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한 동물원에서 중국산 25살 판다가 갑자기 죽은 채 발견돼 중국과 미국이 함께 사인을 조사할 예정이다.중국동물원협회(CAZG)는 지난 2일 홈페이지를 통해 1998년 태어난 중국산 수컷 판다 '러러(樂樂)'가 1일(현지시간)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동물원에서 죽은 채로 발견됐다고 밝혔다.협회는 "중국 관련 당국은 '러러'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대해 매우 우려한다"면서 미국 측에 사체를 적절히 보존할 것을 통지했다.그러면서 "전문가팀을 최대한 빨리 멤피스 동물원에 파견해 미국 측 전문가와 함께 러러 사인을 공동 조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협회에 따르면 러러는 2003년 10년 기한의 자이언트 판다 보존 및 연구 프로젝트 일환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해당 동물원에서 지냈다. 대여 기간은 2013년에 10년 더 연장됐고, 올해 중국으로 돌아갈 예정이었다.보통 판다의 수명은 20∼25년이며, 동물원에서 사육될 경우 30년 이상 생존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한편, 중국 관영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미중 사이에 중국 측 '정찰 풍선(중국 발표는 과학연구용 비행선)'의 미국 영공 진입 및 미군의 격추를 둘러싼 갈등이 한창 진행 중이던 5일 밤, 러러의 죽음을 보도했다.중국 청두에 본부를 둔 자이언트 판다 보호 단체 대표 자오쑹성은 글로벌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중·미 관계 변화에 따라 이번 일이 정치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판다의 예상 못 한 죽음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미국 정부가 자국 해안 상공에서 격추한 중국의 정찰풍선 잔해를 수거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중국의 주장대로 기상관측용이었는지, 아니면 미국의 의심대로 군사정보 수집 목적이었는지가 조만간 드러날 전망이다. 미국 내에선 대중 제재를 추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미 국방부는 5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전날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해안 상공에서 격추한 중국의 정찰풍선 잔해를 수거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군함과 잠수병 등이 수색 작업에 동원됐다. 미 국방부 관계자들은 정찰풍선이 비교적 수심이 얕은 곳에서 격추됐기 때문에 복구 작업이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미국 정부는 정밀 사진 촬영 장비가 정찰풍선 잔해에서 나오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중국 정부는 기상관측을 위한 민간 정찰풍선이 통제력을 잃고 미국 영공에 흘러들어갔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미국은 군사정보 수집 목적으로 보고 있다. 이 풍선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격납고가 있는 공군기지 상공에서 발견됐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정찰풍선에 미국이나 다른 동맹국의 기술이 적용됐는지도 면밀히 조사할 방침이다.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중국에 대한 제재 수위가 결정될 전망이다. 미국에선 공화당을 중심으로 대중 기술 수출 통제를 추가로 부과해야 한다는 압력이 커지고 있다.조 바이든 대통령의 늑장 대응에 대한 비판도 나오고 있어 대중 규제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블룸버그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방중 계획을 취소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강경한 메시지를 가지고 중국 방문을 재추진할 것”이라고 보도했다.중국 외교부는 이날 주중 미국대사관에
지금 미국은 경제지표가 좋게 나와도 걱정이다. 인플레이션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노동시장이 여전히 건재하다는 지표가 나오자 경기침체 우려는 약해졌다. 그러나 미 중앙은행(Fed)의 매파(통화 긴축 선호) 기조가 강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미국 노동시장 강세가 Fed의 매파 성향을 자극할 것”이라며 “경제에는 좋은 소식이 반대로 시장에는 나쁜 소식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탄탄한 고용이 긴축 우려 키워WSJ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를 인용해 Fed가 올해 추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두 차례 이상 올릴 것이라고 보는 투자자가 급증했다고 전했다.Fed는 지난달 2일 베이비스텝(금리를 한 번에 0.25%포인트 인상)을 밟으며 기준금리를 연 4.5~4.75%로 올렸다. 이때만 해도 월가에서는 추가로 두 차례 금리를 올릴 확률은 30%로 낮게 봤다. 다음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한 번만 더 금리를 올리고 인상을 중단할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그러나 6일 오후 4시 기준으로 Fed가 3월과 5월 연속으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내다보는 확률은 63%로 크게 높아졌다.미국 노동부가 지난 3일 발표한 1월 고용보고서가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1월 실업률은 3.4%로 1969년 5월 이후 54년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알파벳, 아마존 등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들이 대규모 해고를 진행 중이지만, 미국 전체로 노동시장은 여전히 뜨거운 상황이다. 구인 수요가 많으면 임금이 올라가 물가를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 Fed가 가장 우려하는 대목이다.WSJ는 “고용주들이 채용을 늘리는 상황이라 미국이 조만간 경기침체에 빠질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