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챗GPT 플러스' 출시 계획……"피크타임에도 빠른 응답" 미국 스타트업 오픈AI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의 유료 버전을 이용료 월 20달러(약 2만4천원)에 내놓겠다고 1일(현지시간) 밝혔다. 블룸버그·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오픈AI는 블로그를 통해 '챗GPT 플러스' 출시 계획을 발표하면서 구독자들이 챗봇에 사람들이 몰리는 피크타임에도 항상 챗봇에 접속할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구독자들은 질문에 더 빠른 답을 받을 수 있게 되고 신규 기능이나 개선된 사항도 먼저 접할 수 있게 된다. 유료 버전은 미국에서만 가입할 수 있으며 다른 국가 및 지역으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오픈AI는 덧붙였다. 무료 버전의 경우 제한된 수의 사람들만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어 사람들이 몰리는 시간에는 빠른 응답을 듣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공개된 챗GPT는 며칠 만에 100만명 사용자를 끌어모았고, 사람과 상당히 비슷한 수준의 글을 몇초 만에 내놓는 획기적인 성능으로 화제를 모으면서 과부하가 잦아졌다. 투자은행 UBS는 이날 보고서에서 분석업체 시밀러웹을 인용해 챗GPT가 출시 두 달 만인 올해 1월에 월활성사용자(MAU) 1억명을 돌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MAU 1억명 돌파까지 틱톡은 9개월, 인스타그램은 2년 반가량 걸린 데 비해 엄청난 속도라고 CBS 뉴스는 전했다. UBS 애널리스트들은 "인터넷 공간에서 지난 20년간 이보다 더 빠른 성장을 보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오픈AI는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MS)와 100억 달러(약 12조원) 규모의 투자 계약을 체결했으며 지속해서 수익 창출 모델을 찾고 있다. 오픈AI는 다음으로는 사용자들이나 기업이 자체 애플리케이션에
토폴라네크 전 총리 트위터서 "'하나의 중국'은 강요된 게임" 페트로 파벨 체코 대통령 당선인이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과 전화통화를 한 것을 두고 중국이 반발하자 미레크 토폴라네크 전 체코 총리가 "대만은 중국이 아니며 중국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2일 대만의 타이완뉴스에 따르면 토폴라네크 전 총리는 전날 트위터에 올린 글을 통해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파벨 당선인과 차이 총통 간 전화 통화를 '하나의 중국'에 반하는 것이며 '중국 내정에 대한 간섭'이라고 반발한 것을 비판하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토폴라네크 전 총리는 트위터에서 "나는 중국 외교의 비난을 비난한다"면서 "매우 염려스럽다. 우리는 얼마나 오랫동안 '하나의 중국'에 관한 강요된 게임을 할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토폴라네크 전 총리는 "대한민국(한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아니고,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가 아닌 것처럼, 대만은 중국이 아니며 중국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폴라네크 전 총리는 체코 상원 의원을 역임한 뒤 2006년∼2009년까지 총리를 지냈다. 앞서 페트로 파벨 체코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달 30일 차이 총통과 통화에서 대만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보와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차이 총통은 지난달 30일 오후 6시께 파벨 당선인과 약 15분간 통화했다. 차이 총통은 파벨 당선인의 당선을 축하하면서 앞으로 대만과 긴밀한 파트너십 관계 추진을 희망한다고 밝혔고, 파벨 당선인은 대만과 체코 양측이 자유, 민주주의, 인권 존중, 법치 등의 가치를 공유한다고 화답했다. 두 사람은 런던대학교 동문이다. 대만과
CNN 인터뷰 "죄수 출신 용병들 앞세워 인해전술…쌓인 시신 밟고 올라와"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러시아 용병기업 와그너그룹 소속 대원들을 "좀비 같았다"고 묘사하며 이들이 전장에 투입되기 전 마약을 복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미국 CNN 방송은 와그너그룹 대원들의 공습을 받고 전투 끝에 살아남은 우크라이나 군인 안드리이의 경험담을 1일(현지시간) 상세히 전했다. 안드리이는 러시아가 최근 대규모 병력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진 우크라이나 동부 바흐무트에서 와그너그룹 용병들의 공격을 받았다고 했다. 그는 "10시간 동안 계속해서 싸웠다"며 "(적들은) 그저 파도 같은 수준이 아니라 끊임없이 들이닥쳤다. 우리 편은 20명 정도, 저쪽 편은 200명은 되는 것 같았다"고 돌아봤다. 와그너그룹의 공격 방식은 먼저 죄수들로 구성된 신입 용병들을 대거 투입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탈주한 전직 용병은 이 죄수 출신 병사들이 '총알받이'로 소모됐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안드리이는 바흐무트에서 상대한 와그너그룹 용병부대가 한 줄에 10명씩 30m가량으로 늘어선 뒤 정해진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땅을 팠고, 또 다른 10명 그룹이 똑같이 뒤따르는 방식으로 인해전술을 폈다고 설명했다. 와그너그룹은 이들 첫 부대의 탄약이 소진되거나 모두 총에 맞아 쓰러지면 그때서야 좀 더 경험이 있는 전투부대를 측면에서 투입한다. 안드리이는 이런 식의 공격에 맞닥뜨리는 것이 놀랍고 초현실적인 경험이었다고 회상했다. 그는 이 전투를 좀비 영화의 한 장면에 빗대며 "그들은 전우들의 시체를 밟으며, 쌓인 시신 위로 타고 올라왔다"고 말했다. 또 "그들이 공격을 시작하기 전에 마약을 복용한 것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