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역사상 첫 흑인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지난 2007년 2월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한 일리노이 주도(州都) 스프링필드의 옛 주(州)의사당 마당에 기념 동판이 설치됐다.
1일(현지시간) 지역 언론들에 따르면 스프링필드 옛 주의사당 남동쪽 마당에 오바마의 대선 출마 선언문을 새긴 가로 1.2m 세로 1.6m 크기의 동판이 세워졌다.
J.B.프리츠커 일리노이 주지사와 일리노이 주의회 의원들 그리고 오바마 재단 관계자들은 전날 옛 주의사당 내 하원 회의실에서 동판 헌정식을 열었다.
동판에는 2007년 2월 당시 일리노이 출신 연방상원의원이던 오바마가 옛 주의사당 남동쪽 마당에서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으며 이 자리에는 1만5천여 명이 참석했다고 적혀있다.
또 오바마가 에이브러햄 링컨 전 대통령의 유명 연설문을 차용해 연설한 내용과 함께 2008년 8월 당시 델라웨어 연반상원의원이던 조 바이든을 러닝메이트인 부통령 후보로 낙점하고 그해 11월 대선에서 승리하며 미국의 첫 흑인 대통령이 된 사실, 오바마와 함께 2017년 1월까지 부통령으로 재임한 바이든이 2020년 11월 대선에서 대통령에 선출됐다는 내용도 들어있다.
오바마는 1997년 일리노이 주상원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한 지 7년 만인 2004년 일리노이 연방상원의원 선거에서 당선됐고, 중앙무대 진출 2년 만인 2007년 2월 10일 일리노이 옛 주의사당 앞에서 대선 출마를 공식화 했다.
옛 주의사당은 일리노이 주하원의원과 일리노이 연방하원의원을 지낸 에이브러햄 링컨 전 대통령이 1858년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미국을 '분열된 집'에 비유하며 연설한 곳이기도 하다.
미국 공영라디오(NPR)는 오바마가 대선 출마 선언을 이곳에서 한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1839년 완공돼 1876년까지 일리노이 주의사당으로 쓰인 이 곳은 1961년 미국 국립사적지로 등재됐다.
헌정식에서 프리츠커 주지사는 "동판은 우리가 가장 좋아하는 아들 중 한 명이자 전세계인들에게 변화에 대한 확신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한 미국의 첫 흑인 대통령을 기리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다는 믿음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흑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일리노이 주하원의장에 오른 이매뉴얼 크리스 웰치는 "당시 오바마는 정치에 관심이 없던 많은 이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으며, 미국이 크게 분열된 상태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보게 했다"고 밝혔다.
오바마와 같은 시기에 일리노이 주상원에서 활동한 돈 하몬 현 일리노이 주상원의장은 "그는 항상 더 큰 일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그렇게 짧은 시간에 혜성처럼 떠올라 대통령까지 될 지는 아무도 예견 못했다"고 말했다.
동판 제작 비용 3천달러(약 400만 원)는 옛 주의사당 관리재단과 일리노이 역사학회가 나눠 부담했다고 시카고 트리뷴은 전했다.
오바마 대선 출마 선언 기념 동판 헌정은 시카고 남부 미시간호변의 잭슨파크에 '오바마 대통령 기념관' 건립이 본격화한 가운데 이뤄졌다.
애초 2017년 착공해 늦어도 2021년 개관할 예정이던 오바마 기념관은 각종 논란과 송사에 휘말려 작년 하반기에야 공사가 시작됐고 2025년 개관이 목표다.
