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 트레이시 신임 주러시아 미국 대사가 내주 초 러시아에 신임장을 제출하고 공식 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28일(현지시간)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트레이시 대사가 내주 초 자신과 면담하고 신임장을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트레이시 대사는 양국 관계가 극도로 악화한 가운데 첫 업무를 시작하게 됐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내주 중 신임장 제출 일정이 있을 것이라고 알리면서 "미국이 러시아를 상대로 한 '하이브리드 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신임 미국 대사가 양국 관계를 개선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러시아는 미국 대사가 러시아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며 미국 내 극심한 반러시아 감정 탓에 트레이시 대사의 활동 범위가 제약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 역시 지난 20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임기가 절반가량으로 접어든 지금 양국 관계는 최악으로, 개선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미국 역사상 첫 여성 주러시아 대사인 트레이시 대사는 2014∼2017년 주러시아 미국 대사관에서 차석을 지내고 국무부에서 러시아 선임 고문을 맡는 등 러시아 전문가로 통하며 러시아어도 능통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지아대에서 소비에트 전공을 한 뒤 애크런대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국무부 남·중앙 아시아국 중앙아시아 차관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중앙아시아 국장 등도 역임했다. /연합뉴스
"조종사 3명 중 2명은 무사"…당국, 공중 충돌 여부 등 조사 인도 중부에서 28일(현지시간) 인도 공군 소속 전투기 두 대가 추락, 조종사 3명 중 1명이 사망했다고 타임스오브인디아 등 인도 매체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중부 마디아프라데시주 모레나 지역에서 전투기 수호이-30과 미라주 2000이 추락했다. 두 전투기는 이날 훈련 비행을 위해 골리오르 공군 기지에서 출격한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소셜미디어(SNS)에는 추락한 전투기의 잔해가 화염에 휩싸인 영상 등이 올라오고 있다. 당국은 현장에 군경 병력을 급파, 구조·수색 작업을 벌였다. 한 소식통은 타임스오브인디아에 "수호이-30과 미라주 2000에는 각각 2명과 1명의 조종사가 타고 있었다"며 "부상한 수호이-30의 조종사 2명은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미라주 2000의 조종사는 숨졌다"고 말했다. 공군은 두 전투기가 공중에서 충돌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구체적인 사고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인도에서는 군 헬기와 전투기의 추락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편이다. 2021년 12월에는 인도군 최고사령관인 비핀 라와트 국방참모총장이 남부 타밀나두주에서 헬기 추락사고로 숨지기도 했다. 특히 구형 전투기인 미그-21의 경우 2021년에만 5대 이상이 추락, 조종사 3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미그-21은 지난해 7월에도 서부 라자스탄주에서 추락, 조종사 2명이 사망했다. /연합뉴스
전년보다 93% 증가…신에너지차 시장 점유율 25.6% 작년 중국 내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 생산량과 판매량이 각각 705만8천대와 688만7천대에 달해 8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고 재경망 등 현지 매체가 28일 보도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에 따르면 작년 신에너지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전년보다 각각 96.9%, 93.4% 증가했다. 신에너지차의 중국 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25.6%로, 전년보다 12.1%포인트 높아졌으며 전 세계 판매량의 60%를 차지했다. 순수 전기차(EV) 판매량이 536만5천대를 기록해 전년 대비 81.6% 증가했으며, 전체 신에너지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8%에 달했다. 하이브리드차는 151만8천대가 팔려 전년보다 150% 급증했다. 중국 토종 브랜드의 자국 내 신에너지차 판매 점유율은 전년보다 5.4%포인트 증가한 79.9%였다. 신에너지차 수출은 67만9천대로, 전년보다 120% 불어났다. 세계 신에너지차 판매 상위 10대 기업 가운데 중국 업체 3곳이 포함됐고, 전기차 배터리 상위 10개 기업 중 6곳이 중국 업체였다. 공업정보화부는 작년 중국 전역에 전기차 충전소 259만 곳을 증설, 총 521만 곳으로 늘렸고, 배터리 교환소도 675곳을 신설, 총 1천973곳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국에서는 전기차를 충전하는 방식 이외에도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하는 방식도 있다. 5분이면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어 충전하는 것보다 시간을 훨씬 단축할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