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가 상승했다. 달러화의 가치가 이전보다 하락했고 미국의 휘발유 재고가 감소했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다.
26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유(WTI) 선물(12월물)은 전 장보다 3.03% 상승한 87.9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같은날 런던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선물(1월물)도 전 장보다 2.23% 오른 93.79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의 주간 원유 재고가 늘어났지만 휘발유 재고가 줄었다는 소식이 유가를 밀어올렸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전체 원유 재고가 전주 대비 258만8000배럴 늘어난 4억3994만5000배럴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60만 배럴 증가보다 더 크게 증가했다.
다만 휘발유 재고는 한 주간 휘발유 재고는 147만8000배럴 줄어 2억789만배럴을 기록하며 예상치보다 가파르게 줄었다. 애널리스트들은 앞서 휘발유 재고가 90만배럴 가량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마이클 린치 스트래터직에너지앤드이코노믹리서치 대표는 "EIA 자료가 앞서 발표된 API 재고보다 (유가에) 더 강세 쪽이었다"며 "휘발유 재고가 줄어든 것은 경제가 예상만큼 약하지 않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미국의 원유 수출이 늘었다는 점도 국제유가를 지지하는 요인 중 하나다. EIA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의 원유 수출은 하루 510만 배럴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존 킬더프 어게인 캐피털 애널리스트는 "수출 덕분에 (국제유가 전망이) 낙관적으로 바뀌고 있다"고 했다.
달러화 약세도 겹쳤다. 원유는 통상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달러화로 거래되는 원유가 체감상 저렴하게 돼 수요가 촉진된다. 달러화는 미국 중앙은행(Fed)가 금리인상의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지속적인 매도세가 이어지고 있다. 영국과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금융위기 우려가 완화되면서 파운드화와 유로화 강세가 확대된 점도 약세 요인 중 하나다. 이날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산정하는 ICE 달러인덱스는 전 장 대비 1.1%가량 하락한 109.72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필 플린 프라이스퓨처스 그룹 선임 시장 애널리스트는 "유가가 오른 것은 달러화 약세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국제유가가 추가로 상승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유럽이 12월부터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금지하고 해운 보험 산업에서 러시아 유조선을 배제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JP모간은 보고서에서 “유가는 2024년까지 글로벌 수요와 수급 펀더멘털보다는 러시아 석유를 수송하는 유조선의 가용성에 큰 영향을 받아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썼다.
이달 9일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 유지 여부 논의 세계보건기구(WHO)는 M두창(옛 명칭 원숭이두창) 신규 감염 사례가 지난달 716건 추가됐으며 사망자도 9명 늘었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WHO가 이날 발간한 M두창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30일 사이에 세계 110개 국가에서 총 716건의 M두창 신규 감염 사례가 확인됐고, 사망자 9명이 새로 보고됐다. 신규 사망자는 모두 미주 지역에서 나왔다. 미국 5명과 페루 3명, 브라질 1명 등이다. 중서부 아프리카의 풍토병이었던 M두창은 작년 5월부터 세계 각국으로 확산했다. 이 병에 걸리면 수포성 발진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급성 발열이나 두통, 근육통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지난달 기준으로 전 세계 확진 사례는 8만5천449건이며 누적 사망자 수는 89건이다. M두창은 동성 남성 간 성적 접촉 과정에서 매개되는 감염 사례가 대다수라는 특징 때문에 질병 자체의 위험성뿐만 아니라 감염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차별, 그에 따른 질병 대응력 저하 등의 문제를 함께 안고 있다. 