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우크라 외교전 전면 등장하자 미국 '긴장' 중러 정상회담을 지켜본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남몰래 속앓이를 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은 중국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중요하게 거론한 '우크라이나 전쟁 평화 중재안'에 대해 겉으로는 코웃음 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만에 하나라도 전쟁의 피로감 탓에 일부 국가가 이 중재안에 동의를 표할까봐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1주년인 지난달 24일 '우크라이나 위기의 정치적 해결에 관한 중국 입장'을 공개했다. 12개항으로 구성된 이 입장문에서 중국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직접 대화와 휴전 등을 촉구했다. 그동안 우크라이나 전쟁을 대체로 관망하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앞두고 적극적인 외교적 개입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됐다. 실제로 시 주석은 모스크바에서 푸틴 대통령을 만난 뒤 공동 기자회견에서 자국의 평화 제안을 중요하게 거론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즉각 중국의 중재안에 러시아군 철수를 요구하는 항목이 없다는 점을 비판했다. 블링컨 장관은 "러시아군 철수를 포함하지 않는 정전은 러시아의 점령을 사실상 재가하는 것이다. 무력으로 이웃나라 영토를 차지하겠다는 러시아의 의도를 인정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겉으로 드러난 이런 냉담한 모습과 달리 바이든 정부의 속내는 복잡하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익명의 바이든 행정부 관계자는 이 통신에 "중국의 평화 중재안과 관련해 정부가 궁지에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중국이 우크라이나 문제 해결의 전
이스라엘군이 이슬람 금식성월인 라마단 첫날인 23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에서 총격 사건 용의자인 20대 팔레스타인 남성을 사살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팔레스타인 보건부는 "서안 북부 툴캄 인근 수파 마을에서 팔레스타인 주민 아미르 이마드 아부 카디자가 점령군의 총격을 받아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스라엘군도 사살 사실을 확인하면서, 사망한 남성이 여러 차례 유대인을 겨냥한 총격 사건에 연루된 용의자라고 설명했다. 이스라엘군은 성명에서 "용의자가 은신한 건물을 병사들이 에워싸자 용의자가 총을 들어 사격했다"고 전했다. 팔레스타인 무장 조직인 툴캄 여단은 사망한 아부 카디자가 조직의 지도자라면서 "그는 성월을 맞아 우리와 작별을 고한 첫 번째 인물"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