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의심한 출동 경찰, 현장서 가난 확인 후 돕기 나서 브라질에서 굶주림에 시달리다 경찰에 신고한 11살 소년의 사연이 전해지면서 전역에서 온정이 답지하고 있다. 8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브라질 남동부 산타루지아에서 지난 2일 경찰 긴급 번호로 전화 한 통이 걸려왔다. 전화 속 소년은 힘없는 목소리로 "경찰 아저씨, 우리 집에 먹을 것이 하나도 없어요"라고 말했고, 경찰은 혹시 방임 등 아동학대가 아닐까 의심하며 소년의 집에 출동했다. 경찰이 빈민촌에 있는 소년의 낡은 집에서 마주한 상황은 아동학대가 아니라 극심한 가난이었다. 일자리는 줄고 식료품값은 올라 음식을 마련하지 못한 가난한 엄마는 홀로 키우던 6명의 자녀에게 사흘째 옥수숫가루와 물만 먹여야 했다. 엄마가 절망에 빠져 우는 모습을 본 아들 미게우가 경찰에 전화해 도움을 요청한 것이다. 출동한 경찰들은 굶주린 아이들을 보고 곧바로 슈퍼마켓에 가서 식료품을 가득 사 왔다. 사연을 들은 가게 주인도 공짜 음식을 내어줬다. 미게우와 경찰의 이야기는 지역 언론을 통해 소개됐고, 온라인에서 확산하며 많은 이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브라질 전역에서 미게우의 집으로 음식 등 기부물품이 답지하면서 텅 비어 있던 부엌 찬장은 금세 식료품으로 가득 찼다. 미게우는 찬장을 열어 보이며 "다양한 음식이 엄청 많이 왔다. 뭔지도 모르는 음식들도 있다"고 AFP통신에 말했다. 엄마 셀리아(46)는 "너무 힘들었다. 배고픔이 너무 괴로워 절대 잊을 수 없을 것 같다"며 "아무것도 없었는데 이제 다른 이들을 도와줄 수 있을 만큼 충분해졌다"고 말했다. 중남미 최대 경제국인 브라질은 올해 연 11%를 웃도는 가
美언론인 저서 발췌본 공개…"트럼프, 열병식에 상이용사 부르지말라 지시"트럼프 재임 시절 서류 찢어 변기에 버린 사진도 공개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미군 지도부가 과거 아돌프 히틀러를 따르던 나치 독일의 장군들처럼 자신에게 복종하기를 원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미 시사주간지 뉴요커가 8일(현지시간) 공개한 언론인 피터 베이커와 수전 글래서의 저서 '분열자: 백악관의 트럼프' 발췌본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 4성 장군 출신인 존 켈리 전 백악관 비서실장에게 "왜 당신들은 독일 장군들 같지 않으냐"고 물었다. 최고위급 장성들이 자신에게 충분히 복종하지 않는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불만에 켈리 전 비서실장은 나치 독일의 장군들이 "세 번이나 히틀러를 암살하려 했고 거의 성공할 뻔했다"고 응수했다.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아니다. 그들은 히틀러에게 완전히 충성했다"라며 역사적 사실을 무시했다고 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마크 밀리 합참의장에게 백악관 앞 라파예트 광장을 메운 '흑인 생명도 소중하다'(BLM) 시위대를 향해 "그들을 총으로 쏴버릴 수 없느냐. 다리든 어디든 그냥 쏴라"고 명령하면서 이를 거부하는 밀리 합참의장 등에게 "너희들은 다 패배자들"이라고 소리 질렀다는 일화도 소개됐다. 결국 주방위군과 경찰을 동원해 시위대를 해산시킨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반대편 교회로 가는 길에 동행한 밀리 합참의장은 "영원히 잊어버릴 수 없는 오판"이라며 동행 결정에 대해 자책했다고 저자들은 밝혔다. 그로부터 일주일 뒤 밀리 합참의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을 준엄히 꾸짖는 사직서를 썼으나, 실제로 제출하지는 않았다. 저서 발췌
뮤지컬 '그리스'로 스타덤…1992년 유방암 진단 영국 태생의 호주 유명 가수이자 배우인 올리비아 뉴턴 존이 8일(현지시간) 향년 7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그녀의 남편인 존 이스털링은 이날 뉴턴 존의 페이스북에 "올리비아가 오늘 아침 남부 캘리포니아에 있는 목장에서 가족들과 친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영원히 잠들었다"고 전했다. 이어 "매우 힘든 시기에 가족들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주기를 모든 이들에게 간곡히 요청한다며 "올리비아는 지난 30년간 유방암과 여정을 함께하며 승리와 희망의 상징이었다"고 애도했다. 뉴턴 존은 1992년 유방암 진단을 받은 이후 수십 년간 투병 생활을 해왔다. 지난 2018년 가을에는 자신의 세 번째 척추암 투병 사실을 공개하기도 했다. 영국에서 태어난 뉴턴 존은 1978년 존 트라볼타와 함께 찍은 뮤지컬 영화 '그리스'(Grease)로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그리스는 1950년대를 배경으로 미국 고등학생들의 사랑과 꿈, 열정을 다룬 작품으로,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뉴턴 존은 기존의 청순한 이미지를 탈바꿈하면서 세계적인 청춘스타로 발돋움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이후 '만인의 연인'으로 불리며 인기를 구가했다. 뉴턴 존은 2008년에는 기금을 조성해 어린 시절 성장한 호주 멜버른에 자신의 이름을 내건 '올리비아 뉴턴 존 암 센터'(ONJ Cancer Centre)를 설립하고 암 연구와 환자 지원을 해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