마이클 스트로트마니스 오바마 재단 부이사장은 "스프링필드는 오바마의 첫 정치 무대일 뿐 아니라 대통령 재임기간 그와 함께 한 많은 원칙들을 배운 곳"이라며 시카고 남부에 오바마 기념관이 완공되면 두 명소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반 다이크 '성 히에로니무스를 위한 습작' 경매 17세기 화가 안토니 반 다이크(1599~1641)의 '성 히에로니무스를 위한 습작'이 뉴욕 소더비 경매에서 310만달러(약 38억1천만원)에 낙찰됐다. 30일(현지시간) 미 CNN방송에 따르면 이 작품은 네덜란드 로테르담 보이만스 반 뵈닝겐 미술관에 전시된 '성 히에로니무스와 천사'를 위한 습작이다. 세로 95㎝, 가로 59.5㎝ 캔버스에 하얀 수염을 가슴께까지 늘어뜨린 노인의 나신을 담았다. 작품은 반 다이크가 페테르 파울 루벤스의 조수로 있던 1615~1618년 벨기에에서 그린 습작 가운데 하나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반 다이크의 대형 실물 습작은 이 작품을 포함해 단 2점뿐이라고 CNN은 전했다. 수집가였던 고(故) 앨버트 B. 로버츠는 2002년 뉴욕 킨더훅 한 농장 헛간에서 이 작품을 발견해 단돈 600달러(약 73만8천원)에 사들였다. 이후 미술사학자 수전 J. 반스가 이 작품을 "놀랍도록 온전히 보존된 반 다이크의 작품"이라고 주장하면서 빛을 보기 시작했다. 작품은 지난 26일 소더비 '마스터 페인팅 파트1' 경매에 나왔다. 낙찰 추정가는 200만~300만달러였다. 소더비에 따르면 경매 수익금의 일부는 예술가를 지원하는 앨버트 B. 로버츠 재단에 돌아간다. /연합뉴스
서방제재 타격 커지자 "쿠바·북한·이란 중 어느 길" 격론"경제정책·국내자원·다민족·주변 관계, 이란이 가장 유사""러 중앙은행, 서방제재 맞서려 데이터 공개안 정부와 논의" 작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측의 제재로 러시아 경제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인식이 러시아 국내에서도 퍼져나간다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러시아 국영TV는 이 나라가 국제 제재에 대처하려면 쿠바·이란·북한 중 어느 나라의 경제 모델이 가장 알맞은가에 대한 토론을 최근 방영했다. 영국 공영방송 BBC에서 러시아 국영 TV 모니터를 담당하는 프랜시스 스카 기자는 지난 28일 "(러시아) 국영 TV에서 오늘 중요한 토론이 열렸다"며 영문 자막을 달아서 해당 토론 영상 일부를 트윗으로 올렸다. 영상에서 사회자는 "서방 측의 제재에 맞서는 데는 세 가지 길이 있다. 쿠바의 길, 북한의 길, 그리고 이란의 길이다"라며 이 세 나라가 경제 붕괴를 막기 위해 이용한 방식을 영상으로 소개한 후 어느 모델이 러시아에 가장 적합한지에 관해 패널 토론자들의 의견을 들었다. 한 토론자는 "물론 이란이다"라며 "경제 정책이나 국내 자원이라는 면에서 봤을 때 이란이 우리(러시아)에게 가장 가깝다"고 말했다. 그는 "얼마 전까지, 우리가 소련이던 시절에, 이 나라들(쿠바·이란·북한) 모두를 지원했었다"고도 지적했다. 다른 토론자는 이 의견에 동의하면서 이란과 러시아는 다민족 국가라는 점과 매우 까다로운 이웃 국가들이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는 점도 요인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토론자는 "봉쇄와 경제 제재에서 견디는 경험이 우리보다 더 많은 나라는 전 세계에 단 하나도 없다"고도 말했다. 이 러시아
우크라 침공 비판했다가 '테러 정당화 혐의' 적용현재 가택연금·전자발찌…최대 10년까지 투옥될 수도 러시아의 한 10대 소녀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판했다가 테러리즘 정당화 등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을 위기에 처했다고 CNN 방송·워싱턴포스트(WP)가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러시아 북부 아르한겔스크주(州) 출신의 올레샤 크립초바(19)는 지난해 10월 SNS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비판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올려 테러리즘을 정당화하고 러시아군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혐의로 기소됐다. 러시아 당국은 크립초바가 인스타그램에 지난해 10월 발생한 크림 대교 폭발과 관련된 게시물을 올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그를 이슬람국가(IS), 알카에다, 탈레반과 같은 테러리스트 및 극단주의자 명단에 올린 뒤 그에게 테러리즘을 정당화했다는 혐의를 씌웠다. 크립초바는 또 러시아 SNS인 VK에서 전쟁에 비판적인 내용의 게시물을 공유했는데, 여기에는 러시아군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혐의가 적용됐다고 한다. 아르한겔스크주에 있는 북방(북극)연방대학교(NArFU)에 재학 중이던 크립초바는 현재 세베로드빈스크에 위치한 부모 집에 가택 연금됐고 발목에는 24시간 움직임을 추적하는 전자발찌가 채워진 상태다. SNS 등을 통해 온라인상 타인과 소통하는 행위도 금지됐다. CNN은 크립초바의 발목에 채워진 전자발찌 사진을 공개하면서 그의 다른 쪽 발목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얼굴에 거미 다리가 붙여진 그림과 함께 '빅 브러더가 당신을 감시하고 있다'(Big Brother is Watching You)라는 문구의 문신이 새겨져 있다고도 전했다. 크립초바의 변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