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전략대화…우크라이나 군사 지원, 러시아 제재 강화 미국과 폴란드가 최근 러시아의 용병집단에 탄약을 판매한 북한을 겨냥해 러시아의 전쟁 지원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미 국무부는 지난 2일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서 14차 미·폴란드 전략대화를 하고 우크라이나 상황 등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양국은 공동성명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전략적 실패로 남도록 계속 전념할 것"이라며 "벨라루스, 북한, 이란은 러시아를 그만 지원하고 중국은 러시아의 (전쟁에 대한) 거짓 서술을 확산하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양국은 "러시아가 국제적으로 인정하는 국경 내에 있는 모든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철수해야 함을 다시 강조한다"며 "우크라이나가 자신을 방어하는데 필요한 군사 지원을 계속하고, 인도적 구호를 돕고,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해 협력하겠다는 우리 의지를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이어 러시아가 침략을 중단할 때까지 제재를 강화하겠다며 제3국 관할 지역에서 이뤄지는 제재 우회 행위를 추적하고 더 강력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북한 등 다른 국가의 대(對)러 제재 위반을 더 면밀히 감시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양국은 또 러시아산 화석연료에 대한 유럽의 의존을 줄이기 위해 계속 협력할 필요를 강조하면서 폴란드에 대규모 원자력발전소 건설과 소규모 모듈 원자로(SMR) 개발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1주년(2월 24일)을 앞두고 동유럽 국가들과 안보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이 1주년에 즈음해 폴란드를 비롯한 유럽을 방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미 언론 보도도 나온 바 있
석방 요구 단식투쟁 이틀만…변호인 "건강 상태 양호" 베를린영화제 황금곰상을 받은 대표적인 이란인 영화감독 자파르 파나히(63)가 보석으로 풀려났다고 반관영 ISNA 통신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테헤란 에빈 교도소에 수감됐던 파나히 감독은 지난 1일 석방을 요구하며 단식투쟁에 돌입했다. 파나히 감독의 변호인 유세프 물라이는 지난 3일 파나히 감독이 석방됐다면서 이틀간 음식을 먹지 않았지만 건강 상태는 양호한 편이라고 전했다. 앞서 파나히 감독은 단식투쟁을 시작하며 낸 성명에서 "나는 이란 사법부와 보안 당국의 불법적이고 비인도적인 행위, 그리고 그들의 무차별 억류에 맞서 단식에 들어감을 엄숙히 선언한다"고 밝혔다. 2015년 '택시'로 베를린영화제 황금곰상을 받은 파나히 감독은 2000년 베니스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받고, 2006년과 2013년 베를린영화제에서 은곰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영화제에서 명성을 얻었다. 그는 대통령 선거에서 개혁파 후보를 지지하고 반정부 시위에 동조하다가 체포돼 2010년 징역 6년 형을 선고받았다. 파나히는 복역 두 달 만에 조건부 석방된 뒤 출국금지 상태로 이란에서 작품 활동을 이어가다가 지난해 7월 재수감됐다. 당시 이란 사법부는 그가 2010년 선고받은 징역 6년 형을 마저 채우기 위해 다시 구금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4일(현지시간) 포로 총 179명을 교환했다고 로이터, dpa 통신이 보도했다.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116명의 우크라이나군 포로가 석방됐다고 밝혔고, 러시아 국방부는 63명의 러시아군 포로가 풀려났다고 발표했다. 예르마크 비서실장은 "이번에 석방된 포로 중에는 마리우폴에서 싸운 군인, 헤르손 지역의 게릴라, 바흐무트의 저격수 등 우리의 영웅들이 포함됐다"고 텔레그램에서 말했다. 그는 영국 출신 구호 활동가인 앤드루 백쇼와 크리스 패리의 시신도 돌려받았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지난달 우크라이나 동부에서 주민 대피를 돕기 위한 인도주의 활동을 하다 사망했다고 유족들이 전한 바 있다. 러시아 국방부는 성명에서 아랍에미리트(UAE)가 이번 포로 교환을 중재했으며 '특수 분야'의 군인들도 이번에 석방됐다고 밝혔다. 다만 해당 분야가 무엇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전쟁 기간 꾸준히 포로 교환을 하고 있다. 주요 사례로는 지난해 9월 270명, 10월 약 200명, 11월 214명 등 규모의 포로 교환이 있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