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현학술원 포럼서 언급…"공익 기여 단체에 인센티브 줘야" "기업도 지정학 고민…한일, 미래에 초점 맞추고 한미일, 협력 강화해야"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5일(현지시간) 한일관계에 문제가 있지만 양국 간 미래 협력을 위한 어젠다가 적지 않다면서 양국이 미래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날 미국 워싱턴DC 인근 샐러맨더 리조트에서 최종현학술원 주최로 열린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rans-Pacific Dialogue) 포럼의 한일 협력 특별 세션 환영사에서 "우리는 한일관계에서 약간의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안다"면서 이번 행사에서 "의미 있는 일에 대한 생산적인 토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역사학자 E.H 카의 저서 '역사란 무엇인가'를 거론, "그는 역사는 과거와 미래의 대화라고 했다"며 "지난해 우리가 (이 행사에서) 공급망과 경제안보 문제에 대해 논의했던 것처럼 (양국) 사람들은 미래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우리는 미래 협력을 위한 많은 어젠다를 갖고 있다"고도 했다.
이어 최 회장은 취재진을 만나 "동맹이라고 얘기하는 사람끼리 지금 처해 있는 문제가 뭔지 서로 이해의 깊이를 더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한미일 3국이 과거보다 협력을 위해 더 나은 기반에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엔 "낫다고 얘기할 순 없다.
낫다 아니다가 아니라 더 강화돼야 한다"며 "동맹 강화 얘기가 아니라 이해를 토대로 해야 하고, 상대를 얼마나 잘 아느냐는 문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내 및 마켓 상황이 다 다르다면서 "이를 수용하고 이해해야 한다"며 "우리도 우리의 얘기를 상대에게 이해시켜줘야 얘기를 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한편 최 회장은 이날 마지막 세션 인사말에서 지난 7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면담하기 위해 백악관을 찾은 얘기를 꺼냈다.
때마침 최 회장 뒤의 대형 화면에는 당시 바이든 대통령과 최 회장이 백악관에서 화상 면담을 마치고 먼발치에서 서로 손을 흔들며 헤어지는 장면의 사진이 띄워져 있었다.
당시 바이든 대통령은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한 최 회장을 대면 면담할 계획이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려 화상 면담으로 대체했고, 바이든 대통령은 최 회장이 백악관을 나설 때 멀리 발코니에서 손을 흔들어 환송했다.
최 회장은 "로미오와 줄리엣 같은 상황이었다"면서 누가 로미오이고 줄리엣인지는 모르겠다는 취지로 언급했고 좌중에선 폭소가 터져 나왔다.
최 회장은 화상 면담에서 220억 달러(약 29조 원) 규모의 신규 대미 투자 계획을 소개했고, 바이든 대통령은 "역사적 발표"라며 환한 웃음으로 화답했었다.
최 회장은 이날 사회적으로 공익에 기여하는 단체들에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고 했으며, 이제는 기업가들도 지정학을 고민해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발생한 강진의 희생자가 9일 1만7000명을 넘겼다.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AFAD)은 이날 오후 기준으로 강진 희생자가 1만4014명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시리아의 사망자는 3162명이다. 이날로 생존율이 급락하는 72시간이 지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영국 노팅엄트렌트대의 스티븐 고드비 박사는 재해 발생 뒤 72시간이 지나면 생존율이 22%로 하락한다고 했다.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일본의 새로운 로켓인 H3가 오는 15일 처음으로 발사된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H3 로켓 1호기를 15일 오전 10시 37분에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種子島) 우주센터에서 발사한다고 9일 밝혔다. JAXA는 악천후 등에 대비해 16일부터 내달 10일까지를 발사 예비 기간으로 설정했다. 현지 공영방송 NHK에 따르면 로켓에는 재해 상황 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될 관측위성 '다이치 3호'가 탑재된다. 일본의 주력 로켓인 H2A를 대체할 H3는 길이가 63m이고, 중량은 H2A보다 30% 무겁다. JAXA와 미쓰비시중공업이 2천억 엔(약 1조9천억원) 이상을 투자해 개발했다. 본래 2020년에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엔진 설계 변경 등으로 여러 차례 일정이 연기됐다. /연합뉴스
사망자 시시각각 늘어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수치에 근접생사 갈림길 72시간 지났지만 기적같은 구조 소식 잇따라한국 긴급구호대, 활동 첫날 오전 5명 구조 규모 7.8과 7.5의 두 차례 강진으로 인한 튀르키예(터키)와 시리아의 사망자 수가 9일(현지시간) 현재 1만7천100명을 넘어섰다. 현지 전문가들은 튀르키예서만 최대 20만명의 시민들이 여전히 무너진 건물 잔해에 갇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인명 구조의 '골든타임'으로 여겨지는 72시간을 넘긴 터라 희생자 수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AF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튀르키예 재난관리국(AFAD)은 지진 발생 나흘째인 이날 지진 사망자가 1만4천14명으로 추가 집계됐다고 밝혔다. AFAD는 지난 6일 발생한 규모 7.8과 7.5의 강진 외에도 1천117건의 크고 작은 여진이 기록됐다고 덧붙였다. 튀르키예와 국경을 맞댄 시리아에서는 당국과 반군 측 구조대 '하얀 헬멧'이 밝힌 것을 합친 사망자가 3천162명으로 늘어났다. 두 국가를 합친 사망자는 1만7천176명으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사망자 1만8천500명) 때 사망자 수치에 근접하고 있다. 앞서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번 지진에 따른 전체 사망자가 2만명을 넘을 수 있다고 전망했고,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 사망자가 10만명 이상이 될 가능성도 14%에 이른다고 추정했다. 튀르키예의 대표적인 지진 과학자인 오브군 아흐메트는 붕괴한 건물 아래에 갇혀 있는 시민들이 2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아흐메트는 "세계는 이런 재난을 본 적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명구조 전문가들은 지진으로 인한 매몰자가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72시간으로 보고 있다. 일란 켈만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