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들이 세율 높은 주에서 낮은 주(州)로 이동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7일(현지시간) 일리노이 지역매체와 폭스 비즈니스 등이 연방 인구조사국과 싱크탱크 '조세재단'의 데이터를 분석·보도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인 120만 명이 다른 주로 이사했으며 대부분 세금 부담이 높은 주에서 낮은 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입 인구가 가장 많았던 5개 주의 유효세율은 9.9% 이하이며, 특히 플로리다·텍사스·테네시 등은 소득세가 아예 없다. 이들 5개 주의 전입자 수는 다른 주로 전입한 전체 인구의 68%를 차지했다. 캘리포니아·뉴욕·일리노이 등 인구 유출이 가장 많았던 5개 주의 유효세율은 11.5% 이상으로, 이들 5개 주 전출자 수는 전체 타주 전출자의 76%를 차지했다. 조세재단은 미국 인구가 세율이 높은 주에서 낮은 주로 이동하는 현상이 2021년에 이어 2022년에도 계속됐다며 일리노이처럼 세금 부담이 큰 주에는 좋지 않은 징후라고 설명했다. 인구조사국이 작년 12월 22일 공개한 자료를 보면 일리노이 인구는 2021년 7월부터 2022년 7월까지 1년새 총 10만4천437명이 줄며 9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일리노이보다 감소세가 더 오래 지속된 주는 웨스트 버지니아(10년 연속) 단 한 주 뿐이었다. 일리노이주의 인구 감소세는 인근 주보다 5배나 빨라 '혹독한 날씨 때문에 일리노이 주민들이 떠난다'는 속설이 사실과 다름을 시사했다. 일리노이에 인접한 위스콘신·인디애나·미주리·켄터키 등은 다른 주에서 넘어온 전입자들로 인해 전체 인구가 오히려 늘었다. 정책전문매체 일리노이폴리시(IP)는 "경쟁력 있는 조세제도는 지역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 인구 증가의 핵심 요소"라면서
미국이 우크라에 지원할 M1A2 에이브럼스, 대만 주문 기종과 동일대만, 2024년∼2026년 총 108대의 M1A2 인도받을 계획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신형 M1A2 에이브럼스 전차(탱크) 31대를 지원하기로 함에 따라 같은 기종의 에이브럼스 전차를 미국에 주문한 대만의 전차 인도 일정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대만의 타이완뉴스는 28일 미국의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를 인용해 "대만의 에이브럼스 전차 주문이 우크라이나에 탱크를 지원하려는 미국의 결정으로 복잡해졌다"고 보도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연설을 통해 "우크라이나에 31대의 M1 에이브럼스 탱크를 지원할 것"이라며 "되도록 빨리 (탱크 운용을 위해) 우크라이나군 훈련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국방부는 이후 우크라이나에 지원되는 에이브럼스 전차가 구형(M1A1)이 아닌 신형 모델(M1A2)이라고 확인한 바 있다. 미국은 기밀 장갑 패키지가 제외된 수출용 M1A2를 신규조달해 우크라이나에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보내기로 결정한 M1A2 에이브럼스는 대만이 2019년 총 108대를 주문하고 계약을 완료한 전차와 같은 기종이다. M1A2 에이브럼스는 현재 미국 오하이오주 리마의 제너럴다이내믹스사 공장에서만 생산된다. 이곳에서는 매달 12대의 M1A2 에이브럼스를 생산한다. 제너럴다이내믹스 리마 공장의 생산라인은 현재 대만과 폴란드가 주문한 M1A2 에이브럼스를 생산하기 위해 완전 가동되고 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에 제공하기 위해 생산량을 늘리는 게 쉽지 않다고 폴리티코는 보도했다. 대만 자유시보(自由時報)에 따르면 대만이 미국에 주문한 108대의 M1A2 에이브럼스 가운
IHR "반정부 시위 격화하자 공포분위기 조성 위해 사형제도 악용"앰네스티 "구금 과정에서 살해위협·성폭력 등 끔찍한 고문도"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벌어진 이란에서 올해에만 최소 55명의 사형이 집행됐다는 주장이 나왔다고 AFP통신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노르웨이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 이란휴먼라이츠(IHR)는 올해 들어 지난 26일까지 이란에서 최소 55건의 사형 집행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반정부 시위 혐의로 기소된 최소 107명이 사형 선고를 받고 처형될 위험에 처해 있다고 IHR는 덧붙였다. IHR은 이란 정부가 작년 9월 수도 테헤란에서 히잡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찰에 체포됐다가 의문사한 22세 여성 마흐사 아미니 사건으로 촉발된 반정부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사형 집행이 급증했다고 지적했다. IHR은 "이란에서 이뤄지는 모든 사형 집행은 정치적"이라며 "주요 목적은 사회적 공포와 두려움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IHR 책임자 메흐무드 아미리 모가담은 "이란의 '처형 기계'를 멈추기 위해서는 정치적인지, 비정치적인지와 관계없이 어떠한 사형 집행도 용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제 사회의 관심 부족이 시위자 처형에 소요되는 정치적 비용을 낮출 위험이 있다"며 이란의 비인권적 상황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볼커 튀르크 유엔인권최고대표는 "이란 정부가 시위대를 처벌하기 위해 형사 절차를 무기화한 것은 국가가 살인을 승인한 것과 같다"고 말했다. 한편 국제앰네스티(AI)는 이날 성명을 내고 작년 9월 마잔다란주(州)에서 진행된 반정부 시위 도중 정부 건물 등 기반 시설을 파괴하고 방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