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대변인, 명확히 부인 않는 모호한 태도…'공동대응' 제안 주목 블링컨 美 국무장관 방중시 의제중 하나로 다뤄질수도 중국 외교부는 3일 중국이 띄운 것으로 보이는 '정찰 풍선'(Spy balloon)이 미국 영공을 비행했다는 미국 정부 발표 및 보도에 대해 "상황을 파악 중"이라며 "쌍방이 함께 냉정하고 신중하게 처리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대해 "관련 보도를 인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마오 대변인은 "사실이 명확히 밝혀지기 전에 추측하고 사안을 선전하는 것은 문제를 적절하게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 사안이 5∼6일로 일정이 잡힌 것으로 보도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의 중국 방문에 영향을 줄 것이냐는 질문에 "블링컨 장관의 방중과 관련해 발표할 수 있는 소식이 현재로선 없다"고 답했다. 마오 대변인은 "중국은 책임 있는 국가로서 일관되게 국제법을 엄격히 준수해 왔으며 주권국가의 영토와 영공도 침해할 의사가 없다"고 부연했다. 마오 대변인의 이날 발언은 원론적 대응으로 볼 수 있으나, '사실무근'이라는 식의 부인 반응을 보인 것도 아니라는 점에서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또 "미중 쌍방이 함께 냉정하고 신중하게 처리하길 희망한다"고 밝힌 데 이어 후속 질문에 "우리는 미국 측과 함께 공동으로 이 문제를 냉정하고 신중하게 처리하길 희망한다"고 답한 것은 최소한 이 사안이 미중 간 협의의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보인다. 따라서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중국 방문이 예정대로 진행될 경우 이 사안이 의제의 하나로 다뤄
'2055년까지 남녀 정년 65세로 연장' 관측 보고서에 부정적 반응 프랑스에서 정년 연장을 담은 연금 개혁 반대 시위가 거세게 일고 있는 가운데 3일 중국에서도 정년 연장 계획이 부정적 반응을 불러일으켰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서는 중신증권이 내놓은 중국의 정년 연장 계획 관련 연구 보고서가 화제 '톱 10' 중 하나로 올랐다. 해당 보고서는 지난해 11월에 발간됐으나 최근 일부 유명 평론가들이 주목하면서 뒤늦게 화제를 모았다. 보고서는 중국 당국이 올해 정년 연장 계획을 발표할 것이며 2025년부터 여성은 매년 4개월씩, 남성은 매년 2개월씩 정년을 연장해 30년 후인 2055년이면 남녀 모두 정년이 65세로 연장되는 프로그램을 추진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중국의 정년은 지난 40여년 간 남성 60세, 여성 55세(이상 화이트칼라)이며 여성 블루칼라는 50세로 정해져 있다. 보고서의 관측대로면 30년간 남성은 5세, 여성은 10세씩 각각 정년이 연장되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이 보고서가 뒤늦게 회자하면서 이날 부정적 댓글이 홍수를 이뤘다"며 "이는 정년 연장 계획이 얼마나 민감하고 인기가 없는지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그중 4천회 이상 재게재된 한 댓글은 "정년 연장을 단순히 몇 년 더 일하는 것으로 생각하지 마라. 왜냐하면 당신은 65세가 되기 전에 일자리는 구할 수 없을 텐데 연금은 그 나이가 돼야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썼다. 또 다른 인기 댓글은 "우리는 60세에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할 것이다. 그것이 중국의 저축률이 세계 최고 수준인 까닭이다. 누가 감히 돈을 쓰겠냐?"라고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중국은 인구 고령화와 노동 인
스위스 매체, 독 정계 인용 보도…"러·우크라 모두 거절"백악관 "틀린 보도" 일축…해당 매체 홈피서 기사 내려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영토의 20%를 넘길 테니 전쟁을 끝내자고 제안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백악관이 "완전히 틀린 내용"이라고 일축했다. 2일(현지시간) 뉴스위크 등 외신에 따르면 스위스 독일어권 매체 노이에취리허차이퉁(NZZ)은 윌리엄 번스 미국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지난달 러시아를 비밀리에 방문해 종전안을 제안했다고 독일 정계 고위 관계자들을 인용해 이날 보도했다. 앞서 워싱턴포스트(WP)는 번스 국장이 지난달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났다고 보도한 바 있는데, 그 전후 러시아도 방문했었다는 것이다. 번스 국장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국에 내놓은 종전안에는 우크라이나 전체 영토의 약 20%를 러시아에 내주는 방안이 포함돼 있었다고 NZZ은 주장했다. 이는 러시아가 자국 영토로 병합했다고 주장하는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과 비슷한 넓이다. 독일 정계 관계자들은 바이든 대통령이 전쟁 장기화를 피하고자 이러한 종전안을 제안했다고 분석했다고 NZZ은 전했다. 그러나 NZZ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모두 이러한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는 영토를 나눌 수 없다는 이유로, 러시아는 장기적으로 전쟁에서 이길 수 있다는 판단에 제안을 거절했다는 설명이다. 이후 바이든 행정부는 에이브럼스 전차를 지원하기로 약속했고, 미국은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신문은 보도했다. 백악관과 CIA는 NZZ의 보도 내용을 전면 부인하고 나섰다. 숀 데이벳 백악관 국가안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