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뺏고 범죄 일으켜" 목소리
스웨덴 등 잇따라 극우 득세
이민자 내보내면 인구감소 우려도
이달 초 난민 구조선 ‘오션 바이킹’은 난민 234명을 태운 채 3주 동안 이탈리아 해상에 표류했다. 이탈리아 정부는 지난달부터 난민 구조선 4척의 입항을 거부했다. 대신 문을 열어준 나라는 프랑스였다. 제랄드 다르마냉 프랑스 내무부 장관은 “부끄러운 짓을 했다”며 이탈리아를 비판했다.
이번 사태는 난민, 즉 이민을 둘러싼 유럽 내 갈등을 잘 보여주는 예다. 난민에 반대하는 극우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유럽 인구 측면에서 이민의 역할을 부정하기도 어렵다. 반(反)이민 정서가 유럽의 인구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는 얘기다.
유럽 인구 감소 막은 이민
프랑스로부터 비판을 받은 이탈리아도 할 말은 있다. 북아프리카에서 지중해를 건너오는 난민에게 이탈리아는 가장 가까운 유럽 국가다. 올해만 이민자 9만여 명을 수용했지만, 유럽연합(EU) 회원국은 부담을 나눠 지지 않았다.
유럽은 2012년부터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넘는 ‘데드크로스’가 발생했다. 그러나 EU 통계청 유로스타트에 따르면 인구가 실제 감소한 것은 2020년부터다. EU 인구는 2019년 초 4억4732만 명으로 고점을 찍고 지난해 말 4억4682만 명으로 2년간 약 50만 명 줄었다.
이민은 급격한 인구 감소를 막는 완충재 역할을 했다. 2020년과 지난해 순 이민자 수(EU로 유입된 이민자 수-EU를 떠난 이민자 수)는 각각 100만 명에 달했다. 유로스타트는 “이민자가 없었다면 2019년에만 EU 인구가 50만 명 줄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지난 25일 EU 집행위원회가 내놓은 이민자 대처 방안에는 강력한 이민 통제 조항이 포함됐다. 북아프리카 사람들의 탈출 자체를 막기 위해 제3국과 협력하는 조치다.
올 들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난민 수가 급증하면서 유럽의 난민 수용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렸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유럽으로 피신한 우크라이나 시민은 480만 명에 달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곡물 수입 의존도가 높은 북아프리카에서도 식량위기가 심화되며 난민이 속출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올 들어 지난 8월까지 EU와 노르웨이, 스위스 등에 접수된 망명 신청은 약 58만 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약 60% 늘었다”고 보도했다.
극우 득세에 반이민 확산
시리아 내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이주민은 급증했고, 에너지난과 고물가에 시달리는 EU 국가는 이들을 수용할 여력이 부족하다. 소수파였던 극우 정당은 반이민을 내걸고 권력을 잡았다. 하지만 반이민 정책 때문에 인구 감소라는 복병을 만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나온다.
오션 바이킹호 사건의 주역은 지난달 이탈리아에서 100년 만에 탄생한 극우 성향 총리 조르자 멜로니다. 멜로니는 ‘“이민자들을 돌려보내고 구조선을 침몰시켜야 한다”는 발언까지 했다.
9월 스웨덴에서는 극우 성향의 스웨덴민주당이 포함된 우파연합이 권력을 잡았다. 스웨덴은 독일과 함께 이민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던 나라로 전체 인구의 20%가 이민자다. 그러나 선거 직전 발생한 갱단 총격 사건의 용의자가 이민자 가정 출신으로 밝혀져 반이민 정서가 폭발했다. 인도 이민자 가정 출신인 리시 수낵 영국 총리도 이민자를 막고 있다. 지난 14일 영국은 프랑스에 순찰비 7220만유로(약 1002억원)를 주고 영불 해협을 건너는 불법 이민자를 통제하기로 했다. 프랑스의 4월 선거에서도 반이민을 주창한 국민연합(RN)의 마리 르펜 후보가 결선에 진출하는 등 선전했다.
