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영기업 5곳이 뉴욕증시 자진 상장폐지를 발표한 이후 중국 국영 항공사들과 주요 인터넷 기업들도 미국 증시 자진 상폐를 곧 발표할 수 있다는 관측이 시장에서 제기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덴마크 삭소은행의 중화권 시장 전략가인 레드먼드 웡은 미·중 간 대립 격화로 중국이 미국 규제당국에 양보할 가능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망했다.
특히 중국 동방항공과 남방항공이 "곧" 미국 증시 자진상폐 결정을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동방항공과 남방항공은 중국 국무원의 국유자산 감독관리위원회(SASAC)의 통제를 받고 있으며, 항공사 특성상 앞서 지난 12일 중국 국영 석유회사인 중국석유화공그룹(시노펙)과 자회사인 상하이석유화공(시노펙 상하이), 중국석유(페트로차이나), 중국알루미늄, 중국생명 등 5개 기업은 공시를 통해 뉴욕증시에 자진 상폐를 통보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 5개 기업 중 4개도 SASAC의 관할 아래 있다.
동방항공과 남방항공은 1997년 미국 증시 기업공개(IPO)를 통해 2억2천700만달러(약 2천975억원), 6억3천200만달러(약 8천282억원)를 각각 조달했다.
두 항공사 모두 홍콩과 중국 증시에도 상장돼 있다.
삭소은행의 웡 전략가는 이어 수많은 중국 개인들과 기업·기관들에 대해 막대한 양의 민감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중국 인터넷·플랫폼 기업들도 미국 증시를 떠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규제당국의 잠재적 퇴출 명단에 들어있는 알리바바와 핀둬둬, JD닷컴(징둥·京東), 바이두, 소후닷컴, 웨이보, 비리비리, 아이치이(iQiyi), KE홀딩스, 텐센트 뮤직엔터테인먼트 그룹을 자진 상폐 후보로 지목했다.
미국은 오랫동안 회계 감독기구인 상장기업회계감독위원회(PCAOB)가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을 조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지만, 중국은 주권을 내세워 이들 기업이 PCAOB의 감사에 직접 응하는 것을 제한해왔다.
결국 미국은 2020년 말 자국의 회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외국 기업을 증시에서 퇴출하도록 규정한 '외국회사문책법'을 도입, 자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273개사의 퇴출을 예고했다.
사실상 중국 회사들을 겨냥해 제정된 이 법은 PCAOB의 회계감사를 3년 연속 통과하지 못한 외국 기업을 미국 증시에서 퇴출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불리한 여론 속 하원 입법절차까지 건너뛰며 비판 목소리 커져하원 갈등 더 심해질 듯…"국민 69%, 의회 패싱은 민주주의 부정"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그토록 염원하던 연금 개혁에 한 걸음 다가섰다. 하원이 20일(현지시간) 엘리자베트 보른 총리에 대한 불신임안을 부결하면서 의회에서 할 수 있는 일에 마침표를 찍었다. 정년 연장을 골자로 하는 연금 개혁은 마크롱 대통령이 지난해 4월 재선에 도전하면서 내건 간판 공약이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로써 자신이 했던 약속은 지킬 수 있었지만, 그 과정에서 입은 정치적 내상이 가볍지 않아 보인다. 우선 야당 지지 없이는 입법이 어려운 하원 여소야대 구조 속에서 우파 공화당(LR)을 제외한 다른 야당들과 척을 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앞으로 남은 임기 4년 동안 의회 동의가 필요한 사업을 추진할 때마다 이번처럼 많은 시간과 정치적, 사회적 비용을 치르는 일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 좌도, 우도 아닌 중도를 지향하겠다며 정치판에 혜성처럼 등장한 마크롱 대통령은 앞으로 다수의 야권 정당들 가운데 공화당에만 의지해야 할 처지가 될 수도 있다. 좌파 진영에서는 일찍이 마크롱 대통령을 우파 정치인으로 인식해왔고, 이는 지난해 총선에서 분열을 거듭하던 좌파를 결집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프랑스 대통령은 연임이 한 번만 가능하기 때문에 마크롱 대통령은 마지막 임기에 배수의 진을 치고 신념을 밀어붙일 수 있었다는 해석도 나온다. 첫 번째 임기에서 복잡한 국가 연금 제도를 단일화하려다 포기한 마크롱 대통령은 재선에 도전하면서 새로운 버전의 연금 개혁안을 들고나왔다. 마크롱 대통령의 애초 공약은 정년을 62
