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빼고는 공급망 얘기할 수 없는 시대…여러 분야서 윈윈 가능"
"K컬처, 美 주류문화 편입…여론조사서 미국인 72% 주한미군 주둔 찬성"
안보·경제서 K컬처까지…조태용 대사가 주목한 한미관계 잠재력
윤석열 정부 초대 주미 대사인 조태용 대사는 14일(현지시간) 부임 100일 키워드로 '한미관계 잠재력의 재발견'을 제시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 등에서 확인된 바이든 정부의 '바이 아메리칸(Buy American)' 기조와 그에 따른 한국 기업의 차별 문제가 당면 현안으로 부상해 있기는 하지만, 그 밑으로는 한미 관계를 한 단계 더 도약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지난 6월 부임한 이후 체감했다는 것이다.

과거 주미 대사관에서 1등 서기관으로 근무하기도 했던 조 대사는 '25년 만의 워싱턴 DC 귀환'에서 잠재력이 있다고 주목한 분야 가운데 첫번째로 안보 문제를 꼽았다.

그는 오는 16일 진행되는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회의와 북한의 핵 무력 정책 법제화 등을 거론하면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북핵을 포함한 안보 위협이 한미 동맹을 더욱 중요하게 만들었다"면서 "안보 동맹의 중요성이 과거보다 더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안보·경제서 K컬처까지…조태용 대사가 주목한 한미관계 잠재력
조 대사는 이어 한미 양국이 "많은 분야에서 윈윈(win-win)할 수 있는 세상이 됐다"며 경제 협력 확대 가능성을 강조했다.

그는 그 이유에 대해 "한국의 경제력과 기술력이 커져 이제는 한국을 빼고는 어떤 공급망의 보전을 얘기할 수 없는 시대가 됐다"며 "반도체가 대표적이지만 배터리도 있고, 여러 면에서 한미가 새롭게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데 잘 되면 한미관계를 더 튼튼하게 연결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의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당장은 '단기적인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으나 큰 틀에서 보면 한국에 기회가 될 수 있고 이런 협력이 확산하면 한미관계도 다시 한번 발전할 수 있다는 게 조 대사의 설명이다.

특히 조 대사는 한미의 경제협력이 유망한 분야로 원전 협력을 꼽았다.

기후 변화와 에너지 수급 차원에서 새롭게 조명을 받는 원전 산업에서 한미 양국 간 협력이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미국이 원천기술과 큰 외교적 역량은 있으나 원전을 지은 지는 30~40년 됐다"면서 "우리는 (지금도) 아랍에미리트(UAE)에 원전을 짓고 있는 등 시공 능력이 있다.

두 나라가 전략적으로 협력할 수 있고 원전 시장에 합작으로 진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과의 원전 협력이 잘 풀리면 우리 경제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신성장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서 "한미 정상 간 공동성명에서 서로 협력하기로 합의는 했고 이제는 각론을 채워가는 단계"라고 밝혔다.

안보·경제서 K컬처까지…조태용 대사가 주목한 한미관계 잠재력
조 대사가 재발견한 잠재력의 한 부분은 문화다.

이전에는 한국문화를 일부 젊은 사람들만 소비했다면 이제는 미국 주류 문화의 한 부분이 됐다는 것이다.

그는 최근 '오징어 게임'이 에미상의 주요 부문에서 수상한 사실 등을 거론하면서 "10년 전에는 컬트 문화로 젊은 사람들에게만 어필했다면 이제는 K컬처가 미국 주류 문화로 편입된 세상이 됐다"면서 "이런 소프트 파워가 한미관계를 더 굳건하게 묶고 외교 할 때도 더 힘이 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조 대사는 시카고 카운슬 국제문제협의회의 최근 여론조사에서 미국 국민 61%가 한국에 대해 호감을 표시했고 72%가 주한미군 주둔에 찬성한 사실을 언급하기도 했다.

조 대사는 퓨리서치의 6월 여론조사에서 한국 국민의 89%가 미국에 호감을 보였다고 소개한 뒤 "민주주의 국가인 두 나라가 관계를 튼튼히 하려면 이런 국민적 지지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조 대사는 연방 하원에 한국계 의원이 4명 진출하는 등 미국 내 한국 동포사회의 약진도 한미관계의 잠재력으로 제시했다.

조 대사는 지난 8일 미국 중소기업청이 시카고에서 개최한 한인 기업인 콘퍼런스와 관련, "미국 중소기업청이 소수 민족 이민 사회와 비즈니스 포럼을 만든 것인데 그 첫 번째가 한국 동포사회였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미국 연방정부의 첫 포럼을 한국 동포사회로 정한 이런 일은 옛날엔 없었던 것으로 동포사회의 건강한 발전을 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