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네덜란드에 세계적 반도체 제조장비 업체 ASML의 장비에 대한 중국 판매 추가 제한을 요구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돈 그레이브스 미국 상무부 부장관이 5월 말부터 지난달 초까지 네덜란드를 방문했을 때 ASML이 만드는 구형 심자외선(DUV) 노광장비의 중국 판매 금지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앞서 네덜란드 정부는 미국의 압박으로 ASML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생산하는 최첨단 극자외선(EUV) 노광장비의 중국 수출 승인을 내주지 않고 있는데, 이런 조치를 구형 노광장비까지 확대해달라는 것이다.
그레이브스 부장관은 당시 네덜란드 펠트호번에 있는 ASML 본사를 방문해 페터르 베닝크 ASML 최고경영자(CEO)와도 만났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미국은 일본에 대해서도 니콘 DUV 노광장비의 중국 판매 금지를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DUV 노광장비는 EUV 같은 최첨단 기술은 아니지만, 자동차나 스마트폰, PC, 로봇 등에 들어가는 반도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보편적인 기술이다.
블룸버그는 미국의 요청을 네덜란드가 수용하면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SMIC(中芯國際·중신궈지)나 화훙(華虹) 반도체 등 중국 반도체 업계는 물론 중국의 '반도체 굴기'도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간 싱크탱크 대만경제연구원(TIER)의 존슨 왕 애널리스트는 노광장비는 중국이 가장 대체하기 힘든 장비여서 노광장비 해외 조달이 막히면 중국 반도체 산업의 성장도 멈춰 설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네덜란드 정부는 독일, 벨기에에 이은 3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무역 관계 훼손에 대한 우려로 아직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이지는 않은 상태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에 대해 ASML의 대변인은 DUV 노광장비 중국 수출 금지 논의가 전혀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라면서 어떤 결정도 내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소문에 대해 논평하거나 추측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협박 외교', '기술 테러리즘'이라는 용어를 동원해 거칠게 미국을 비난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이것은 미국이 국가의 역량을 남용해 협박 외교를 한다는 증거고, 전형적인 기술 테러리즘"이라며 "미국은 과학기술과 경제·무역 문제를 정치화, 도구화, 이데올로기화해 다른 나라에 대해 기술봉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른 나라들에 미국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경각심을 갖게 하고, 각국은 과학기술 자립 자강을 가속할 것"이라며 "남의 길을 막으려는 시도는 결국 자신의 길만 막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오 대변인은 또 "미국이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을 견지하고, 장기적인 이익과 공평·공정한 시장 원칙에서 출발해 그에 맞는 결정을 내리기를 희망한다"며 "관련 측이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입장에 따라 독립적인 결정을 내릴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
앞서 올해 초 베닝크 CEO는 DUV 노광장비가 이미 오랜 기간 사용된 기술이라며 중국 판매 금지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ASML의 주가는 미국 정부의 움직임이 알려지면서 장중 한때 8.3%까지 급락한 끝에 전날 종가보다 3.87% 떨어진 432.4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아베 전 총리 장례식 각국 초청해 국장 거행이 적절"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0일 새 내각 출범 후기자회견을 열고 "방위력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고 '새로운 자본주의' 실현 등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또 아베 신조 전 총리 피살 사건 이후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옛 통일교회) 문제와 관련해서도 엄정 대응하라고 각료들에게 지시했다. 기시다 총리는 "코로나19, 우크라이나 위기, 대만을 둘러싼 미중 관계 긴장, 국제적인 고물가와 국내외에 역사적인 과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며 "새 내각은 유사(有事, 전쟁 등 긴급사태가 벌어지는 것)에 대응하는 '정책단행내각'으로 경험과 실력을 겸비한 각료를 기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새 내각이 추진할 5가지 중점 분야로 방위력 근본 강화, 경제안전보장정책 추진,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을 골자로 하는 '새로운 자본주의' 실현을 통한 경제 회생, 코로나19 대책, 저출산 대책 강화를 꼽았다. 기시다 총리는 방위비 증액 논의에 관해 "아베 전 총리의 의견을 염두에 두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아베 전 총리와 집권 자민당은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1%가량인 일본의 방위비를 2% 이상으로 대폭 늘려야 한다고 정부에 요구했다. 기시다 내각은 올 연말까지 방위비 증액과 반격 능력 보유 여부 등을 결정해 국가안전보장전략 등 안보 관련 문서 3종을 개정할 예정이다. 기시다 총리는 최근 논란이 되는 통일교와 정치인 간 유착 논란에 대해 "나는 관계가 없다"고 설명한 뒤 "종교의 자유는 헌법상 보장돼 있지만,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단체와 관계는 국민에게 의심을 사지 않도록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리스 해상에서 이주민 보트가 침몰해 약 50명이 실종됐다고 AFP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리스 해안경비대에 따르면 그리스 카르파토스섬 인근 에게해에서 이주민 보트가 조난됐다. 해안경비대 관계자는 "구조된 29명의 진술에 따르면 보트에는 80명이 타고 있었고 약 50명이 실종됐다"고 말했다. 유럽연합(EU)의 남동쪽 국경 역할을 하는 그리스는 유럽으로 향하는 중동·아프리카 이주민이 다수 유입되는 국가 가운데 하나다. 대부분 가까운 튀르키예(터키)에서 낡은 고무보트를 이용해 그리스로 향하는데 도중에 조난을 당해 목숨을 잃는 경우가 많다. 침몰한 해당 보트도 튀르키예에서 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스 당국은 공군 헬리콥터와 해군 함정·경비정 등을 사고 지점에 투입해 수색·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프랑스 파리 샤를드골 공항에서 흉기를 휘두르던 노숙인이 경찰이 쏜 총에 맞아 사망했다.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경시청은 이날 오전 트위터를 통해 "샤를드골 공항에서 칼을 소지한 채 위협을 가한 남성이 경찰에 제압됐다"고 밝혔다.경찰에 따르면 이 노숙인은 이날 오전 8시20분께 샤를드골 공항 터미널 2F에서 경비에게 시비를 걸었다.경비의 신고를 받고 경찰이 현장에 출동했을 때 노숙인은 욕을 하면서 소리를 지르고 자리를 떠났다가 흉기를 갖고 돌아왔다.경찰은 노숙자를 향해 물러나라고 소리쳤지만 계속 다가와 총을 한 발 쐈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당시 노숙인은 테러와 연관 지을 수 있는 발언은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