NYPD, 법원·시 관계자들과 연쇄 회의…검사장 경호도 강화 강성 지지층을 지닌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기소를 앞두고 뉴욕의 법 집행기관들이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기 위한 방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뉴욕타임스(NYT)는 20일(현지시간) 뉴욕경찰(NYPD)과 뉴욕시 간부들이 전날 회의를 열고 공공 안전 대책을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자들의 시위에 대비한 비상 계획과 함께 인력배치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성추문 입막음' 혐의를 수사 중인 맨해튼지방검찰청도 지난주 법원 측과 안전 문제를 논의했다. 법원 건물 외부의 경비를 맡는 NYPD도 법원 건물 내부의 안전 대책을 위해 법원 관계자들과 회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법원에 출두할 경우 주변에서 지지자들의 시위가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둔 조치다. 실제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8일 검찰이 자신을 체포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지지층에 행동을 촉구했다. 특히 그는 자신을 수사하는 맨해튼지검을 "부패하고 매우 정치적"이라고 규정하면서 지지층의 분노를 자극하기도 했다. 이 같은 메시지가 발표된 이후 트럼프 지지층 사이에선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의 트럼프 자택 주변에 집결하자는 주장이 확산하기도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주장한대로 검찰이 체포에 나설 경우 지지자들이 직접 저지에 나서겠다는 취지다. 흑인이라는 이유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역(逆) 인종차별주의자'라는 공격을 받은 앨빈 브래그 맨해튼 검사장은 검찰 직원들에 대한 트럼프 지지자들의 위협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브래그 검사장은
중도·좌파 야당이 주도한 총리 불신임안 과반에서 9표 모자라 부결 프랑스 정부가 의회 입법 절차를 건너뛰면서까지 연금 개혁을 밀어붙이는 데 반발해 야권이 제출한 엘리자베트 보른 총리 불신임안 두 건이 모두 하원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이로써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연금 개혁안이 무효가 되고 내각이 사퇴 위기에 내몰리는 상황은 일단 모면했으나 표결 결과 하원 내 만만찮은 반대 세력의 존재가 확인돼 향후 정국 운영에 부담을 안게 됐다. 하원이 20일(현지시간) 오후 표결에 부친 첫 번째 불신임안에는 278명이 찬성해 과반에 미치지 못해 부결됐다. 하원 전체 의석은 577석이지만 현재 4석이 공석이라 불신임안을 가결하려면 의원 287명 이상이 동의해야 한다. 이 불신임안은 야당에서 자유·무소속·해외영토(LIOT) 그룹과 좌파 연합 뉘프(NUPES)가 함께 발의한 것이다. 극우 성향의 국민연합(RN)이 별도로 발의한 불신임안도 표결 결과 94명의 찬성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집권당이 하원 과반을 차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모든 야당이 찬성했으면 가결할 수 있었으나 우파 공화당이 함께하지 않았다. 올리비에 마를렉스 공화당 하원 대표는 이날 하원에서 "우리의 연금 제도를 구제하고, 은퇴자의 구매력을 보호하는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화당이 사실상 당론으로 불신임안을 지지하지 않겠다고 했으나, 표결 결과를 볼 때 이에 반한 결정을 내린 의원들도 상당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보른 총리가 이끄는 내각은 살아남았지만, 겨우 9표 차이로 부결된 만큼 앞으로 하원을 설득하는 일이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야당은 보른 총리가 하원 표결을 생략하고 연금 개혁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