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도 가만히 있지 않았습니다. 테슬라가 모델별로 가격을 6~20% 내리고 18일 만에 주력 전기차 모델 ‘머스탱 마하 E’의 가격을 전격 인하했습니다. 제가 이곳에서 머스탱 마하 E를 직접 타봤는데요 포드의 가격인하 전략이 수요 폭발을 가져올지 저와 함께 살펴보시죠.테슬라가 불붙인 전기차 시장의 가격인하 전쟁에 포드가 기름을 부었습니다. 포드는 현지시간 30일 머스탱 마하-E의 가격을 평균 4500달러 낮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하폭은 모델별로 600~5900달러로 1.2~8.8%에 이릅니다. 이로써 마하 E의 가격은 이제 약 4만6000달러에서 6만4000달러 사이에서 형성됩니다.IRA(인플레이션감축법)에 따라 5만5000달러 이하의 차량은 연방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게되는 것도 가격인하의 이유로 꼽힙니다. 이번 인하로 여러 모델 가운데 셀렉트는 4만7500달러, 프리미엄의 기본 트림은 5만2735달러로 7500달러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테슬라가 지난 12일 단행한 가격인하에서 가장 할인폭이 컸던 것은 모델 Y였는데요 최대 1만3000달러였습니다. 옵션이 없는 모델 Y의 가격은 5만3700~5만7000달러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포드 경쟁 모델인 마하 E의 일부 모델보다도 가격이 낮아진 상황에서 포드는 마하 E의 가격을 내리지 않을 수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당시 테슬라의 가격인하에 대해 시장에서는 수익성을 깎아내릴 수 있다며 우려 섞인 시선과 함께 시장의 주도권을 유지하는 강력한 카드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있었죠. 그리고 월가에서는 전기차의 가격경쟁이 시작될 것이라고 예상했었는데 포드의 이번 가격인하로 가격경쟁이 본격화된 겁니다.‘머스탱 마하 E’가 테슬라 모델 Y와 경쟁할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은 1일(현지시간) "올해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했다. 파월 의장은 시장을 향해 "Fed의 긴축정책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 했지만 뉴욕증시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파월 의장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을 통해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지만 아직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현재로선 올해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를 달성하는데 있어 충분히 제약적이지 않으며 아직 해야할 일이 많다"며 "현재로선 금리인상을 중단하는 건 생각하지 않고 있으며 올해에 금리를 인하한다는 건 시기상조"라고 했다. 이어 "다만 인플레이션이 더 빨리 떨어지는 데이터가 들어온다면 달라질 수 있다"며 "3월까지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고용보고서, 고용비용(ECI) 등 많은 데이터를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 올해 성장률은 분명히 플러스를 보이겠지만 성장 속도는 둔화할 것"이라며 "고용시장은 여전히 견조하고 인플레이션이 떨어지면 사람들의 심리와 경제활동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파월 의장은 또 "처음으로 얘기하는데 인플레이션 완화가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주택과 서비스 부문에선 그런 기미가 뚜렷이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그는 '금융시장 여건이 완화되고 있는 것에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이전과 동일하게 신중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시장은 긴축정책을 반영해야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하지만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은 최근 인플레이션이 완화됐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인플레 수준은 여전히 높아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Fed는 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5bp 인상했다. 이로써 미국 기준금리는 연 4.25~4.50%에서 연 4.50~4.75%가 됐다. 연 3.5%인 한국 기준금리보다 1.0~1.25%포인트 높아졌다. Fed는 또 회의 직후 공개한 결정문을 통해 "최근 지표는 소비와 생산에서 견조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며 "실업률도 낮고 일자리도 최근 몇 달간 계속 늘고 있다"고 밝혔다.Fed는 인플레이션에 대해선 "다소 완화됐지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위원회는 물가 목표치인 2%로 돌아가기 위해 계속해서 금리를 인상하고 충분히 제약적인 수준으로 통화정책을 유지하는 게 적절하다"고 언급했다. 또 "미래 금리 인상 정도를 결정하는데 있어 긴축정책이 누적되고 통화정책이 경제활동과 인플레이션 등에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