미사일 약 1천900발을 보유하고 있어 미일과 중국 사이 미사일 격차가 있다. 이에 미국은 2019년 8월 INF에서 탈퇴한 후 중국에 대항할 중거리 미사일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 일본도 작년 말 반
이라크의 한 유명 여성 유튜버가 가족을 떠나 혼자 살았다는 이유로 아버지에게 명예살인을 당했다. 명예살인이란 집안의 명예를 실추시켰다는 이유를 들어 가족 구성원을 직접 죽이는 이슬람권의 악습이다.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데일리메일 보도에 따르면 이라크 출신의 22세 여성 티바 알-알리(Tiba al-Ali)는 지난달 31일 이라크 남부 디와니야에서 아버지의 손에 숨졌다.알리는 2017년 가족과 함께 튀르키예로 여행을 갔다가 이라크로 돌아오지 않고 튀르키예에 홀로 정착했다. 이후 자신의 일상을 담은 영상을 유튜브에 올려 구독자 1만명 이상을 확보하는 등 인기를 얻었다. 시리아 출신 연인과의 결혼도 앞두고 있었다.사건은 알리가 지난달 개최한 '아라비안 걸프 컵'(Arabian Gulf Cup)에 출전한 자국 대표팀을 응원하기 위해 이라크를 찾았을 때 발생했다.알리의 귀국 사실을 알게 된 가족이 그를 납치해 디와니야에 위치한 본가로 데려갔고, 딸이 타국에서 혼자 사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던 그의 아버지가 알리가 잠든 틈을 타 그를 죽였다.알리의 아버지는 이후 경찰에 범행을 자백하면서 "수치스러움을 씻어내기 위해 딸을 죽였다"고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다.알리의 죽음이 전해지자 이라크 사회는 이슬람권을 중심으로 자리 잡은 '명예살인'을 규탄하고 나섰다.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는 "이라크 형법은 소위 '명예 범죄'에 관대하다"면서 "이라크 당국이 여성과 소녀를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법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우리는 계속해서 끔찍한 살인을 목격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이라크 여성 인권 운동가 하나 에드와르는 알리가 이라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