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고율관세 철폐 요구, 미국은 중국의 '비시장적 관행' 시정 요구 글로벌 공급망도 논의…양측서 "솔직·실질적"·"건설적" 평가 나와
미국의 대 중국 고율 관세 인하가 임박했다는 미국 언론 보도가 나온 직후 미중 경제 정책 라인의 핵심 인사가 관련 문제를 논의했다.
미국 재무부 보도자료와 중국 관영 통신 신화사 보도에 따르면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과 류허 중국 부총리는 5일(중국시간) 영상통화를 했다.
신화는 중국 측이 통화에서 미국의 대 중국 고율 관세와 제재의 철회, 중국 기업에 대한 공평한 대우 등 문제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다고 전했다.
이에 미국 측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다.
이에 앞서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번 주 일부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고율 관세의 인하를 발표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전임자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의 불공정한 경제 관행과 무역수지 불균형 문제를 제기하며 2018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4차례에 걸쳐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현재 미국은 2천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상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1천2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상품에 대해선 2020년 1월 합의에 따라 관세를 기존 15%에서 7.5%로 낮춘 상황이다.
반면 옐런 장관은 영상 통화에서 중국의 불공정하고 '비시장적인' 경제 관행 등 우려 사항들을 솔직하게 거론했다고 미국 재무부가 밝혔다.
미국의 대 중국 고율 관세 인하와 중국의 '비시장적' 경제 관행 시정 등 양국이 상대에게 원하는 바를 의제로 제기한 셈이다.
이번 소통에 대한 양측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미 재무부는 "미국과 중국의 거시경제와 금융 발전, 원자재 가격 상승, 식량안보 문제 등과 관련해 솔직하고 실질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고, 신화는 "거시경제 정세, 글로벌 산업망 및 공급망 안정 등 의제에 대해 실무적이고 솔직하게 의견을 교환하고 건설적인 소통을 했다"고 전했다.
또, 양측은 세계 경제가 심각한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 미·중 간 거시정책과 관련한 소통과 조율을 강화하는 것은 의미가 크고, 글로벌 산업망과 공급망 안정을 함께 수호하는 것은 양국과 전 세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인식했다고 신화통신은 소개했다.
이와 함께 양측 모두 옐런 장관과 류 부총리 간 후속 대화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중국 외교부는 대 중국 고율 관세 인하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미국의 '비시장적 관행' 지적에 반박했다.
자오리젠 외교부 대변인은 5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세 문제에 대한 중국 측의 입장은 일관되게 명확하다"며 "대 중국 고율 관세를 모두 철폐하는 것은 중미 양국과 전 세계에 이롭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국의 싱크탱크와 기관들의 예측에 따르면 대 중국 고율 관세를 전부 폐지하면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1% 포인트 떨어진다고 한다"며 "현재의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 하에서 대 중국 고율 관세를 조기에 철폐하면 소비자와 기업이 조기에 이익을 보게 된다"고 말했다.
자오 대변인은 또 중국의 '비시장적 관행'에 대한 미국 측 언급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중국의 개혁·개방이 중국 경제 뿐 아니라 세계 경제의 번영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지지 업은 대런 베일리 "형사처벌 완화 지침 폐기" 미국에서 대표적인 '민주당 텃밭'인 일리노이주의 최대 도시 시카고가 범죄 만연화로 몸살을 앓는 가운데 경찰 노조가 공화당 소속 주지사 후보를 공개 지지했다. 일리노이 경찰노조와 시카고 경찰 노조는 8일(현지시간) 공동 회견을 열고 전통적 보수 성향의 공화당 주지사 후보 대런 베일리(56·일리노이 주상원의원)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이들은 회견에서 "베일리 후보는 일리노이주 여느 정치인들과 달리 법과 질서를 바로 세우고자 하며 경찰을 존중한다"고 배경을 밝혔다. 