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출통제 명단에 올라…"해고 규모 수백명 달할 것" 중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회사 YMTC(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가 미국의 수출 블랙리스트에 오른 지 한 달여 만에 직원의 10%를 내보내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소식통을 인용해 31일 보도했다. 소식통은 YMTC가 지난해 실적 평가에서 전체 직원의 약 10%에 해당하는 '저성과자'들을 해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기업 정보 사이트 치차차에 따르면 YMTC의 전체 직원은 약 6천 명이며, 이에 따라 해고 규모는 수백 명에 달할 것이라고 SCMP는 설명했다. YMTC는 또한 이번 해고에서 근속 연수가 5년이 안되는 직원에게 입사시 지원했던 주택 구매 보조금의 일부를 토해내라고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한 YMTC 해고 직원은 소셜미디어 즈후를 통해 자신이 YMTC에서 4년 넘게 일했으나 해고된 뒤 회사가 아파트를 구입할 때 지원했던 보조금 중 40만 위안(약 7천200만 원)을 상환하라고 요구했다는 글을 올렸다. 해당 글에 누리꾼들은 회사가 해고한 직원에게 돈을 상환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드문 일이라며 동정심을 표했다고 SCMP는 전했다. 해당 해고 직원은 SCMP에 "거의 전 부서가 해고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해고 범위는 직원의 5∼10%에 달한다"며 "회사는 근속 5년이 안 된 해고 직원에게는 30만∼100만 위안을 상환하라고 요구한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의 지원으로 2016년 우한에 설립된 YMTC는 글로벌 낸드 플래시 메모리 칩 시장 개척을 위한 중국의 희망이었다. 그러나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저지하기 위해 내놓은 잇단 제재에 발목이 잡혔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 18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 D램 ▲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아직 초기 논의 단계…시행되더라도 미 기업 타격 크지 않을 듯""미 정부, 미 기업에 화웨이로의 수출 허가증 발행 이미 중단" 보도도 미국 정부가 중국 간판 기술기업인 화웨이에 인텔과 퀄컴을 포함한 미국 기업들의 부품 공급을 전면 차단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화웨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시절 미 정부의 '수출통제 명단'에 오른 터라 화웨이를 상대로 한 미 업체들의 부품 공급은 4년 가까이 제한을 받아 왔다. 바이든 행정부 일각에서는 여기서 한술 더 떠 화웨이에 대한 미국 회사들의 부품 판매 자체를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지지하고 있다고 이 사안을 잘 알고 있는 인사들은 블룸버그에 전했다. 트럼프 정부는 2019년 5월 안보상의 이유로 미국 기업들이 화웨이에 부품을 공급할 때 허가를 받도록 의무화했고, 2020년 5월부터는 미국의 장비를 사용해 부품을 생산한 외국 기업들에도 화웨이에 부품을 공급할 때 미국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미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등 화웨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한 바 있다. 바이든 정부 역시 전임 정부와 마찬가지로 취임 이후 줄곧 중국 기술 기업에 대한 압박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미 정부는 지난해 10월 중국의 반도체 생산기업에 대한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 판매를 금지하고 인공지능(AI)과 슈퍼컴퓨터에 사용되는 반도체에 대한 수출을 제한하는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하기도 했다. 지난주에는 미 정부의 압박에 5대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 업체를 보유한 네덜란드와 일본이 미국의 대중 수출 통제에 동참하기로 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수출 제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미 상무부는 현재
요미우리 "日정부, 피고기업 재단 기부는 사실상 배상 해당해 불가" 한일 정부가 일제 강제징용 배상 문제 해법과 관련해 일본 피고 기업의 금전 부담 등 직접 관여를 피하는 형식의 결말을 짓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31일 보도했다. 요미우리는 한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에 따라 '(징용 배상) 문제가 이미 해결됐다'는 일본의 입장이 확고해 한국 정부도 피고 기업의 직접 관여가 어렵다는 판단으로 기울었다"며 이렇게 전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 12일 공개 토론회에서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하 재단)이 조성한 기금으로 일본 피고 기업 대신 피해자들에게 판결금을 변제하는 방안을 사실상 공식화했다. 강제징용 피해자들은 피고 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과 일본제철의 사죄와 재단 기부를 요구하고 있으나 일본 정부는 이 기업들의 기부가 사실상 배상에 해당한다며 용인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 정부가 해결 방안에 대한 국내 여론의 부정적 반응 등을 전달하며 일본 측의 '성의 있는 호응'을 촉구한 데 대해 일본 정부는 피고 기업 이외의 자발적 기부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어서 일본의 기업인 단체인 게이단렌(經團連·일본경제단체연합회) 등의 재단 기부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요미우리는 피고 기업이 가입한 게이단렌의 기부는 피고 기업이 간접적으로 재원을 거출했다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한국이 요구하는 일본의 사죄와 관련해, 일본 정부가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과 사죄를 표시하는 과거 총리 담화의 계승을 표명하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고 이날 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