이런 특수성 등을 고려해 WHO는 지난해 7월 M두창에 대해 최고 수준의 방역 경계태세인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언했다. 현재 PHEIC가 내려진 질병은 코로나19와 M두창, 소아마비 등 3가지다. 지난해 4분기부터는 백신 보급과 환자에 대한 인식 개선 활동을 포함한 각국의 방역 노력 등으로 신규 발병 사례가 줄고 확산세가 주춤해졌지만, 지난달 사망자가 9명이나 새로 확인되면서 PHEIC를 해제할지 여부를 장담하기 어려워졌다. WHO는 이달 9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국제 보건규약 긴급위원회를 열어 M두창의 PHEIC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방역 지출 늘고 국유토지 판매 감소·세금 환급 영향 작년 중국의 재정 적자가 1천600조원에 달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고 제일재경 등 현지 매체가 3일 보도했다. 중국 재정부 발표에 따르면 작년 중국의 재정 적자는 8조9천600억 위안(약 1천635조 원)으로, 적자 폭이 역대 최고였다. 재정 수입은 28조1천600억 위안(약 5천139조5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6.3% 감소한 반면 재정 지출은 37조1천200억 위안(약 6천774조8천억 원)에 달해 전년보다 3.1% 증가했다. 재정 수입(공공예산 수입과 정부 기금 예산 수입) 가운데 해마다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던 공공예산 수입은 2013년부터 한 자릿수로 줄어든 뒤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020년에는 마이너스 성장했고, 작년에는 전년보다 0.6% 소폭 증가했다. 특히 공공예산 수입 중 조세 수입은 작년 16조6천600억 위안(약 3천41조 원)으로 전년보다 3.5% 줄어 1969년 이래 가장 낮았다. 중앙과 지방 정부 기금 예산 수입은 7조7천900억 위안(약 1천421조8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6% 감소했다. 지방정부 기금 수입에 속하는 국유토지 판매 수입은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으로 6조6천900억 위안에 그쳐 전년보다 23.3% 줄었다. 지출 가운데 위생건강 부문이 2조2천542억 위안에 달해 전년보다 17.8% 급증했고, 사회보장 및 취업 지원 지출도 3조6천603억 위안으로 8.1% 늘었다. 중국이 작년 12월 발행한 7천500억 위안 규모의 특별 국채는 이런 재정난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020년 경기 부양을 위해 발행한 1조 위안 가운데 만기 도래한 국채 상환을 위해 신규 발행에 나섰을 것이라는 얘기다. 중국 인민대는 작년 12월 발표한 지방재정 발전 보고서에서 "지난 2년간 재정 수입은 부진했던
WSJ 소식통 인용 보도…"일정 조율 중…며칠 내 전망"변호인 "지난달 10여 건 자진반납…펜스는 문서 존재 몰랐다"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지난달 유출된 기밀문서 10여 건이 발견된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의 자택을 며칠 내에 수색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는 관련 사정에 밝은 소식통을 인용해 미 법무부가 펜스 전 부통령의 변호인들과 수색 일정을 조율 중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미 법무부 대변인은 관련 질의에 답변을 거부했다. FBI 인니애나폴리스 현장사무소 대변인도 WSJ의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에서 부통령을 지낸 펜스 전 부통령의 변호인들은 지난달 19일 인디애나주에 있는 자택에서 기밀문서 10여 건을 발견해 22일 국립문서보관고에 반납했다고 앞서 밝힌 바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자택을 압수수색 한 FBI가 수백 건의 기밀문서를 찾아낸 데 이어 조 바이든 대통령의 사무실과 사저에서도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부통령으로 재직할 당시 기밀문서가 나오자 경각심 차원에서 조사를 진행했다는 것이다. 다만, 펜스 전 부통령의 변호인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임기가 끝났을 당시 이 문건들이 부주의하게 다른 문서들과 섞여 자택으로 운송된 것이라면서 펜스 전 부통령은 이런 문건이 본인의 집에 있는지조차 몰랐다고 주장했다. WSJ은 문건 제출과 조사를 거부했던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달리 협조적 태도를 보인 바이든 대통령의 경우 FBI가 압수수색을 진행할 필요가 없었던 점을 예로 들면서, 펜스 전 부통령 자택에 대한 조사도 같은 방식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공화당 잠룡 중 하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