존 카탄자라 시카고 경찰노조 위원장은 일리노이 남부 농장 경영주 출신 베일리 후보가 지난 6월 실시된 공화당 경선에서 57.7% 지지를 얻으며 당선된 사실을 상기하며 "베일리가 시카고 대도시권에서도 그토록 높은 지지율을 얻을 수 있을거라 전혀 생각 못했었다"고 털어놓았다. 캠페인 초반 약체로 분류됐던 베일리는 유명 헤지펀드 '시타델' 창업주 켄 그리핀의 전폭적 지원을 받으며 선두를 달리던 중도 성향의 후보 리처드 어빈(52·오로라 시장)을 큰 표차로 꺾고 승리했다. 이로써 그는 오는 11월 선거에서 미국 공직자 재산 순위 1위인 J.B.프리츠커 일리노이주지사(57·민주)와 맞붙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경선 직전 일리노이서 열린 '미국을 구하라'(Save America) 랠리에서 베일리 지지를 선언하며 분위기를 반전시키는데 기여했다. 카탄자라 위원장이 이끄는 시카고 경찰노조에는 전현직 경찰관 1만7천여 명이 가입돼있다. 크리스 사우스우드 일리노이 경찰노조 위원장은 "베일리 후보는 공공안전과 법집행, 주민 정신건강을 최우선 순위에 놓고 있다"면서 "현정
뮤지컬 '그리스'로 스타덤, 그래미상 4차례 수상…1992년 유방암 진단 영국 태생의 호주 유명 가수이자 배우인 올리비아 뉴턴 존이 8일(현지시간) 향년 7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그녀의 남편인 존 이스털링은 이날 뉴턴 존의 페이스북에 "올리비아가 오늘 아침 남부 캘리포니아에 있는 목장에서 가족들과 친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영원히 잠들었다"고 전했다. 이어 "매우 힘든 시기에 가족들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주기를 모든 이들에게 간곡히 요청한다며 "올리비아는 지난 30년간 유방암과 여정을 함께하며 승리와 희망의 상징이었다"고 애도했다. 뉴턴 존은 1992년 유방암 진단을 받은 이후 수십 년간 투병 생활을 해왔다. 지난 2018년 가을에는 자신의 세 번째 척추암 투병 사실을 공개하기도 했다. 영국에서 태어난 뉴턴 존은 1978년 존 트라볼타와 함께 찍은 뮤지컬 영화 '그리스'(Grease)로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그리스는 1950년대를 배경으로 미국 고등학생들의 사랑과 꿈, 열정을 다룬 작품으로,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뉴턴 존은 기존의 청순한 이미지를 탈바꿈하면서 세계적인 청춘스타로 발돋움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이후 '만인의 연인'으로 불리며 인기를 구가했다. 뮤지컬 '그리스'에 앞서 팝가수로도 그녀는 큰 성공을 거뒀다. 어린 시절 부모를 따라 호주로 간 그녀는 미국으로 옮겨온 뒤 1971년 밥 딜런 노래 'If Not for You'로 첫 히트를 기록했다. 이후 'Let Me Be There', 'I Honestly Love You', 'Physical' 등 대표곡으로 1970년대와 80년대에 황금기를 누렸다. 특히, 1974년 발표한 'I Honestly Love You'를 시작으로 4차례 그래미상을 받았고, 1981년 발표한 'Physical'은 빌보드 차트 10주 연속 1위에
하이네켄·코로나 등 공장 있는 북부 지역서 물 부족 계속돼 멕시코 북부에 극심한 가뭄과 물 부족이 이어지면서 이 지역 맥주 생산에도 여파가 예상된다.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정례 기자회견에서 북부 물 부족 대책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면서 맥주 업체들에 대한 조치 가능성을 시사했다.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더는 맥주를 생산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라 북쪽에선 생산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맥주를 계속 만들면서 증산하고 싶으면 남부나 남동부 지역에서 전적으로 지원해주겠다"고 말했다. 멕시코 북부 누에보레온주 몬테레이 일대에는 기후 변화가 부추긴 강수량 부족과 관리 부실 등이 맞물린 물 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낸 탓에 주택 단수가 몇 개월째 이어지면서 주민들이 공공 급수시설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이 지역엔 세계 1위 맥주업체인 앤하이저부시 인베브의 자회사 그루포모델로와 2위 업체 하이네켄 등의 생산시설이 있다. 코로나 맥주로 유명한 멕시코는 세계 최대 맥주 수출국 중 하나다. 몬테레이에서 물 부족이 장기화하자 주민들은 가정용수와 달리 맥주 제조업체 등이 사용하는 물은 제한 없이 공급되고 있다며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이후 하이네켄은 지난달 말 용수 사용 허가권의 20%를 당국에 반납했다. 멕시코에선 지난 2020년 미국 맥주업체 콘스텔레이션 브랜즈가 멕시코 북부 멕시칼리에 양조장을 건립하려고 계획을 세웠으나 물 부족을 우려한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이날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당시 멕시칼리 주민투표를 언급하며 "매우 모범적인 사례"라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