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인터뷰서 "우크라이나 승리한다" 등 자신감 표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것이라고 정확히 예측했던 우크라이나 군사정보 수장이 크림반도를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에서 밝혔다. WP는 31일(미국 동부시간) 인터넷판으로 우크라이나 국방부 군사정보국장 키릴로 부다노우(37) 장군의 인터뷰를 실었다. 인터뷰는 키이우에 있는 부다노우 국장의 집무실에서 지난 20일 이뤄졌다. 올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지역의 점령지를 늘리는 데 집중하리라는 것이 부다노우 국장의 전망이다. 우크라이나 국경 북쪽에 있는 벨라루스에 주둔중인 러시아군이 다시 우크라이나 침공에 가세할 개연성은 낮으며, 우크라이나군의 주의와 병력을 분산시키려는 시도에 불과하다는 게 그의 분석이다. 부다노우 국장은 또 "우리는 크림이 (올해) 여름까지는 고향(우크라이나)에 돌아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힘닿는 대로) 모든 일을 다 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영토인 크림반도는 2014년 러시아에 점령됐다. 러시아는 크림이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며 병합했으나 국제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부다노우는 우크라이나군이 크림까지 진격할 경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핵무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건 사실이 아니다. 그리고 크림은 우리에게 반환될 것이다. 더 할 말이 있다. 모든 것은 2014년 크림에서 시작했고, 거기서 끝날 것이다"라고 말했다. 부다노우는 푸틴이 핵무기를 쓸 수도 있다는 관측에 대해 "겁주기 전술"이라며, "러시아가 저지를 수 있는 일은 다양하지만, 아예 완전히 바보 같은
우크라 "영토보전 의심 발언 용납불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인 크로아티아의 조란 밀라노비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차 등 무기 지원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AP통신에 따르면 밀라노비치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서방의 무기 지원은 전쟁을 장기화할 뿐"이라며 "재래전에서 러시아가 질 것이라고 믿는 것은 미친 짓"이라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를 해체한다거나, 정부를 바꾼다거나, 러시아를 여러 개로 찢어놓는다고 말들을 하지만, 무엇을 목표로 하든 모두 미친 짓"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러시아가 2014년 병합한 크림반도는 두 번 다시 우크라이나 영토가 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2019년 대선에서 자유주의 좌파 후보로 나서 승리한 밀라노비치 대통령은 유럽연합(EU)이나 NATO 지도부와 대조를 이루고 있다. 그는 대통령에 당선된 뒤 민족주의에 영합하는 쪽으로 돌아서 서방의 대러시아정책이나 발칸반도에 대한 정책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그는 친러시아적이라는 평판을 듣고 있지만 이를 거듭 부인해 왔다. 그러나 최근 몇 달 동안 핀란드와 스웨덴의 NATO 가입이나, 자국에서 우크라이나군을 훈련하려는 EU의 방침에 대놓고 반대하고 있다. EU는 침략을 당한 나라를 돕는 차원에서 우크라이나군에 대한 훈련을 크로아티아에서 실시하려고 하고 있다. 최근 미국은 무게 70톤(t)짜리 자국산 에이브럼스 전차 31대를, 독일은 최신예 레오파드2 전자 14대를 각각 우크라이나에 보내기로 했다. 우크라이나는 밀라노비치 대통령의 발언을 용납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올레그 니콜렌코 우크라이나 외무부 대변인은 "우리는 우크
내일부터 실시…'비자중단' 이어 한국의 방역강화에 추가 맞대응 韓 외교당국자 "방역外 다른 고려에 따른 제한 있어선 안돼" 중국 정부가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한국의 방역 강화 조치에 맞서, 최근 폐지한 입국자 전수 코로나 검사를 한국발 입국자에 한해 시행키로 했다. 31일 정부와 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민항국은 이날 한중 간 노선을 운영하는 한국과 중국 항공사에 보낸 통지를 통해 2월 1일부터 한국발 중국행 직항 항공편에 탑승한 사람에 대해 입국 후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오면 해당 입국자는 재택 또는 시설 격리를 하거나 병원에 입원하게 된다고 민항국은 통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중한국대사관도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 정부는 외교 경로를 통해, 한국발 중국 도착 직항 항공기 탑승객 전원을 대상으로 입국 후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의무화하고, 양성 판정시 자택 또는 숙소 격리를 시행할 예정임을 알려왔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8일자로 해외발 입국자에 대한 의무적 격리를 폐지하면서 입국자에 대한 전수 PCR 검사도 폐지한 바 있다. 그랬던 중국이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검사 방침을 통보한 것은 한국 정부가 지난 2일부터 모든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입국 후 PCR검사를 실시하는 데 대한 상응 조치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이날 중국 외교부는 "대등한 조치를 취할 이유가 있다"며 이번 조치가 방역 수요에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한국의 조치에 대한 상호주의적 맞대응임을 사실상 인정했다. 마오닝 외교부 대변인은 한국발 입국자 검사 방침에 대한 설명을 요구한 연합뉴스의 질의에 "개별 국가가 여전히 중국에 대한 차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