미국 하와이의 마우나 로아 화산이 27일 밤(현지시간) 분화를 시작했다고 미국 지질조사국(USGS)이 밝혔다.하와이섬을 구성하는 5개 화산 중 하나인 마우나 로아는 지표면에 있는 가장 큰 활화산으로 알려졌다.USGS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27일 오후 11시30분(한국시간 28일 오후 6시30분)께 해발고도 4170m인 마우나 로아 화산에서 분화가 시작됐다. 1984년 이후 38년 만이다.USGS가 화상 정상부에 설치한 웹캠에는 분화구 안에서 용암이 흘러나오는 모습이 담겼고, 분화 15분 후 USGS는 기존의 화산활동 주의보를 경보로 상향했다. 항공기상 코드도 황색에서 적색으로 격상했다.현재 마우나 로아 화산의 분화에 따른 용암 분출은 정상부의 칼데라(화산폭발 후 수축으로 생겨난 함몰 지형)인 '모쿠아웨오웨오' 부분에 국한된 상태로, 당장은 인근 마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다만,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부는 바람 탓에 화산이 내뿜는 가스와 미세 화산재, 용암이 가느다란 유리로 굳은 화산모(火山毛·Pele's hair) 등이 날릴 수도 있다고 USGS는 전했다.USGS는 또 전례로 볼 때 마오나 로아 화산 분화의 초기 단계에서 용암 흐름 등이 급변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분화가 계속 모쿠아웨오웨오 안쪽에서만 일어난다면 용암 분출이 칼데라 벽 내로 국한될 가능성이 크지만, 만약 칼데라 밖에서도 용암 분출 지점이 생긴다면 용암이 빠른 속도로 저지대로 내려갈 수 있다는 설명이다.이와 관련 하와이 화산 관측소 당국은 공중 정찰 등을 통해 분화 상황을 점검하고 위험도를 평가할 예정이다.앞서 최근 수주일간 마우나 로아 화산에서 크고 작은 지진파가 관측돼 화산 분화가 임박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 바 있다.마우나 로아 화산이 크게 분출한 최근 사례는 1984년 3월24일부터 4월15일까지다. 이전에는 1926년과 1950년 분출로 산기슭 마을이 파괴된 적이 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인도 중부에서 육교의 바닥이 무너져 보행자들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28일(현지시간) ANI통신 등 인도 매체는 전날 오후 중부 찬드라푸르의 기차역 구내에서 플랫폼을 연결하는 육교의 바닥 일부가 갑자기 무너져 내려 1명이 사망하고 약 20명이 다쳤다고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이 사고로 20여명이 6m 높이에서 철로 위로 떨어졌고, 인근 병원으로 옮겨진 부상자 중 48세 여성이 치료 중 사망했다. 치료 중인 부상자 중 8명은 중태인 것으로 알려졌다.인도에서는 건축 규정을 지키지 않는 등 부실 공사가 많고 이후 불법 개축도 흔해 건축물 붕괴가 자주 발생한다.앞서 2013년에는 뭄바이의 한 건물이 붕괴해 72명이 사망했고, 지난달 서부 구자라트주에서는 보행자 전용 현수교가 갑자기 무너져 약 140명이 사망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미국 워싱턴DC 인근에서 경비행기가 고압전선과 충돌해 그 일대에 대규모 정전이 일어났다.2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이날 오후 5시30분께 워싱턴DC에서 북쪽으로 약 48㎞ 떨어진 메릴랜드주 몽고메리 빌리지에서 경비행기가 고압전선에 충돌했다고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이 사고로 일대 12만 가구에 전기 공급이 끊겼고, 신호등 전원이 차단돼 인근 도로가 폐쇄됐다.다행히 추락 당시 비행기가 지면으로부터 약 30m 높이의 고압선 망에 걸려 땅에 추락하지 않아 조종사들은 크게 다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소방 당국은 대형 크레인을 동원해 탑승객 2명에 대한 구조 작업을 벌였고, 탑승객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정확한 사고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몽고메리 소방구조대는 이날 사고 지역에 안개가 많이 끼었고, 날씨가 습했다고 설명했다.미 연방항공국(FAA)에 따르면 이 경비행기는 무니 M20J 기종으로, 뉴욕주 웨스트체스터에서 출발해 몽고메리 비행장으로 향하던 중 추락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