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알프스 빙하가 녹으면서 뜻밖의 '흔적'들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스위스의 알프스 빙하가 폭염에 녹아내리면서 반세기 넘게 묻혔던 유골과 추락한 비행기 잔해 등이 잇따라 발견됐다고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지난 3일 스위스 남부 발레주(州)에 있는 헤셴 빙하에서 사람 유골이 발견돼 수습됐다.이 유골의 주인은 1970~80년대 숨진 것으로 추정됐고, 프랑스 인 등반객 2명이 10년 전쯤 발길이 끊긴 옛 등반로 인근에서 발견했다.일주일 전에는 체르마트 인근 슈토키 빙하에서도 거의 온전한 형태의 사람 유골이 발견되기도 했다. 현지 경찰은 발견된 유골의 신원 확인을 위해 DNA 분석을 진행 중이다.앞서 이달 초 융프라우 봉우리 인근의 알레치 빙하에서는 경비행기 기종인 '파이퍼 체로키' 잔해가 등반 가이드에 의해 발견되기도 했다.이 경비행기는 1968년 6월30일 3명을 태우고 취리히에서 출발해 비행 중 추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당시 탑승자의 유해는 찾았지만, 잔해가 수습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알프스 빙하에서 이 같은 '흔적'이 잇따라 발견되는 것은 올해 최소 두 차례 기록적 폭염이 이 일대를 덮친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이와 관련 지난달 알프스산맥 상공의 빙점 고도는 해발 5184m까지 상승하며 27년 만에 기록이 깨졌다.통상 여름철 빙점 고도가 3000∼3500m인 것과 비교하면 기후변화의 여파로 인해 기온이 0도 이하인 기층의 높이가 그만큼 더 올라갔다는 의미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외곽 샤를드골 공항 안에서 노숙자가 흉기를 휘두르다 경찰이 쏜 총에 맞아 사망했다. 프랑스 파리 경시청은 이날 오전 트위터에 "샤를드공 공항에서 칼을 소지한 채 위협을 가한 남성을 경찰들이 침착하게 제압했다"는 글을 올렸다. 경찰에 따르면 이 노숙자는 샤를드골 공항 터미널 2F에서 오전 8시 20분께 경비에게 시비를 걸었고, 경비가 경찰을 불렀다고 AFP 통신이 전했다. 노숙자는 욕을 하면서 소리를 지르고 자리를 떠났다가 곧바로 칼을 갖고 돌아왔다. 경찰은 노숙자를 향해 물러나라고 소리쳤지만 계속 다가와 총을 한 발 쐈다. 당시 노숙자는 테러와 연관 지을 수 있을 만한 발언을 하지 않았다고 일간 르피가로가 경찰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연합뉴스
최고행정법원에 정부 상대 명령 철회 소송 제기 프랑스 전력공사(EDF)가 올해 1월 도입한 전기료 상한제로 발생한 손실 11조원을 보상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EDF는 9일(현지시간) 오후 늦게 성명을 내고 프랑스 최고행정재판소인 국참사원에 전기료 상한제에 관한 정부 명령을 철회하는 소송을 제기하며 이같이 청구했다고 밝혔다. 프랑스 정부는 전 세계적으로 치솟는 에너지 가격에 대응하기 위해 EDF에 전기 요금 인상률을 4%로 제한하고, 원전에서 생산한 전력을 시장 가격보다 싸게 판매하도록 했다. EDF는 정부의 이번 조치로 하루 수익과 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EBITDA)이 줄어들어 83억4천만유로의 손해를 봤다고 추산했다. 프랑스 정부는 현재 EDF 지분의 84%를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지분을 모두 매입하는 방식으로 EDF를 다시 국유화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97억유로(약 13조원)의 예산을 책정하는 법안을 제출해 최근 하원을 통과했고, 관련 절차를 올해 10월 말까지 마무리할 방침이다. EDF는 원자로 노후와 작동 이상 등으로 전력 생산이 줄어 고전하는 와중에 전기료 상한까지 도입하면서 사업에 차질을 빚어왔다. 프랑스 전력의 70% 상당을 생산하는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 및 운영하는 EDF는 2000년대 초 부분적으로 민영화됐다. 정부가 EDF를 완전히 국유화하면 프랑스에 신규 원자로를 새로 짓겠다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계획도 탄력을 받을 것이다. 마크롱 대통령은 2050년까지 탄소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원전 중심의 에너지정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