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산부인과 병동에서 코로나19 양성 사례가 발생했다는 이유로 갓 출산했거나 출산 직전인 임산부들과 신생아들을 대거 격리소로 옮기는 일도 벌어지는 등 코로나19 재확산 속에서 최우선 목표인 '제로 코로나' 실현을 위한 막무가내식 행정이 되풀이되고 있다.
웨이보 등 중국 소셜 미디어에서는 지난 5일부터 장쑤성 우시시의 한 지역이 주민들의 손등에 코로나 음성 확인 도장이 찍힌 사진이 퍼져 누리꾼들의 분노를 자아냈다.
이 지역 관리들은 코로나19 방역 관계로 이동 금지 대상으로 지정됐다가 다시 이동이 허용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몸에 직접 도장을 찍은 것도 모자라 사흘간 이 도장 자국을 그대로 유지하라고까지 요구했다.
많은 중국인은 가축 도살장의 검역 확인 도장을 연상케 하는 이 도장 사진을 보고 사람을 짐승 취급했다고 비판했다.
한 누리꾼은 웨이보에서 "시장에서 돼지고기 검사 후에 이런 색깔의 도장을 찍는 것이 생각났는데 이건 사람을 돼지처럼 취급해서 검사하는 것이 아닌가"라며 "반드시 관계된 책임자들을 문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다른 누리꾼도 "우리 사회의 모든 시민은 사람이며 사람은 마땅히 존중을 받아야 하는 것이 상식"이라며 "사람 손등에 동물 검역 도장 같은 것을 찍는 행위는 권한을 남용한 것으로 (시민) 권리에 관한 마지노선에 도전하는 행위"라고 비난했다.
이 사건이 전국적 화제가 되고 대중의 분노가 커지자 해당 당국은 공개 사과를 하면서도 책임을 말단 실무자에게 돌렸다.
우시시의 해당 지역 보건센터는 6일 성명에서 "업무 담당자가 단순하고 거친 일 처리로 주민들에게 걱정과 불편함을 끼쳤다"고 사과했다.
또한 중국 인터넷에서는 6일부터 우시 인민병원 산부인과 병동의 임산부와 갓 태어난 신생아들이 구급차와 버스에 실려 다른 격리 시설로 옮겨지는 영상과 사진이 퍼졌다.
현지 당국은 이 병원 산부인과 병동에서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한 건 발견되자 안에 있던 모든 이들을 다른 곳으로 격리하는 조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적지 않은 중국 누리꾼은 임산부와 신생아들을 무더운 여름 날씨에 옮기는 과정에서 의료사고가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병원 측이 해당 병동을 폐쇄 운영하는 편이 바람직했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SK하이닉스, LG화학 등 한국 기업들도 많이 진출한 우시는 최근 장쑤성에서 코로나19 확산이 가장 심각한 지역으로 여러 주거단지가 봉쇄되는 등 도시 내 방역 수위가 크게 올라간 상태다.
중국이 상하이와 베이징의 코로나19 유행 사태를 일단 넘기는 듯했지만 기존 유행지이던 베이징과 상하이는 물론이고 창장삼각주의 여러 도시와 시안, 톈진 등 여러 지역에서 산발적인 코로나19 확산이 잇따르고 있다.
코로나 확산 때마다 중국 각지의 당국은 '제로 코로나' 달성을 최우선으로 여겨 시민들의 기본권이 과도하게 침해당하는 무리한 방역 행정 집행에 나서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앞서 중국 최대 도시 상하이에서는 생활 지원 대책이 거의 마련되지 못한 상황에서 오로지 '제로 코로나' 실현에만 초점이 맞춰진 주먹구구식 봉쇄가 두 달 넘게 시행되면서 시장의 붕괴로 심각한 식료품 공급난이 벌어졌고 각종 급성·만성 질병을 제때 치료받지 못해 숨지는 이들도 속출했다.
사회적 논란이 될 때마다 중국 당국은 최말단 관리들의 잘못된 집행 탓으로 돌리곤 하지만 중국 당국이 지역사회에서 단 한 명의 감염자도 용납하지 않는 '제로 코로나'를 고수하는 것이 일선 관리들이 중앙에서 하달된 지침보다 과잉된 대응에 나설 수밖에 하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측면이 강하다.
영화 '스파이더맨'으로 유명한 미국 배우 톰 홀랜드(26)가 정신 건강을 지키기 위해 소셜미디어(SNS)를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홀랜드는 14일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3분 가량의 동영상과 함께 올린 글에서 "인스타그램과 트위터는 지나치게 자극적이고 압도적이어서 정신 건강을 위해 SNS 활동을 쉬겠다"고 밝혔다. 이어 "나는 (SNS)에 사로잡혔고 온라인상에서 나와 관련된 글을 읽을 때마다 (정신건강이) 더 나빠졌다"며 SNS 앱을 삭제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인스타그램 팔로워 6천774만 명, 트위터 팔로워 742만 명에 달하는 홀랜드는 이번 동영상과 글을 올리기 전에도 한동안 SNS 활동을 하지 않았다. 그는 지난달 2일 인스타그램에, 2월 트위터에 글을 올린 뒤 SNS 활동을 하지 않다가 이날 중단을 알리는 글을 올렸다. 홀랜드는 또 마지막이 된 이날 글에서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돕는 단체 스템4(stem4)를 소개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정신건강(문제)는 끔찍하게 낙인된다"며 "나는 이에 대해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부끄러워할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고 말했다. 팬과 동료들은 홀랜드의 SNS 활동 중단 선언에 격려를 보냈다고 CNN 방송은 전했다. 가수 저스틴 비버는 그의 게시물에 "사랑해, 친구"라는 댓글을 남겼다. /연합뉴스
지난해 촬영장서 소품용 총에 실탄 발사…촬영감독 숨져볼드윈 "방아쇠 안당겼다" 정반대 주장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지난해 할리우드 배우 알렉 볼드윈의 촬영장 총격 사건에서 "누군가 방아쇠를 당기지 않고는 발사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는 "방아쇠를 당기지 않았다"는 볼드윈의 주장과 정면으로 대치된다. 미국 ABC방송은 15일(현지시간) FBI의 사고 현장 총기 분석 보고서를 입수해 이같이 보도했다. 볼드윈은 작년 10월22일 뉴멕시코주 산타페 남부의 한 목장에서 저예산 서부 영화 '러스트'(Rust)를 촬영하던 중 소품용 총을 발사했는데, 여기에는 공포탄이 아닌 실탄이 장전돼 있었다. 실탄에 맞은 여성 촬영감독은 결국 숨졌다. 당시 볼드윈은 현장 조감독에게서 문제의 총을 건네받을 때 '콜드건'이라는 설명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콜드건은 미국 영화계에서 촬영용 공포탄으로 채워진 소품용 총을 뜻한다. 사고 이후 볼드윈은 ABC방송 인터뷰에서 "방아쇠를 당기는 장면이 대본에 없는데 어떻게 사고가 일어난 것인가"라는 질문에 "누군가를 겨눈 채 방아쇠를 당길 리가 없다. 방아쇠를 당기지 않았다. (피해자인) 촬영감독의 지시를 따랐을 뿐"이라고 주장했었다. 그러나 이날 FBI의 분석 결과가 발표되면서 볼드윈이 고의든, 고의가 아니든 방아쇠를 당겼을 거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게 됐다. 다만 FBI는 "(피해자를) 해칠 명백한 동기가 없다는 점을 포함해, 모든 정보를 고려하면, 이번 사망 사건은 사고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을 냈다고 ABC방송은 전했다. 볼드윈 측 변호인은 성명에서 "FBI의 총기 시험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며 시험 당시 총기 상태가 온전하지
부채·실업난 속 대중 강경론 먹혀…부패 타파 공약도돈독한 양국 관계상 일각서 '공염불' 관측도 중국 자본이 깊숙이 침투한 아프리카 케냐에서 반중 기치를 내건 윌리엄 루토 현 부통령이 신임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경제투자 측면에서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던 양국 관계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케냐 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9일(이하 현지시간) 치러진 대선에서 현 부통령인 루토 후보가 50.49%의 득표율로 오랜 야당 지도자 출신의 라일라 오딩가 후보를 누르고 승리했다고 15일 밝혔다. 대중 정책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이번 선거에서 루토 당선인은 대중 강경론을 강조하며 오딩가 상대 후보와 차별화를 꾀했다. 친중 정책을 폈던 우후루 케냐타 현 대통령이 지지한 오딩가 후보는 당선되면 상환기간이나 이자를 조정하는 등 대중 대출을 손보겠다고 약속했고 루토 당선인은 중국에 더는 돈을 빌리지 않겠다며 한층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루토 당선인은 2017년 중국의 대규모 자금으로 완공된 표준궤도철도(SGR) 계약서를 국민에 공개하기도 했다. SGR는 수도 나이로비와 몸바사 항구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사업이지만 막대한 적자운영으로 애물단지가 됐다. 루토 당선인은 더 나아가 높은 실업률에 직면한 케냐에서 자국민 일자리를 빼앗는 불법 체류 중국인을 내쫓겠다고도 공언했다. 당면한 케냐의 부채와 생활고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된 차기 대통령 후보로서 중국의 책임론을 꺼내 들며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이다. 중국은 일대일로 사업 일환으로 케냐 기간시설 등에 자금을 대면서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